13 신분제사회의성립과변동file1.megastudy.net/fileserver/lecture/lec_s/guide...2010/03/02...

4
141 KOREAN HISTORY . 사회구조와 사회 생활 _KOREAN HISTORY 서울대 역사파의 절대 퀄리티 140 KOREAN HISTORY_ 국사 개념완성 신분제 사회의 성립과 변동 13 핵심 Check 1. 신분제 사회의 성립 ⑴ 사회 계층과 신분 제도 형성:정복 전쟁 → 복속∙통합 → 지배층 간 위계 서열 마련 → 신분 제도 삼국 이전의 계층 구조:부여, 초기 고구려 ⑵ 귀족∙평민∙천민 신분제의 특징:율령 제정, 개인의 신분이 능력보다 친족의 사회적 위치에 따라 결정 신분의 구분 2. 고려의 신분 제도 � 호민(豪民) 고대 사회의 지배 계층으로서 종교적 제사장 들, 철을 다루는 대장장이와 같은 기술자 및 그 밖의 부유하고 유력한 민호가 이에 속한 다. 대가들과 하호를 연결하는 족장층과 호민 들은 호화로운 생활과 함께 많은 노예를 소유 했던 것으로 보이며, 장례 때에는 순장하기도 하였다. � 노비 �재산으로 간주되어 엄격한 관리:매매, 증 여, 상속의 방법을 통해 주인에게 예속 �부모 중 한 사람이 노비면 노비 신분 세습 귀족 중류층 양인 천민 �왕족∙5품이상의 고위 관료 → 음서, 공음전의 혜택 �지배층의 변천:문벌귀족 → 무신 → 권문세족 → 신진사대부 �유형:지방 행정의 실무 담당 → 잡류(중앙 관청의 말단 서리), 남반(궁중 실무 관리), 향 리(지방 행정 실무 담당), 군반(하급 장교), 역리(지방의 역 관리) �성격:통치 체제의 하부 구조 담당 → 직역을 세습하고 대가로 토지를 받음 �향리:지방의 호족이 향리로 편제 → 호장∙부호장 배출, 지방의 실질적 지배층, 통혼 관 계, 과거 응시 자격 등에서 하위 향리와 구별 �백정농민:자영농 혹은 소작농, 자유민 → 과거 응시 가능, 군인 선발 가능, 조세∙공납∙ 역 부과 �향∙소∙부곡민:신분은 양민이면서도 일반 양민에 비해 규제가 심한 특수 집단 → 일반 군현보다 많은 조세 부담, 다른 지역으로 이주 금지 �역과 진의 주민:육로 교통, 수로 교통에 종사 �대부분 노비 → 노비는 재산으로 간주 됨, 매매∙상속∙증여의 대상, 일천 즉천의 원리 공노비 입역 노비:관청∙지방 관아에서 급료를 받고 잡역 종사 외거 노비:주인과 따로 거주하며 농업에 종사 가∙대가 호민 하호 노비 �호민을 통해 읍락 지배 → 자신의 관리와 군사력을 가지고 정치에 참가 �중앙 집권 국가가 성립하는 과정에서 귀족으로 편제 읍락에서 경제적으로 부유한 자 → 하호를 지배 농업에 종사하는 평민 읍락의 최하층, 주인에게 예속되어 생활하는 천민 귀족 평민 천민 왕족∙옛부족장 세력 → 중앙 귀족 → 정치 권력과 사회∙경제적 특권 독점 대부분 농민으로 신분적으로는 자유민, 조세 납부, 노동력 징발 대부분 노비 → 왕실과 귀족, 관청에 예속, 전쟁∙형벌∙부채 등으로 노비 형성 01. 호민과 하호의 신분 계층 (가) 읍락에 호민이 있고, 하호로서 모두 노복과 같은 처지에 있다. 제가가 출도를 따로이 관장하며, 세력이 자는 수천 가를, 세력이 작은 자는 수백 가를 주관한다. … 활, 칼, 창을 무기로 하며, 집집마다 무기를 지니 있었다. … 적이 있으면 제가가 스스로 나가 싸우며, 하호는 먹을 것 을 공급한다. -삼국지 (나) 그 나라 안의 대가(大家)들은 농사를 짓지 않으므로 앉아서 먹는 인구가 만여 명이나 되는데, 하호들이 먼 곳에서 양식∙고기∙소금을 운반해다 가 그들에게 공급한다. -삼국지 (다) 대가(大家)들은 농사를 짓지 않으며 하호가 부세(賦稅)를 대는데 마치 노 비와 같다. -태평어람 03. 고려 시대 노비의 신분 상승 �평량은 평장사 김영관의 집안 노비로 경기도 양주에 살면서 농사에 힘써 부유하게 되었다. 그는 권세가 있는 중요한 길목에 뇌물을 바쳐 천인에서 벗어나 산원동정의 벼슬을 얻었다. 그의 처는 소감 왕원지의 집안 노비인 데, 왕원지는 집안이 가난하여 가족을 데리고 가서 위탁하고 있었다. 평량 이 후하게 위로하여 서울로 돌아가기를권하고는 길에서 몰래 처남과 함께 원지의 부처와 아들을 죽이고 스스로 그 주인이 없어졌으므로계속해서양 민으로 행세할 수 있음을 다행으로 여겼다. -고려사 �고종 45년 2월에 최의가 집안 노비인 이공주를 낭장으로 삼았다. 옛 법제 에 노비는 비록 대공이 있다 하더라도 돈과 비단으로 상을 주었을 뿐 관작 제수하지는 않게 되어있다. 그런데 최항이 집정해서는 인심을 얻고자 처음으로 집안 노비인 이공주와 최양백∙김인준을 별장으로 삼고, 섭장수 교위로 삼았다. …… -고려사 외거 노비는 주인의 토지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의 토지도 소작할 수 있어서 노력 여하에 따라 경제적으로 여유를 얻을 수가 있었으며, 자신의 토지도 소유할 수 있었다. 따라서 외거 노비는 신분적으로는 주인에게 예속되어 있었으나 경제적으로 양민 백정과 비슷하게 독립된 경제 생활을 있었다. 특히 외거 노비 가운데 에는 신분의 제약을 딛고 지위를 상승한 사람이나, 농업에 종사하면서 재산을 늘린 사람도 있다. 위의 자료는 모두 중국인이 기록한 것으로서, (가)는 부여, (나)와 (다)는 고구 려에 해당한다. 가∙대가로 불리는 권력자들은 (가)에서 말하는 호민을 통해 읍락의 하호와 같은 일반민들을 통치하였다. (가)와 (나)의 하호는 권력자들에게 양식∙고 기∙소금 먹을 것을 공급하였는데, 그것은 하호에게 부과된 조세였다. 그런데 호에 대한 권력자들의 수취가 가혹했기 때문에 (다)에서 중국인이 보기에는 마치 노 비처럼 여겨졌다는 뜻이다. ‘마치 노비와 같다.’라는 말은 하호의 신분이 노비라는 뜻이 아니라 권력자들에게 수취를 당하는 그들의 처지가 노비라는 의미로 추론되고 있다. 02. 정복민을 노비에서 해방한 사례 가야가 배반하니 왕(진흥왕)이 이사부에게 토벌하라고 명령하고, 사다함에 이를 돕게 하였다. 사다함이 기병 5,000여명을 거느리고 들이닥치니 일 시에 모두 항복하였다. 공을 논하였는데 사다함이 으뜸이었다. 왕이 좋은 농 토와 포로 200명을 상으로 주었다. 사다함은 세 번 사양했으나 ……왕이 굳 주자, 받은 사람은 놓아주어 양민을 만들고, 농토는 병사에게 나누어 주었 다. 이를 보고 나라 사람들이 아름답다고 하였다. 노비는 대개 전쟁 포로 또는 죄를 짓거나 귀족에게 진 빚을 갚지 못하여 되 경우가 많았다. 전쟁이 빈번하였던 삼국 시대에는 전쟁 노비가 많았다. 첫 번째 사료가 바로 그것인데, ‘그 포로를 장사에게 나누어 주었다.’에서 포로들이 노비가 되었음을 있다. 신분 제도가 엄격한 고대 사회에서도 노비 해방이 있었음을 보여 주는 것이 번째 사다함의 사례이다. 그리고 한 번에 포로 200명을 상으로 준 것에서 당시 중앙 귀족들이 얼마나 많은 노비를 소유하고 있었는지를 짐작할 수 있다. 사노비 솔거 노비:귀족이나 사원에서 직접 부리는 노비로 상전 주인과 함께 생활 외거 노비:주인과 따로 살며 농업에 종사 → 일정량의 신공을 주인에게 바침 www. megastudy. net

Upload: others

Post on 16-Jul-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13 신분제사회의성립과변동file1.megastudy.net/FileServer/lecture/lec_s/guide...2010/03/02  · 수백가를주관한다. …활, 칼, 창을무기로하며, 집집마다무기를지니

141

KOREAN HISTORY

Ⅲ. 사회구조와 사회 생활 _KOREAN HISTORY

서울 역사파의 절 퀄리티

140 KOREAN HISTORY_ 국사 개념완성

신분제사회의성립과변동13

핵심 Check1. 신분제사회의성립

⑴ 사회 계층과 신분 제도

① 형성:정복 전쟁 → 복속∙통합 → 지배층 간 위계 서열 마련 → 신분 제도

② 삼국 이전의 계층 구조:부여, 초기 고구려

⑵ 귀족∙평민∙천민

① 신분제의 특징:율령 제정, 개인의 신분이 능력보다 친족의 사회적 위치에 따라 결정

② 신분의 구분

2. 고려의신분제도

� 호민(豪民)

고 사회의 지배 계층으로서 종교적 제사장

들, 철을 다루는 장장이와 같은 기술자 및

그 밖의 부유하고 유력한 민호가 이에 속한

다. 가들과 하호를 연결하는 족장층과 호민

들은 호화로운 생활과 함께 많은 노예를 소유

했던 것으로 보이며, 장례 때에는 순장하기도

하 다.

� 노비

�재산으로 간주되어 엄격한 관리:매매, 증

여, 상속의방법을통해주인에게예속

�부모중한사람이노비면노비신분세습

귀족

중류층

양인

천민

�왕족∙5품이상의 고위 관료 → 음서, 공음전의 혜택

�지배층의 변천:문벌귀족 → 무신 → 권문세족 → 신진사 부

�유형:지방 행정의 실무 담당 → 잡류(중앙 관청의 말단 서리), 남반(궁중 실무 관리), 향

리(지방 행정 실무 담당), 군반(하급 장교), 역리(지방의 역 관리)

�성격:통치 체제의 하부 구조 담당 → 직역을 세습하고 가로 토지를 받음

�향리:지방의 호족이 향리로 편제 → 호장∙부호장 배출, 지방의 실질적 지배층, 통혼 관

계, 과거 응시 자격 등에서 하위 향리와 구별

�백정농민:자 농 혹은 소작농, 자유민 → 과거 응시 가능, 군인 선발 가능, 조세∙공납∙

역부과

�향∙소∙부곡민:신분은 양민이면서도 일반 양민에 비해 규제가 심한 특수 집단 → 일반

군현보다 많은 조세 부담, 다른 지역으로 이주 금지

�역과진의주민:육로교통, 수로교통에종사

� 부분 노비→노비는재산으로간주됨, 매매∙상속∙증여의 상, 일천즉천의원리

공노비 입역 노비:관청∙지방 관아에서 급료를 받고 잡역 종사

외거 노비:주인과 따로 거주하며 농업에 종사

가∙ 가

호민

하호

노비

�호민을 통해 읍락 지배 → 자신의 관리와 군사력을 가지고 정치에 참가

�중앙 집권 국가가 성립하는 과정에서 귀족으로 편제

읍락에서 경제적으로 부유한 자 → 하호를 지배

농업에 종사하는 평민

읍락의 최하층, 주인에게 예속되어 생활하는 천민

귀족

평민

천민

왕족∙옛부족장 세력 → 중앙 귀족 → 정치 권력과 사회∙경제적 특권 독점

부분농민으로신분적으로는자유민, 조세납부, 노동력징발

부분노비→왕실과귀족, 관청에예속, 전쟁∙형벌∙부채등으로노비형성

01. 호민과하호의신분계층

(가) 읍락에 호민이 있고, 하호로서 모두 노복과 같은 처지에 있다. 제가가 사

출도를 따로이 관장하며, 세력이 큰 자는 수천 가를, 세력이 작은 자는

수백 가를 주관한다. … 활, 칼, 창을 무기로 하며, 집집마다 무기를 지니

고 있었다. … 적이 있으면 제가가 스스로 나가 싸우며, 하호는 먹을 것

을 공급한다. -삼국지

(나) 그 나라 안의 가(大家)들은 농사를 짓지 않으므로 앉아서 먹는 인구가

만여 명이나 되는데, 하호들이 먼 곳에서 양식∙고기∙소금을 운반해다

가 그들에게 공급한다. -삼국지

(다) 가(大家)들은 농사를 짓지 않으며 하호가 부세(賦稅)를 는데 마치 노

비와 같다. -태평어람

03. 고려시 노비의신분상승

�평량은 평장사 김 관의 집안 노비로 경기도 양주에 살면서 농사에 힘써

부유하게 되었다. 그는 권세가 있는 중요한 길목에 뇌물을 바쳐 천인에서

벗어나 산원동정의 벼슬을 얻었다. 그의 처는 소감 왕원지의 집안 노비인

데, 왕원지는 집안이 가난하여 가족을 데리고 가서 위탁하고 있었다. 평량

이 후하게 위로하여 서울로 돌아가기를 권하고는 길에서 몰래 처남과 함께

원지의 부처와 아들을 죽이고 스스로 그 주인이 없어졌으므로 계속해서 양

민으로 행세할 수 있음을 다행으로 여겼다. -고려사

�고종 45년 2월에 최의가 집안 노비인 이공주를 낭장으로 삼았다. 옛 법제

에 노비는 비록 공이 있다 하더라도 돈과 비단으로 상을 주었을 뿐 관작

을 제수하지는 않게 되어있다. 그런데 최항이 집정해서는 인심을 얻고자

처음으로 집안 노비인 이공주와 최양백∙김인준을 별장으로 삼고, 섭장수

는 교위로 삼았다. …… -고려사

외거 노비는 주인의 토지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의 토지도 소작할 수 있어서

노력여하에따라경제적으로여유를얻을수가있었으며, 자신의토지도소유할수

있었다. 따라서 외거 노비는 신분적으로는 주인에게 예속되어 있었으나 경제적으로

는 양민 백정과 비슷하게 독립된 경제 생활을 할 수 있었다. 특히 외거 노비 가운데

에는 신분의 제약을 딛고 지위를 상승한 사람이나, 농업에 종사하면서 재산을 늘린

사람도있다.

위의 자료는 모두 중국인이 기록한 것으로서, (가)는 부여, (나)와 (다)는 고구

려에 해당한다. 가∙ 가로 불리는 권력자들은 (가)에서 말하는 호민을 통해 읍락의

하호와 같은 일반민들을 통치하 다. (가)와 (나)의 하호는 권력자들에게 양식∙고

기∙소금 등 먹을 것을 공급하 는데, 그것은 하호에게 부과된 조세 다. 그런데 하

호에 한 권력자들의 수취가 가혹했기 때문에 (다)에서 중국인이 보기에는 마치 노

비처럼 여겨졌다는 뜻이다. ‘마치 노비와 같다.’라는 말은 하호의 신분이 노비라는

뜻이 아니라 권력자들에게 수취를 당하는 그들의 처지가 노비라는 의미로 추론되고

있다.

02. 정복민을노비에서해방한사례

가야가 배반하니 왕(진흥왕)이 이사부에게 토벌하라고 명령하고, 사다함에

게 이를 돕게 하 다. 사다함이 기병 5,000여명을 거느리고 들이닥치니 일

시에 모두 항복하 다. 공을 논하 는데 사다함이 으뜸이었다. 왕이 좋은 농

토와 포로 200명을 상으로 주었다. 사다함은 세 번 사양했으나 ……왕이 굳

이 주자, 받은 사람은 놓아주어 양민을 만들고, 농토는 병사에게 나누어 주었

다. 이를 보고 나라 사람들이 아름답다고 하 다.

노비는 개 전쟁 포로 또는 죄를 짓거나 귀족에게 진 빚을 갚지 못하여 되

는 경우가 많았다. 전쟁이 빈번하 던 삼국 시 에는 전쟁 노비가 많았다. 첫 번째

사료가 바로 그것인데, ‘그 포로를 장사에게 나누어 주었다.’에서 포로들이 노비가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신분 제도가 엄격한 고 사회에서도 노비 해방이 있었음을

보여 주는 것이 두 번째 사다함의 사례이다. 그리고 한 번에 포로 200명을 상으로

준 것에서 당시 중앙 귀족들이 얼마나 많은 노비를 소유하고 있었는지를 짐작할 수

있다.

사노비 솔거 노비:귀족이나 사원에서 직접 부리는 노비로 상전 주인과 함께 생활

외거노비:주인과따로살며농업에종사→일정량의신공을주인에게바침

www. megastudy. net

Page 2: 13 신분제사회의성립과변동file1.megastudy.net/FileServer/lecture/lec_s/guide...2010/03/02  · 수백가를주관한다. …활, 칼, 창을무기로하며, 집집마다무기를지니

143Ⅲ. 사회구조와 사회 생활 _KOREAN HISTORY

KOREAN HISTORY

서울 역사파의 절 퀄리티신분제사회의성립과변동13

142 KOREAN HISTORY_ 국사 개념완성

핵심 Check3. 조선시 신분구조

⑴ 양천 제도와 반상 제도

① 양천제:갑오개혁(1894) 이전까지 조선 사회의 법제적 신분제

�양인:과거 응시 자격을 가진 자유민으로 조세, 국역의 의무

�천민:비자유민으로 개인이나 국가에 소속되어 천역 담당

② 반상제:양반과 상민 계층으로 구별 → 양반, 중인, 상민, 천민의 신분 제도 정착

③ 조선의 사회 성격:신분제 사회이나 고려에 비해서 개방적 사회

⑵ 양반

① 개념의 변화:문반∙무반의 통칭(15C) → 문∙무반직 관리와 그 가족 및 가문의 통칭(16C)

② 기득권 유지 노력:향리∙서리∙기술관∙군교∙역리를 중인으로 격하, 서얼 차별

③ 양반의 특권과 생활

�과거∙음서∙천거를 통해 국가의 고급 관직 독점

�토지와 노비를 소유하는 지주층으로 생업에 종사하지 않고 각종 국역 면제 등의 특권

⑶ 중인:양반과 상민의 중간 계층

① 서리∙향리∙기술관:직역 세습, 같은 신분 내에서 혼인, 관청 근처 거주 → 전문 기술이나 행

정 실무 담당

② 서얼:중인과 같은 신분적 처우 → 문과 응시 금지, 간혹 무반직 등용

⑷ 상민(평민, 양인):농민∙상인∙수공업자

① 특징:조세∙공납∙부역의 의무, 과거에 응시 가능 → 실제로 과거 응시 불가능

② 신량역천(身良役賤):신분은 양인이나 천민의 역(役)을 담당하는 계층

⑸ 천민: 부분 노비 → 매매∙상속∙증여의 상, 사노비 중 외거 노비는 주인에게 신공 바침,

부모 중 한쪽이 노비일 경우 그 자녀는 노비가 됨(일천즉천)

4. 조선후기사회구조의변동

⑴ 신분제의 동요

① 양반의 분화:붕당 정치의 변질(일당 전제화)로 인해 벌열 양반, 향반, 잔반으로 분화

② 신분의 변동:지위 상승∙군역 기피 위해 양반으로 행세, 양반 신분 매입∙족보 위조

③ 양반 중심 신분 체제의 동요:양반 수의 증가, 상민∙노비의 수 감소

⑵ 중간 계층의 신분 상승 운동

� 중인의 사회적 지위

넓은 뜻으로는 양반과 상민의 중간 신분을 의미

하나, 좁은 뜻으로는 기술관만을 의미한다. 이

들도 넓게는 지배 신분층의 일부로서 로

전해 내려오는 전문적인 기술 지식이나 행정

경험을 통하여 양반 못지 않는 능력과 경제력

을 가진 사람도 나타났다. 예를 들면, 통역을 하

는 역관 중에는 17세기부터 청과 일본에 파견

되는 사신들을 수행하며 무역을 하거나, 상

인들의 무역 업무를 교섭해 주고 돈을 받아 부

자가된자들도많았다.

� 신량역천(身良役賤)

칠반천역이라고도한다. 수군, 조례(관청의잡역

담당), 나장(형사 업무 담당), 일수(지방 고을 잡

역), 봉수군(봉수 업무), 역졸(역에 근무), 조졸

(조운 업무)등 힘든 일에 종사한 일곱 가지 부류

가있다.

� 노비 신분의 세습

「경국 전」에서는 몇 가지 예외 규정 외에는 부

모 가운데서 한쪽이 노비이면 노비가 되도록 법

제화하 다. 그런데조선후기에이르러서는양

천교혼이더욱확산되자, 양인증가책의일환으

로 종모법을 도입하여 노비 남편과 양인 처의

사이에 난 자식들은 최종적으로 양인으로 삼을

것을확정하 다.

서얼

중인

�임진왜란 이후 납속과 공명첩을 통해 관직 진출

� ∙정조 에 적극적 신분 상승 운동 전개 → 서얼들이 규장각 검서관으로 등용

�철종 때 규모 소청 운동 → 실패

�역관들은 서학을 비롯한 외국 문물 수입에 적극적 → 새로운 사회의 수립을 추구

⑶ 노비의 해방

① 신분 상승을 위한 노력:군공, 납속등을통해신분상승, 도망

② 조선 후기의 노비:입역노비에서납공노비로전환(공노비), 노비종모법실시→노비의수↓

③ 노비의 해방:공노비전면해방(1801), 노비제폐지(1894, 갑오개혁)

04. 유교적지배질서의확립과정

성종 13년 4월 신해 사헌부 사헌 채수가 아뢰었다. “어제 전지를 보니

통역관, 의관을 권장하고 장려하고자 능통하고 재주가 있는 자는 동서 양반

에 발탁하여 쓰라고 특별히 명령하 다니 듣고 놀랐습니다. 무릇 벼슬에는

높고 낮은 것이 있고 직책에는 가볍고 무거운 것이 있습니다. 무당, 의관, 약

사, 통역관은 사 부의 반열에 낄 수 없습니다. 의관, 역관 무리는 모두 미천

한 계급 출신으로서 사족이 아닙니다.”라고 하 다. -성종실록

지배층이 된 양반 사 부들은 자신들의 기득권을 지키기 위하여 지배층이 더

이상 늘어나는 것을 막기 위한 조치를 취하 다. 즉, 문무 양반의 관직을 받은 자들

만 사족으로 인정하 고, 현직 향리층을 비롯하여 중앙 관청의 서리와 기술관, 군

교, 역리들은 하급 지배 신분인 중인으로 격하시켰다. 그리하여 사족과 이서층(서리

층)이 분화하여 양반과 중인 신분으로 고정되었다. 또한, 양반들은 첩에서 난 소생

들을서얼이라고하여차별하 고, 정부에서는이들의관직진출을제한하 다.

Q1.자료 4의 주장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자료응용문제

① 문무양반의 증가를 막아야 한다.

② 전문적인 기술자를 우 해야 한다.

③ 농민에게 신분상승 기회를 주어야 한다.

④ 상업활동에 한 통제를 강화해야 한다.

⑤ 관직의 수를늘리고 관직을 개방해야 한다.

05. 노비종모법의시행

공∙사노비의 양인 처 소생은 한결같이 어머니의 역을 따르게 법을 세우라

고 명하 다. 이에 앞서 판부사 송시열(宋詩�)이 아뢰었다. “이경억이 충청

감사로 있을 때 상소하여 공∙사노비가 양인 처를 맞이하여 낳은 자식은 남

녀를 가리지 않고 한결같이 어미의 역을 따르도록 청하 습니다. 이는 일찍

이 이이가 주장한 것인데 당시 조정에서 막아 시행하지 못하 습니다. 지금

양민이 날로 줄어들고 있는 것은 실로 이 법을 시행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속히 제도를 만들어 변통하소서.” -현종실록

노비종모법은 공∙사 노비와 양인 여자의 사이에 태어난 자녀는 어머니 쪽

신분을 따라 양인이 되는 제도 다. 이전에는 부모 중 어느 한 쪽이 노비일 경우 그

자녀는 노비가 되는 일천 즉천(一賤則賤) 제도를 시행하 었다. 일천 즉천 제도는

노비 증가책이고, 노비 종모법은 양인 증가책임을 알 수 있다. 조선 후기에 노비 종

모법을 시행한 이유는 양인의 수를 늘려 국가 재정과 군역의 기반을 확충하기 위함

이었다.

06. 중인의소청운동

오래도록 막혀 있으면 반드시 터 놓아야 하고, 원한은 쌓이면 반드시 풀어

야 하는 것이 하늘의 이치이다. 중인 서얼을 가로막는 것은 우리 나라의 편

벽된 일로 이제 몇백 년이 되었다. 서얼은 다행히 조정의 큰 성덕을 입어 문

관은 승문원, 무관은 선전관에 임용되고 있다. 그런데도 우리들 중인은 홀로

이 은혜를 함께 입지 못하니 어찌 탄식조차 없겠는가? -상원과방자요

조선 후기 신분 제도의 변화 중 하나는 중간 계층의 활발한 신분 상승 운동

이었다. 먼저 서얼들이 공명첩, 납속 등을 통해 관직에 진출하면서 18세기 ∙정조

때상소운동을통해관직진출제한이부분적으로완화되었다. 그리하여정조때에

는 서얼 출신인 박제가∙유득공∙이덕무 등이 규장각 검서관에 진출하 다. 이에

자극을 받은 중인(기술직)들도 자료와 같이 소청 운동을 전개하 으나 성과를 거두

지는못하 다. 그러나중인들의소청운동은신분제의동요와붕괴과정을더욱촉

진하는데 향을주었다.

Page 3: 13 신분제사회의성립과변동file1.megastudy.net/FileServer/lecture/lec_s/guide...2010/03/02  · 수백가를주관한다. …활, 칼, 창을무기로하며, 집집마다무기를지니

145Ⅲ. 사회구조와 사회 생활 _KOREAN HISTORY

KOREAN HISTORY

서울 역사파의 절 퀄리티Ⅲ-13. 신분제 사회의

성립과 변동

144 KOREAN HISTORY_ 국사 개념완성

6. 표는 울산 지역의 신분별 인구 변동을 나타낸 것이다. (가)~(다)의 신

분층에 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06. 9. 평가원]

5. 다음 자료와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07. 수능]

(단위:%)

시기 (가) (나) (다)

1729년

1765년

1804년

1867년

26.29

40.98

53.47

65.48

59.78

57.01

45.61

33.96

13.93

2.01

0.92

0.56

① (가)의 증가는 이 계층의 사회적 권위를 떨어뜨렸다.

② 장자상속제가 확립되면서 (가)의 수가 증가하 다.

③ (나)의 수가 감소하여 이들의 조세 부담이 무거워졌다.

④ (나)의 계층은 납속과 공명첩을 통해 신분 상승을 꾀하 다.

⑤ 도망등의 방법으로 인하여 (다)의 수가 감소하 다.

(가) 산과 하천을 경계로 구역을 정하여 함부로 들어갈 수 없다. ㉠읍락

이 서로 침범하면 노비와 소, 말을 내도록 하 다. …(중략)… 군장

이 없고 옛부터 후, 읍군, 삼로가 ㉡하호를 다스렸다.

(나) 사람이 죽으면 가매장한 후 뼈를 추려 가족 공동 무덤을 만들었다.

…(중략)… 큰 나라 사이에서 시달리다가 마침내 고구려에게 복속되

었다. 고구려는 ㉢이 나라 사람 가운데 세력이 큰 사람을 사자(使者)

로 삼아 다스리게 하고, 고구려의 ㉣ 가(大加)로 하여금 조세 수취

를 책임지도록 하 다. -삼국지

①㉠-각읍락의독자성이강했음을보여준다.

②㉡-중소군장의지배를받는최하층천민이었다.

③ ㉢-고구려는 정복지 통치에 그곳의 토착 지배층을 이용하 다.

④㉣-제가회의의구성원으로서자기휘하의관리를거느렸다.

⑤(가)는동예, (나)는옥저에관한자료이다.

7. 다음교사의질문에 한학생의답변으로적절하지않은것은?

8. 다음 자료에 나오는 행정 구역에 한 옳은 설명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09. 6. 평가원]

① 종이를 만들어팔려고 이웃 마을로 이사 갔어.

② 우리마을은 먹을 전문적으로 생산하는 곳이야.

③ 올해우리 마을은 작년보다 실을 더 많이 만들어야 해.

④우리 마을은 백정들이 사는 마을보다 세금을 많이 내니, 늘 생활이 어

려워.

⑤먼 고을까지 향리가 타고 가려면, 우리 역에서 말을 잘 준비 해두어야

할 거야.

예종 3년(1108)에 왕이 명령하기를, “구리, 철, 자기, 종이, 먹 등을 만드

는 지역은 공물을 지나치게 많이 거두어 주민들이 어려움을 이기지 못해

도망하고 있다. 이제 해당 관청에서는 그 공물의 양을 다시 정하여 보고

하도록 하라.”라고 하 다. -고려사

ㄱ. 주민의 신분은 양민이었다.

ㄴ. 속현과 달리 지방관이 파견되었다.

ㄷ. 주민의 세금 부담은 군현민보다 많았다.

ㄹ. 중앙 관청에 소속되어 수공업 제품을 생산하 다.

보기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여러분이 (가)의 주민이라 생각하고 했을 만한 말을 서로 해볼까요?

4. 다음은 조선 시 에 작성된 상소의 일부이다. 여기에서 논란이 된 계

층에 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밑줄 친‘호장’에 한 옳은설명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것은?

[08. 수능]

3. 다음은 조선 시 어떤 선비의 일과표이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는 생

활 모습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05. 수능]

�신라 말에 힘있는 집안의 후예들이 앞을 다투어 무력을 써서 군현(郡縣)

을 장악하 다. 고려가 삼국을 통일할 즈음에 좀처럼 귀순하지 않는 자

들이 있어 이를 진압할 수 없음을 근심하다가, 마침내 강제로 억압하여

호장으로 삼았다.

�삼별초가 나주를 공격하려고 하자, 고을 호장이 말하기를“진실로 성을

고수하지 못한다면 차라리 산속으로 들어가 피할 것이거늘, 내가 어찌

삼별초를 추종하리오.”라고 하 다.

ㄱ. 직역 수행에 상응하는 토지를 국가로부터 받았다.

ㄴ. 이들의 자제는 과거의 제술업에 응시할 수 없었다.

ㄷ. 남반, 잡류 등과 함께 중류층으로 분류되는 신분이었다.

ㄹ. 조세 징수나 노역 징발과 같은 지방 행정의 실무를 총괄하 다.

보기

① ㄱ, ㄷ ② ㄴ, ㄹ ③ ㄱ, ㄴ, ㄹ

④ ㄱ, ㄷ, ㄹ ⑤ ㄴ, ㄷ, ㄹ

2. 조선 시 노비 문서의 일부이다. 노비 신분과 관련하여 유추할 수

없는 것은? [05. 수능]

저 윤점이는 부모가 염병으로 다 죽고 어린 나이에 홀로 남아 굶주림

과 추위로 거의 죽을 지경이었으나, 남생원 아씨가 불쌍히 여겨 구해

주셨습니다. 저는 이를 고맙게 여겨 아씨 곁에 붙어 종이 되어 생계를 유

지하게 되었습니다. 20세에 이르러 같은 동네 평민 점삼의 꼬임에 넘어

가 도망하여 함께 살았습니다. 그러나 흉년으로 남편이 죽고 자식 셋과

먹고 살 길이 막연하여, 다시 주인 집에 들어와 저와 자식 셋을 주

인 집 노비로 드리니 뒷날 다른 말 하거든 이 문서를 가지고 관가에 가

바로잡을 일입니다.

① 윤점은 솔거노비가 되었다.

② 윤점의 자식세 명의 신분은 노비이다.

③ 점삼은 윤점과 결혼함으로써 노비가 되었다.

④ 평민이 어려운 생활형편으로 인해 노비가 되기도 했다.

⑤ 윤점은 노비의 처지를 벗어나는 방법으로 도망을 택했다.

새벽 2~4시

4~6시

8~10시

10~12시

12시~

오후 2시

2~4시

4~6시

6~8시

8~10시

10~12시

자정~새벽2시

기상(여름철). 앎과 느낌을 계발하는 공부.

기상(겨울철). 새벽 문안. 뜻을 세우고 몸을 공경히 하는

공부.

식사. 사색과 성찰.

손님 접 . 독서.

일꾼 관리. 친지에게 편지. 경전과 역사서 공부.

독서와 사색. 여가를 즐기거나 실용 기술을 익힘

식사. 여유있는마음으로독서. 성현의기상을본받는묵상.

가족과 일꾼의 일을 정검함. 자제들 교육.

일기∙장부 정리. 자제교육. 우주와 인생. 자기 행동에

한 묵상.

수면. 심신 안정과 원기 배양.

숙면, 밤기운으로 심신을 북돋움.

ㄱ. 독서와사색이선비의주요일과 다.

ㄴ. 이시기에는세끼식사가일반화되지않았다.

ㄷ. 극락왕생을위한묵상과경전공부가권장되었다.

ㄹ. 선비는일꾼관리와자제교육등집안일에나서지않았다.

보기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왕께서 통역관과 의관을 장려하려고 하여 동서 양반으로 발탁하여 쓰

려고 하시는데 듣고 놀랐습니다. (중략) 만일 예악을 일으키려면 악공을

동서 양반으로 발탁하고 농상을 장려하시려면 농부를 동서 양반으로 발

탁하여야 할 것이니, 그것은 사리에 맞는 일이 아닙니다. -성종실록

① 음서를 통하여 관직에 등용되었다.

② 향청을 통해 지방 행정에 참여하 다.

③ 전문 기술이나 행정 실무를 담당하 다.

④ 국가에 신공(身貢)을 바치거나 노동력을 제공하 다.

⑤ 생산에 종사하지 않고 유학자로서의 자질을 닦았다.

Page 4: 13 신분제사회의성립과변동file1.megastudy.net/FileServer/lecture/lec_s/guide...2010/03/02  · 수백가를주관한다. …활, 칼, 창을무기로하며, 집집마다무기를지니

147Ⅲ. 사회구조와 사회 생활 _KOREAN HISTORY

KOREAN HISTORY

서울 역사파의 절 퀄리티Ⅲ-13. 신분제 사회의

성립과 변동

146 KOREAN HISTORY_ 국사 개념완성

14. 다음을 통하여 신분제의 변화를 추론한 것으로 옳은 것을 <보기>

에서 고르면?

�근래 아전의 풍속이 나날이 변하여 하찮은 아전이 길에서 만나도 절을

하지 않으려 한다. 아전의 아들∙손자로서 아전의 역을 맡지 않은 자가

고을 안의 양반을 할 때 맞먹듯이 너 나 하며 자(字)를 부른다.

-목민심서

�양반은 가문의 경제력이 떨어져 몰락하게 되면 이름만 양반이지 일반

백성과 다름없는 잔반(殘班)이 되었다. 반면에 일부 농민은 광작 농업을

통하여 소득을 증 시켰고 나아가 경제력을 바탕으로 신분 상승을 꾀

하 다.

ㄱ. 양반 수가 늘어나 신분제가 크게 동요되었을 것이다.

ㄴ. 부농층이 향안에 등록하고 향회를 장악하고자 하 을 것이다.

ㄷ. 아전은 토지를 지급받았으며 문과에 응시할 수 있었을 것이다.

ㄹ. 정부는 기술직 중인들의 신분 상승을 위한 소청 운동을 수용하 을

것이다.

보기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13. 다음과 같은 역할극에서 등장 인물들이 자기 배역을 소개 할 때,

그 내용이 옳지 않은 것은?

�제목:고려 시 사람들의 생활

�때:11세기

�장소:개경 부근의 어느 마을

�등장 인물:갑(귀족), 을(향리), 병(군인), 정(백정), 무(외거 노비), 그 외

다수

①갑:3품관직에계셨던아버지가돌아가시면서공음전을물려주셨어.

②을:아들에게도과거에응시할수있는자격을주었으면좋겠어.

③병:아버지의군역을세습하고군인전을함께물려받았어.

④정:국가에조세와공납뿐만아니라역도부담해야해.

⑤무:주인에게신공을바쳐야하지만, 노력하면토지를가질수도있어.

9. 다음은 조선 후기의 어떤 인물에 관한 자료이다. 이 인물이 속한 계층

에 한 옳은 설명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09. 9. 평가원]

10. 다음은 양인과 천인의 결혼 사례를 가상한 것이다. ㉠~㉣의 신분

을 추정하여 순서 로 바르게 배열한 것은? [09. 9. 평가원]

11. 자료를 보고 추론한 내용으로 적절한 것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한 소년이 관가에 와서 말하기를, “저는 주부(注簿) 조 인의 노비 건삼

입니다. 저의 주인이 평소 양현고의 서리와 친하게 지내더니, 어느 날

그 서리가 은그릇을 가지고 방문하자 주인이 그 물건을 탐내어 독살하

고는, 마침 이를 목격한 저의 어머니까지 죽여 뒤뜰에 매장하고 은그릇

또한 모처에 묻었습니다.”라고 하 다. 담당 관원이 가서 파보니 과연

그러하 다. -고려사절요

�평량은 평장사 김 관의 노비로 양주에서 농사를 지으며 살았다. 그의

아내는 소감 왕원지의 노비인데, 왕원지가 집안이 가난해져 가족을 데

리고 평량의 집에 가서 의탁하고 있었다. 평량이 처남과 함께 몰래 일을

꾸며 왕원지의 가족을 모두 죽이고 아들의 주인이 없어졌음을 다행으로

여겼다. 그리고는 자기의 아들 예규로 하여금 정 벼슬을 얻게 하 다.

-고려사

ㄱ. 건삼 모자는 주인집의 잡일을 돌보며 살았을 것이다.

ㄴ. 평량은 매년 일정량의 신공을 국가에 바쳤을 것이다.

ㄷ. 경제적 지위가 백정 농민과 비슷한 노비도 있었을 것이다.

ㄹ. 노비 사이에서 태어난 자식은 아버지 쪽 주인의 소유 을 것이다.

보기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열일곱에 사역원(司譯院) 한학과에 합격하여, 틈이 나면 성현의 책을 부

지런히 연구해 쉬는 일이 없었다. 경전과 백가에 두루 통달하여 드디어

세상에 이름이 났다. …(중략)… 공은 평생 고문(古文)을 좋아하 다. 일에

종사하느라 거기에 힘을 오로지 쏟지 못했지만 공의 시와 문장은 당시

안목 있는 사람들에게 인정을 받았다. -완암집

ㄱ. 과거에합격하여청요직을거쳐고위관직에오를수있었다.

ㄴ. 서학을비롯한외래문화를수용하는데선구적역할을수행하 다.

ㄷ. 사족의권위를내세우며유학자로서의소양과자질을닦는데힘썼다.

ㄹ. 시사를조직하고시집을간행하는등활발한문학창작활동을벌 다.

보기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중종 27년(1532) 3월 김판서 노(奴) 막돌은 양녀(�女) 순금과 결혼하

여 ㉠딸을 낳았고, 7월에는 비(婢) 유월이가 양인 손동과 결혼하여 ㉡

아들을 낳았다.

�정조 9년(1785) 5월 박진사 노 돌쇠는 양녀 김소사와 결혼하여 ㉢아

들을 낳았고, 이듬해 4월 비 꽃분이는 양인 김석수와 결혼하여 ㉣딸을

낳았다.

㉠ ㉡ ㉢ ㉣

① 천인 천인 양인 천인

② 양인 천인 양인 천인

③ 천인 천인 천인 천인

④ 양인 양인 천인 양인

⑤ 천인 양인 천인 양인

12. 다음 신분층의 동향으로 옳은 것은?

�양반과 상민 사이의 신분으로 그 직역은 개 세습되었다.

�역관, 의관 등 기술관을 비롯하여 서리, 향리, 서얼 등 여러 계층이 포

함되며, 전문 기술이나 행정 실무를 담당하 다.

①조선 초기-성균관에 입학하여 과거를 준비하 다.

②조선 중기-향약을 보급하여 향촌 지배력을 강화하 다.

③조선 후기-상소 운동을 전개하면서 신분 상승을 꾀하 다.

④개항 전후-외세 침략에 맞서 위정 척사 운동을 주도하 다.

⑤일제 강점기-사회적 차별에 맞서 형평 운동을 전개하 다.

15. 밑줄 친‘이 법’의 시행 결과를 적절하게 추론한 학생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10. 9. 평가원]

“공노비나 사노비가 양인 처를 맞이하여 낳은 자식은 아들 딸을 가리

지 않고 모두 어미의 신분을 따르도록 하자는 것은 일찍이 이이가 주장

했던 것인데, 당시 조정에서 막아 시행하지 못하 습니다. 지금 양인이

날로 줄어드는 것은 이 법을 시행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라는 상소가

올라오자, 왕은 공∙사노비의 양인 처 소생은 한결같이 어미의 신분을 따

르게 하는 법을 세우라고 명하 다.

갑:공노비의 수가 감소하 을 것입니다.

을:노비 소유주의 신공 수입이 늘어났을 것입니다.

병:노비의 신분 상승 추세가 촉진되었을 것입니다.

정:노비 소유주들이 노비와 양인 여성의 결혼을 권장하 을 것입니다.

보기

① 갑, 을 ② 갑, 병 ③ 을, 병

④ 을, 정 ⑤ 병, 정

16. 다음과 같이 주장한 사회 계층에 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

에서 고른 것은? [10. 6. 평가원]

ㄱ. 삼국 시 에는 귀족이나 관청에 예속되어 신분이 자유롭지 못하 다.

ㄴ. 고려 시 에는 신공을 바치고 독립된 경제 생활을 위하 다.

ㄷ. 조선 시 에는 도살업, 유기 제조업을 생업으로 삼았다.

ㄹ. 일제 강점기에는 호적에 붉은 점이 찍혀 차별받았다.

보기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우리는 지금까지 어떤 멸시와 압박을 받아왔던가?

천하고 가난하고 연약해서 비천하게 굴종하 다.

공평(?平)은 사회의 근본이고 사랑은 인간의 본성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1. 계급을 타파하고 모욕적인 칭호의 폐지를 촉구한다.

1. 조선 민족 2천만의 한 사람으로, 참다운 인간으로 우받기를 촉

구한다.

� � � 취지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