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12월 15일 제 10호 - fki

18
관계사 내부용 하나 CEO 경영정보 2015년 12월 15일 제 10호 공유경제 트렌드 확산에 따른 산업 생태계 변화 - 글로벌 경영 트렌드 제 10호 -

Upload: others

Post on 20-Oct-2021

2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2015년 12월 15일 제 10호 - FKI

관계사 내부용

하나 CEO 경영정보2015년 12월 15일 제 10호

공유경제 트렌드 확산에 따른

산업 생태계 변화

- 글로벌 경영 트렌드 제 10호 -

Page 2: 2015년 12월 15일 제 10호 - FKI

하나금융경 연구소1

향후 경제규모 성장 전망 공유경제 서비스별 성장 전망

15

335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2015 2025E

전통경제 공유경제(십억달러)

22배

-20 0 20 40 60 80

크라우드펀딩

온라인staffing

P2P 숙박

Car Sharing

비디오스트리밍

장비 렌탈

B&B, hostels

도서 대여

카 렌탈

DVD 렌탈

공유

경제

기존

렌탈

방식

(%)

자료 : Credit Suisse, 하나금융경 연구소주 : 2013~2025년 기간 동안 각 분야별 revenue의 연평균 성장률

자료 : PWC

1. 공유경제(Sharing Economy) 패러다임의 성장과 전망

l 2010년 이후 협력소비Collaborative Consumption)를 전제로 한 공유경제가 급부상

- 최근 대량생산·대량소비의 자본주의 경제와 대비되고 소유 대신 한번 생산된 제품을

다수가 함께 사용하는 협력소비를 전제로 한 경제 방식인 공유경제가 급성장 중

※ 공 경제는 2008년 하 드 Lawrence Lessig 수 저 <REMIX>에 처 등

- 2010년 이후 세계 공유경제 시장은 연평균 80%에 가까운 고성장률을 기록하며

폭발적으로 성장하 고, 2015년 전체 시장규모가 150억 달러에 육박할 전망

- 20세기 자본주의 경제의 한계가 가져온 (1)환경오염 문제, (2)글로벌 경제위기,

그리고 (3)IT기술의 발달과 소셜 네트워크의 상용화 등이 그 발전 배경임

- 공유경제의 유형은 거래 방식(공유, 재분배, 협력), 제공서비스(제품 및 서비스,

물물 교환, 협력적 커뮤니티), 공유주체(P2P, B2C, C2B) 등에 따라 다양함

l 향후 공유경제 비즈니스는 기존 경제체제의 틈새시장를 보완, 대체하면서

메가트렌드로 자리매김할 전망

- 공유경제는 경제적·비경제적 혜택과 온라인이라는 확장력, 그리고 젊은 소비

세대의 반응 등을 고려할 때 향후 성장 잠재력이 매우 큰 것으로 평가됨

※ 크라우드 , 라 직원채용, P2P 숙 , 카 어링 비스 심 전 계 공 경제

산업 2015년 150억 달러 수 에 2025년에는 3,350억 달러 20 상 확 전망

Page 3: 2015년 12월 15일 제 10호 - FKI

하나 CEO 리포트 Hana CEO Report

Hana Institute of Finance2

향후 경제시스템 변화 전망 기존 기업의 공유경제 트렌드 확산에 따른 대응 방안

대응방안과 예시1. 공유경제 업체 인수 및 합작투자

- Avis의 Zipcar 인수- BMW는 Sixt와 합작하여 Drive-Now를 운2. 공유경제 업체에 대한 직접투자

- Google, Lending Club에 투자- GE, Quirky(발명 아이디어 거래 마켓플레이스)에 투자- GM, RelayRides(P2P 카셰어링 전문업체)에 투자3. 신생 공유경제 기업과의 협력

- GE는 TaskRabbit(온라인 심부름 대행 서비스 업체)과 협업- Santander와 Funding Circle은 일부 기업기업을 공유4. 現 비즈니스 모델 재평가

- DHL은 모바일 앱 MyWays를 출시하여 서비스를 개선주 : 산업 분야별로 기존 시장 규모가 위축 또는 정체되는 분야가 발생

자료 : 하나금융경 연구소자료 : 언론 자료 종합

2. 산업 생태계 변화와 기존 기업의 대응 방안

l 공유경제가 기존 시장의 비효율적 요소를 제거하면서 확대된 규모의 新 경제

시스템을 창조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기존 산업계의 능동적인 대응이 필요

- 향후 글로벌 시장 내 공유경제 규모가 확대될 경우 기존 산업의 업환경 변화

가 불가피하며, 이와 관련한 업계의 능동적인 대응이 필요

- 다만, 파괴적 혁신이 아닌 상생적 혁신 모델을 통해 기존 경제시스템 내에 존재하는

비효율성을 제거하면 공유경제를 포함한 新 경제시스템의 전체 가치는 확대될 수 있음

- 공유경제가 기존 시스템을 축소시키는 대신 새로운 비즈니스 창출 기회를 제공함

으로써 現 시스템을 포괄하는 전체 경제의 성장을 촉진하는 매개체로 작용하기 때문

※ 원가 우 강점 가진 P2P 크라우드 과 같 금 야 공 경제는 기

존 금 산업 제한하나, 신사업 과 합 통해 전체시 진

- 따라서 기존 업계 입장에서는 現 비즈니스 모델을 재평가하고, 협업·합작투자·인수·

신사업 진출 등의 적극적이고 다양한 대응방안을 마련함으로써 공유경제 패러다임을

선도하는 전략이 요구됨

※ 미 , 럽 가에 는 정 차원에 공 경제 한 제도 개 등 노 전개

고 , 2015년 10 Startup 기업 1/2 상 공 경제 표하는 업체

※ 기존 업체가 공 경제 업체 협업한 표적 사 는 AirBnB 공 기존 호

업계가 협 LiquidSpace( 라 약 비스 회사)가 등 하여 호 보 한 비

미 룸에 한 공 비스 제공하 기존 호 매 신 시킴

Page 4: 2015년 12월 15일 제 10호 - FKI

Hana CEO Report 하나 CEO 리포트

하나금융경 연구소3

표1 | 전통경제와 공유경제의 비교 그림1 | 공유경제의 비즈니스 모델

전통경제 공유경제

소유 공유

자원고갈 자원절약

이윤창출 가치창출

경쟁 신뢰

과잉 소비 협력적 소비

자료 : 부산발전연구원 자료 : 크라우드산업연구소

1. 공유경제(Sharing Economy) 패러다임의 등장

■ 공유경제란 유·무형 자산의 소유 대신 협력소비를 전제로 한 경제 방식

● 공유경제란 개인이 자산을 소유하는 대신 서로 대여하고 차용하여 사용함으로써 한

번 생산된 제품을 다수가 함께 사용하는 협력소비(Collaborative Consumption)를

전제로 한 경제 방식

- 공유경제란 용어는 2008년 하버드대 Lawrence Lessig 교수의 저서 <REMIX>에 처음 등

장하 으며, 대량생산·대량소비의 자본주의 경제와 대비되는 개념으로 사용

- 앞서 2000년 미래학자 Jeremy Rifkin은 <소유의 종말>에서 “소유의 시대가 막을 내리고 접

근이 경제활동의 중심이 되는 시대 가 올 것”이라 주장하 는데 이는 공유경제의 근간이 됨

● 2000년대 들어 공유를 기반으로 한 비즈니스 모델인 P2P 마켓플레이스와 더불어

Uber, Airbnb 등과 같이 공유 서비스를 활용한 사업이 급격히 성장 중

● 특히 최근에는 사회 전반에 걸쳐 SNS를 통해 음악, 사진파일 등을 비롯한 일상생활 전

반을 거부감 없이 불특정 다수와 공유하면서 소비자들이 공유(Sharing)라는 개념과 친

숙해진 사회 분위기가 형성

● 이러한 분위기 속에 공유경제는 기존에 단순히 물리적 제품을 나눠 가지던 차원을 넘

어 최근에는 일자리, 공간, 재능, 능력 등을 공유하는 신시장으로 역이 확대되면서

새로운 경제 패러다임으로 인식되고 있음

- 공유경제는 기존 렌탈(자원구매에 따른 비용 절감을 위해 일정 기간 제품을 대여)과 유

사하나 거래 주체, 자원의 사용 단위 및 수명 등에서 보다 광범위한 개념

Page 5: 2015년 12월 15일 제 10호 - FKI

하나 CEO 리포트 Hana CEO Report

Hana Institute of Finance4

표2 | 공유경제의 성장 원인

구분 주요 내용

환경적 요인* 환경오염으로 지구 온난화 등과 같은 기후 변화가 발생하고 자원 고갈에 대한 우려감이 확산

→ 친환경적 트렌드와 부합하는 공유경제의 성장 배경으로 작용

경제적 요인* 글로벌 경제위기 : 뉴노멀 시대, 중산층의 고용기회 상실 및 소득 감소

→ 유휴자원 활용의 동기가 발생

기술적 요인* IT 기술의 급속한 발달로 소셜·모바일·결제 기반이 빠르게 진화

→ 물건, 서비스 공유를 위한 플랫폼의 발달

사회적 요인

* 모바일, SNS의 발달로 정보의 공개 수준이 확대되면서 정보 비대칭이 해소

→ 소비자 입장에서는 제품 및 서비스 선택 시 레몬마켓 리스크 축소

* 합리적 소비자를 중심으로 저렴한 가격대의 개성 있는 제품에 대한 니즈가 확대

→ 독특한 취향을 충족시키는 공유경제 서비스에 대한 니즈가 확대

자료 : 하나금융경 연구소 정리

■ 공유경제의 성장 배경은 환경적, 경제적, 사회·문화적 요인으로 구분

● 공유경제의 발전 배경은 20세기 자본주의 경제의 한계가 가져온 (1)환경오염 문제,

(2)글로벌 경제위기, 그리고 (3)IT기술의 발달과 소셜 네트워크의 상용화 등임

● <환경적 요인> 2000년대 중반 지구 온난화와 같은 기후변화 이슈가 본격적으로 제

기되고, 사회 전반적으로 자원 고갈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친환경적 트렌드와 부

합하는 공유경제에 대한 관심이 급증

- 1대의 자동차를 다수가 공유할 경우 9~13대의 자동차 소비를 대체한다는 분석 결과가

있으며, 사무실이나 다양한 서비스까지 공유할 경우 불필요한 소비를 줄이고 자원의 활

용도를 높일 수 있다는 공유경제의 이점이 부각

● 이는 더 많이 생산하고 더 많이 소비하는 것을 미덕으로 한 기존의 경제 패러다임에

서 벗어나 자원 낭비와 환경 오염을 줄일 수 있는 “지속가능한 성장 패러다임을 모

색하자”는 움직임이 가시화된 것

● <경제적 요인> 또한 '08년 금융위기 이후 글로벌 경제의 저성장 기조가 지속되고 중

산층을 중심으로 고용기회와 소득이 감소하면서 유휴자원을 활용하여 새로운 수익

(부가가치)을 창출하고자 하는 유인이 발생

- 자주 사용하지 않는 자동차(이동수단)를 비롯한 내구재(전자기기, 의류, 액세서리, 기계

설비, 공구)와 가정 내 빈 방이나 방치된 빈 사무실(공간 및 토지) 등의 유휴자산을 대여

함으로써 소유자 입장에서는 수익 창출이 가능

- 더 나아가 개인의 재능(지식, 경험, 노동력)과 유휴자금(자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유·무

형의 유휴자산을 가동시킴으로써 새로운 수익원으로 활용함

● 한편 제공자 입장에서는 잉여 자원을 활용해 수익이 발생해 사회적 잉여가 증가하는

효과가 있음

Page 6: 2015년 12월 15일 제 10호 - FKI

Hana CEO Report 하나 CEO 리포트

하나금융경 연구소5

그림2 | IT 비즈니스의 발전과 공유경제 그림3 | 생활 전반에 걸친 공유경제 서비스의 예

자료 : 크라우드산업연구소 자료 : Future teach report

● <기술적 요인> 최근 인터넷 및 모바일 기술의 발달로 소셜·모바일·결제 기반이 지속

적으로 진화하면서 개인이 물건과 서비스를 공유하는 것이 더욱 쉽고 편리해진 것도

공유경제 성장의 주요한 요인

- 모바일 콜택시 서비스인 Uber는 소비자가 스마트폰을 이용해 차량을 요청하여 이용한

후 목적지 도착 시 GPS로 이동거리를 측정해 계산된 요금을 스마트폰을 통해 자동으로

결제함으로써 이용자 입장에서 매우 편리

● <사회적 요인> 모바일, SNS의 발달로 사회 전반에 걸쳐 정보의 공개 수준이 확대되

고, 정보 비대칭이 줄면서 소비자 입장에서는 레몬마켓에 대한 불안감이 해소

- 과거 제품 또는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소비자는 제공자와의 전화통화를 통한 구두 상

설명을 기반으로 상품의 질을 판단하고 의사결정해야 했으나, 최근에는 인터넷 상에서 상

품의 이미지를 확인할 뿐만 아니라 다른 이용자의 평가 점수(별점 등)를 참고할 수 있음

● 이와 더불어 개인이 제공하는 합리적인 가격대의 독특한 물건과 서비스가 기업이 대

량 생산한 제품·서비스보다 더욱 매력적이라고 인식하는 개성과 합리성을 중시하는

소비자층이 확대

- 물질적으로 부유하지 못한 젊은 층을 중심으로 값비싼 호텔 체인 대신 저렴한 가격대에

개인의 취향 및 개성을 충족시켜주는 빈방을 선호하는 경향이 확산

●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온라인 거래에 친숙하며 환경 이슈에 민감한 미국 등 선진국

대도시 거주 젊은 소비자층을 중심으로 공유경제의 가치가 크게 지지받고 있음

Page 7: 2015년 12월 15일 제 10호 - FKI

하나 CEO 리포트 Hana CEO Report

Hana Institute of Finance6

그림4 | 공유경제 개념도

자료 : 하나금융경 연구소

■ 공유경제의 유형은 거래 방식, 제공서비스, 공유주체 등에 따라 구분

● 공유경제는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나타나는데 (1)사용한 만큼 요금을 지불하는 방

식, (2)특정인이 소유한 물건을 타인에게 재분배하는 방식, (3)실물이 아닌 시간·기술·

자금·재능 등을 공유하는 방식으로 구분

●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공 서비스에 따라서 (1)제품 및 서비스, (2)물물교환, (3)협력

적 커뮤니티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는 유·무형 서비스 분야를 포괄함

- 제품 및 서비스 : 소비자들이 제품 혹은 서비스를 소유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방식으로

렌탈와 유사한 개념 <예> 카셰어링(Zipcar), 바이크셰어링(Velib), 장난감, 도서 대여 등

- 물물 교환 : 필요하지 않은 제품을 필요한 사람에게 재분배 하는 방식으로 주로 중고 물

품을 거래하는 것 <예> 경매(ebay), 물물교환시장(키플), 상품권 교환(Freecycle) 등

- 협력적 커뮤니티 : 커뮤니티 내 사용자 간의 협력을 기반으로 하며, 유⋅무형자원을 포

괄적으로 공유 <예> 공간(AirBnB), 여행 경험(플레이플레닛), 지식 공유(위즈돔) 등

● 제품 및 서비스의 공유 주체에 따라서도 비즈니스 모델이 다양한데, 서비스 제공자

와 이용자 주체가 개인 또는 사업자로 나뉘면서 P2P, B2C, C2B 등의 모델이 존재

- B2C 모델은 특정 사업자가 자산을 소유하고 이를 이용자와 공유하는 방식이며, P2P 모

델은 상품을 소유한 사람과 이용자를 연결해 주는 플랫폼을 통해 제품 및 서비스를 공유

하며, 그 과정에서 플랫폼 업체 또한 중개 수수료를 취함

Page 8: 2015년 12월 15일 제 10호 - FKI

Hana CEO Report 하나 CEO 리포트

하나금융경 연구소7

표3 | 공유경제 서비스 분류 및 주요 서비스 제공 업체

제공서비스 거래방식 공유자원공유기업

국외 국내

제품 및 서비스

사용자들이 제품 혹은

서비스를 공유하여

사용

자동차 쉐어링

Zipcar

Streetcar

GoGet

쏘카

그린카

바이크 쉐어링

Velib

Bardays

Cyde Hire

푸른바이크 셰어링

태양 에너지 공급SolarCity

Solar Century-

장난감 대여DimDom

Babyplays희망장난감도서관

도서 대여Chegg

Zookal

국민도서관

책꽃이

물물 교환

필요하지 않은 제품을

필요한 사람에게

재분배

경매시장

ebay

craiglist

flippid

옥션

지마켓

11번가

물물교환시장Threadup

Swapstyle

키플

열린옷장

무료/상품권 교환Freecycle

Giftflow-

협력적

커뮤니티

커뮤니티 내

사용자 간 협력

공간공유AirBnB

Roomorama

코자자

비앤비히어로

모두의 주차장

구인구직Loosecubes

Desksnearme

알바몬

알바천국

여행경험 AirBnB 플레이플레닛

지식공유

TeachStreet

TradeSchool

위키피디아

위즈돔

와우텐

택시 쉐어링

Taxi2

TaxiDeck

TaxiStop

-

크라우드펀딩Kickstarter

Indiegogo

씨앗펀딩

굿펀딩

자료 : 경기개발연구원(2014), 하나금융경 연구소

Page 9: 2015년 12월 15일 제 10호 - FKI

하나 CEO 리포트 Hana CEO Report

Hana Institute of Finance8

그림5 | 글로벌 공유경제 시장 성장 추세 그림6 | 세계 공유경제의 대륙별 비중 현황

0

20

40

60

80

100

120

140

16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P

(억달러)

CAGR

77.6%

오세아니아

3%

북미

60%

유럽

36%

아시아

1%

자료 : massolution, PwC 자료 : www.massolution.com

2. 공유경제 비즈니스의 성장과 향후 전망

■ 향후 공유경제 비즈니스는 기존 시장의 틈새를 보완, 대체하면서 메가트렌드로

자리매김할 전망

● 2010년 이후 세계 공유경제 시장은 연평균 80%에 가까운 고성장률을 기록하면서

폭발적으로 성장하 으며, 2015년 전체 시장 규모가 150억 달러에 육박할 것으로 추정

- 세계 공유경제 시장 규모 추이(masssolution, Pwc) : 8.5억 달러(2010년) -> 14.7억 달러

(2011년) -> 29억 달러(2012년) -> 51억 달러(2013년) -> 100억 달러(2014년) -> 150

억 달러(2015년p)

● 현재 글로벌 공유경제 시장의 규모는 북미와 유럽이 각각 60%, 36%를 차지하면서

전체 시장을 선도하고 있으며, 향후 전세계 각국으로 범위가 확대될 전망

● 공유경제가 가진 경제적·비경제적 혜택과 온라인이라는 확장력, 그리고 젊은 소비세

대의 반응 등을 고려할 때 향후 성장 잠재력이 매우 큰 것으로 평가됨

● 실제 인터넷을 통해 소비하는 경향이 강하고, 저렴하고 의미 있는 제품 및 서비스의

구매를 원하는 밀레니엄 세대를 바탕으로 공유경제 문화는 빠르게 확산되는 추세

● 이와 같이 공유경제 모델은 기존 시장경제의 틈새를 빠른 속도로 보완, 대체하면서

향후 글로벌 경제의 유력한 메가트렌드로 자리 잡을 것으로 기대됨

- PwC는 전세계 공유경제 관련 산업 규모가 2015년 150억 달러 수준에서 10년 후인

2025년에는 3,350억 달러(한화 370조 원)로 약 20배 이상 커질 것이라 예상함

Page 10: 2015년 12월 15일 제 10호 - FKI

Hana CEO Report 하나 CEO 리포트

하나금융경 연구소9

그림7 | 신생 공유경제와 기존 공유산업의 라이프사이클 그림8 | 공유경제 서비스별 성장 전망

자료 : PWC주 : 2013~2025년 기간 동안 revenue의 연평균 성장률

자료 : PWC

■ 공유경제는 사용자의 니즈 확대를 바탕으로 경제효과 창출의 순기능을 담당

● 최근 서비스 제공 사업자들이 사용자 인증, SNS 연동 기능 등의 사용자 간 신뢰 구

축을 위한 다양한 프로세스를 도입하고 있는 가운데 사용자들의 공유경제 서비스에

대한 니즈가 급속히 확대

- 2012년 7월 Washington의 UBER 사용자들이 UBER 서비스의 합법화를 주장하는 소셜

미디어 캠페인을 벌 으며, 결국 시의회 투표를 통해 한시적으로 UBER 서비스가 허용됨

● 한편 유휴자산을 업용 자산으로 전환시킴으로써 부가 소득 창출 및 비용 절감 효

과가 발생하는 등 경제효과 창출 측면에서도 공유경제의 성장이 지지됨

- 공유경제 플랫폼 사업자의 경우 사적 재화를 구매하지 않고 개인 간의 거래 유도를 통해

비교적 간단한 모델로 창업이 가능

■ 특히 크라우드펀딩, 온라인 직원 채용, P2P 숙박, 카셰어링 분야를 중심으로 공

유경제의 성장이 기대됨

● 향후 공유경제의 서비스별 성장 전망을 살펴보면 크라우드펀딩, 온라인 직원 채용,

P2P 숙박, 카셰어링,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를 중심으로 성장할 전망

- PwC의 공유경제 분야별 연평균 성장률 전망(2013~2025년) : 크라우드펀딩 63%, 온라

인 직원채용 37%, P2P 숙박 31%, 카셰어링 23%, 비디오 스트리밍 17% 등

● 반면, 기존 렌탈방식인 DVD렌탈 시장은 크게 위축되고 자동차 렌탈, 도서 대여,

Hostels, 장비 렌탈 시장은 5% 미만의 소폭 성장에 그칠 것으로 예상됨

-20 0 20 40 60 80

크라우드펀딩

온라인staffing

P2P 숙박

Car Sharing

비디오스트리밍

장비 렌탈

B&B, hostels

도서 대여

카 렌탈

DVD 렌탈

공유

경제

기존

렌탈

방식

(%)

Page 11: 2015년 12월 15일 제 10호 - FKI

하나 CEO 리포트 Hana CEO Report

Hana Institute of Finance10

그림9 | 향후 경제시스템 변화 전망 그림10 | 공유경제 성장에 따른 경제규모 전망

주 : 경제시스템 중 산업 분야별로 시장 규모가 위축 또는 정체되는 분야가 발생

자료 : 메타트렌드연구소, 하나금융경 연구소자료 : Credit Suisse

3. 기존 경제 시스템 및 산업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 방안

■ 공유경제가 기존 경제시스템 규모를 축소시킬 것이란 우려가 존재

● 공유경제의 성장이 제품과 서비스를 생산, 제공하면서 성장해 온 기존 기업들에게

잠재적으로 매우 큰 위협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란 우려가 존재

● 실제 공유경제는 오랜 기간 경제 주체들이 준거로 삼아 온 경제관련 제도 및 규제와

충돌하면서 기존 사업자들의 이익 침해가 발생할 수 있음

● 이는 소비자들이 신제품 출시 후 상품을 구매하는 대신 타인과 상호 공유하면서 리

사이클링 소비 패턴으로 변경할 경우 기존 기업의 사업 역의 축소가 가능

- 자동차가 필요한 10명의 소비자가 자동차 공유서비스 ZipCar를 통해 3대의 자동차를 공

유할 경우 기존 제조사 입장에서는 7대의 자동차에 대한 판매 기회를 상실함

■ 그러나 공유경제를 통해 기존 시장의 비효율적 요소가 제거될 경우 새로운 경제

시스템 규모는 기존 시장 대비 크게 확대될 전망

● 장기적으로 혁신을 갈구하는 소비자와 시장의 압력 하에 공유경제가 지속 성장할 것

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기존의 생산·소비의 경제 패러다임은 크게 변모할 수 밖에 없음

● 공유경제는 기존에 없던 파괴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통해 소비자들에게는 합리적 가격

의 제품 및 서비스 소비의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고, 경제 전체적으로는 경쟁과 협력

증진, 유연성 및 지속 가능성이라는 미래가치를 확산시키는 성장동력으로 활용 가능함

15

335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2015 2025E

전통경제 공유경제(십억달러)

22배

Page 12: 2015년 12월 15일 제 10호 - FKI

Hana CEO Report 하나 CEO 리포트

하나금융경 연구소11

그림11 | 글로벌 10대 Startup 기업 리스트 그림12 | LiquidSpace의 공간 공유 서비스

0

10

20

30

40

50

60

Uber

Xia

om

i

Air

bnb

Pal

anti

r

Snap

chat

Flip

kart

Did

i Kuai

di

Spac

eX

Pin

tere

st

Dro

pbox

자본금 기업가치(십억달러)

주 : 2015년 8월말 기준

자료 : WSJ, Dow Jones Venture Source자료 : LiquidSpace 홈페이지

● 일례로 Dow Jones Venture Source에 따르면 2015년 글로벌 Startup 10대 기업 중

공유경제를 대표하는 업체가 1/2 이상 포함되는 등 공유가치가 최근 신생기업의 주

요한 개념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음

- 2015년 10대 Startup 기업 중 공유경제를 표방한 업체 1위 Uber, 3위 Airbnb, 5위

Snapchat 등은 최근 몇 년간 기업가치가 급격히 상승

※ WSJ Dow Jones VentureSource는 매년 1조원(10억 달러) 상 기업가치 가진

전 계 스타트업 기업 료 The Bilion Dollar Startup Club 라는 제목 제공

● 즉, 공유경제는 기존 경제 시스템의 성장을 제한하나, 새로운 비즈니스 창출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기존 시스템을 포괄하는 전체 시장규모의 확대를 촉진하는 매개체로

작용

- '90년대 인터넷과 이메일의 등장으로 사람들은 전통적 우편 서비스가 사라질 것으로 예

상하 으나, 이후 전자상거래의 증가로 우편과 로지스틱 분야는 폭발적인 성장을 지속

● 재개발을 위해 기존 건물을 철거해야 하는 것과 같은 원리로 공유경제는 기존 경제

시스템에서 잔존하는 비효율적 요소를 제거함으로써 새로운 시스템이 정착할 수 있

는 기반을 제공할 것임

- AirBnB의 대성공으로 기존 호텔 업계가 위협을 받자 LiquidSpace가 등장하여 호텔이 보

유한 로비와 미팅룸에 대한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기존 호텔의 매출을 신장시킴

※ LiquidSpace는 시간 나 하루 단 연하게 활용할 수 는 업 공간 빠 게

약해주는 라 비스 회사

Page 13: 2015년 12월 15일 제 10호 - FKI

하나 CEO 리포트 Hana CEO Report

Hana Institute of Finance12

그림13 | BMW와 Sixt의 합작사인 Drive-Now 그림14 | 현대차그룹의 카셰어링 캠페인

자료 : Drive-Now 홈페이지 자료 : 현대자동차 홈페이지

■ 트렌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기존 기업들의 대응이 중요하며, 이는 전체 시장

의 성장을 견인

● 과거 정부차원에서는 공유경제가 기존 산업을 위협하여 실물경제를 위축시키고 업

권, 소유권, 접근권, 이용권의 혼재로 과세 등 법질서의 혼란을 초래한다는 인식이

강했으나 최근 크고 작은 변화의 조짐이 감지되고 있음

- 2012년 5월 미국 San Francisco 시장은 세계 최초로 공유경제와 관련한 정책 이슈를 다

루는 워킹그룹을 설치하는 등 제도적 개선을 위한 정부 차원의 노력을 전개

● 따라서 기존 사업 주체 입장에서는 비즈니스 역에 출현한 새로운 혁신의 흐름을

빠르게 이해하고 변화를 수용하면서 공유경제의 참여자들과 상생하는 방안을 모색하

는 등의 발 빠른 대응이 필요

- GM과 폭스바겐, 르노, 현대자동차 등의 글로벌 자동차 기업들은 차량 출자, 공유, 기부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공유경제의 참여 방법을 모색 중

● <방안1> 기존 기업 입장에서 가장 손쉬운 대안은 성장잠재력이 큰 공유경제 서비스

업체를 인수하거나 합작투자함으로써 기존 사업에 공유경제를 결합하는 것

- 렌터카 업체 Avis는 기존 사업 부문을 활용해 카셰어링 서비스에 대항하는 대신 시간제

렌터카 서비스 업체인 Zipcar를 2013년 5억 달러에 인수

- BMW는 세계적인 렌터카 업체인 Sixt와 합작하여 미국과 독일 등 5개 도시에서 자동차

공유회사인 Drive-Now를 운

Page 14: 2015년 12월 15일 제 10호 - FKI

Hana CEO Report 하나 CEO 리포트

하나금융경 연구소13

표4 | 기존 기업의 공유경제 트렌드 확산에 따른 대응 방안

대응 방안 주요 내용

1. 공유경제 업체 인수 또는 합작투자

- 렌터카 업체 Avis는 시간제 렌터카 서비스 업체인 Zipcar를 5억 달러에 인수

- BMW는 세계적인 렌터카 회사 대여회사인 Sixt와 합작하여 미국과 독일 등 5개

도시에서 자동차 공유회사인 Drive-Now를 운

2. 공유경제 업체에 대한 직접투자

- Google은 Lending Club에 1억 2,500만 달러를 투자

- GE는 크라우드소싱 분야의 발명 아이디어를 거래하는 마켓플레이스 Quirky에

3,000만 달러 투자

- GM은 P2P 카셰어링 전문업체 RelayRides에 300만 달러를 투자

- BMWi는 주차 공간이 필요한 사람에게 주변의 주차 공간을 연결해주는 서비스

ParkatmyHouse와 전기차 충전장치를 가진 집주인과 전기차 운전자를 연결해주는

서비스 ChargeatmyHouse에 투자

3. 신생 공유경제 기업과 협력

- GE와 Walgreens(잡화와 약품을 판매)는 온라인 심부름 대행 서비스 TaskRabbit과

협업

- 미국의 일부 지방은행은 Lending Club과 대출채권 거래를 하고 있으며, Santander

와 Funding Circle은 기업고객을 서로 소개해주는 서비스를 추진 중

4. 現 비즈니스 모델 재평가- DHL은 최종 목적지까지 배달을 원하는 고객(발송자 또는 수령인)과 배달하는 사람을

연결해주는 모바일 앱 MyWays를 출시

자료 : 언론 자료 종합

● <방안2> 그리고 기존 업체가 공유경제를 표방한 스타트업 기업에 일정 부분 투자함

으로써 산업 생태계 내에서 상생할 수 있는 전략을 모색할 수도 있음

- Google은 Lending Club에 1억 2,500만 달러를, GE는 크라우드소싱 분야의 발명 아이디

어를 거래하는 마켓플레이스 Quirky에 3,000만 달러를, GM은 P2P 카셰어링 전문업체

RelayRides에 300만 달러를 각각 투자

- BMW 산하 벤처 캐피털 업체인 BMWi는 주차 공간이 필요한 사람에게 주변의 주차 공

간을 연결해주는 서비스 ParkatmyHouse와 전기차 충전장치를 가진 집주인과 전기차 운

전자를 연결해주는 서비스 ChargeatmyHouse에 투자

Page 15: 2015년 12월 15일 제 10호 - FKI

하나 CEO 리포트 Hana CEO Report

Hana Institute of Finance14

● <방안3> 또는 기존 기업이 공유경제 분야의 신생기업과 협업을 통해 소비자에게 보

다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회사 브랜드를 제고하고 부가 수익 창출에 기여할

수 있음

- 온라인 심부름 대행 서비스 TaskRabbit은 펩시, GE, 그리고 잡화와 약품을 판매하는

Walgreens와 협업하고 있는데, 예를 들어 Walgreens가 운 하는 가게들은 TaskRabbit

을 통해 독감 유행 시기에 의약품을 배달해주는 서비스를 제공

- 미국의 일부 지방은행들은 렌딩클럽과 대출채권 거래를 하고 있으며, 산탄데르와 펀딩서

클은 고객 기업을 서로 소개해주는 서비스를 추진 중

● <방안4> 더 나아가 인지도 있는 기존 브랜드들은 단순 투자나 단기 마케팅 위주의

전략보다 근본적으로 비즈니스 모델을 재평가함으로써 경제적 가치를 증대시킬 수도

있음

- 글로벌 물류업체 DHL은 다수의 신흥시장에서 자사를 비롯한 많은 회사들이 최종 목적지

까지 물품을 배달하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 2013년 9월 최종 목적지까지 배달을 원하는

고객(발송자 또는 수령인)과 배달하는 사람을 연결해주는 모바일 앱 MyWays를 출시

- MyWays는 유연한 배송 서비스를 원하는 소비자의 만족도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택배

배달을 통해 부가 수익을 얻는 경제 참여자를 유입하면서 경제 전체의 부가가치를 증대

■ 한편 현재 한국 내 공유경제에 대한 참여 인식은 소극적이나, 향후 성장 잠재력은

충분하다고 판단됨

● 세계적으로 공유경제의 급속한 확산 트렌드와 함께 국내시장에서도 공유경제의 성장

잠재력에 대한 관심이 급증

●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공유경제에 대한 참여 의향 수준은 글로벌 주요 지역 대

비 상대적으로 낮은 편

- Nielsen에 따르면 한국사회의 공유참여 의향 조사 결과 "매우 긍정"과 "긍정"이 각각

8%, 41%로 나타나 글로벌 시장의 21%, 45% 대비 낮은 것으로 조사

- 또한 소비자의 공유경제를 활용한 선호 아이템이 전자제품, 의류, 캠핑용품, 자동차, 생

활용품, 스포츠용품, 이동수단(자동차, 오토바이) 등으로 나타나 기존 렌탈시장의 소비

수준에 머물러 있는 것을 알 수 있음

● 사회·문화적으로 대인관계에서의 낮은 신뢰수준, 사회적 가치창출을 위한 창의적 인

재 개발 교육 환경의 부재 등이 공유경제의 성장에 장애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

- 공유경제(기업)의 기반인 시민의식, 거래 및 신뢰 프로세스가 미흡한 점은 공유경제 체

제 하에서 안정된 서비스 공급과 확대에 걸림돌로 작용

Page 16: 2015년 12월 15일 제 10호 - FKI

Hana CEO Report 하나 CEO 리포트

하나금융경 연구소15

그림15 | 향후 글로벌 주요 지역별 공유경제 참여 의향 그림16 | 한국인의 공유경제 기반의 선호 아이템

의향 없음

14%

생활용품

8%

8%

2%

오토바이

2%

기타

2%

애완동물

4%

전통기구

5%

스포츠용품

8%

자전거

7%

교육서비스

6%

가구

5%

전자제품

10%의류

10%

캠핑용품

9%

자료 : Nielsen 자료 : Nielsen

●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유경제 성장의 기반시설인 소비자 인프라 즉, 주요 거래 매체

인 연결성 수준(인터넷 보급 등)과 사회 안전도가 높고, 공유경제에 대한 잠재적 선

호도인 자원 재활용률이 높은 편으로 향후 성장잠재력은 충분하다고 판단됨

- 국가와 기업의 가치창출의 기반인 교육수준이 매우 높고, 국제특허 건수도 증가 추세

● 한편 최근 글로벌 시장 내 공유경제의 장점이 부각되면서 산업 패러다임의 변화가

가속화되는 가운데 국내 정부 및 업계의 대응방안 모색을 위한 노력이 절실한 시점

● 정부 차원에서는 새로운 수요 대응과 기존 기업과 공생을 위한 합리적 법, 제도 개선

에 대한 논의 및 공유분야 스타트업 기업에 대한 인증 및 투자를 통한 경제 활성화

방안 모색이 필요

- 서울시는 2012년 9월 "공유도시 서울"을 선언한 이후 공유경제 조례를 제정하는 등 정책

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현재 시민들의 참여가 저조한 상황

- 부산경제진흥원과 공유경제 인큐베이팅 센터는 2014년 5월부터 "공유경제 사업화 아이

디어 공모전"을 열어 공유경제 사업화의 성공모델 발굴에 노력 중

0% 20% 40% 60% 80% 100%

아시아 태평양

중동/아프리카

남미

북미

유럽

글로벌

한국

매우 긍정 긍정 부정

Page 17: 2015년 12월 15일 제 10호 - FKI

하나 CEO 리포트 Hana CEO Report

Hana Institute of Finance16

그림17 | 공유경제 트렌드 확산에 따른 산업 생태계 변화

주 : 경제시스템 중 산업 분야별로 시장 규모가 위축 또는 정체되는 분야가 발생. 예를 들어 모텔, 여관 등의 기존 숙박업 시장의 위축이 가능

자료 : 하나금융경 연구소

4. 공유경제가 가져올 산업 생태계 변화와 시사점

■ 향후 공유경제가 기존 산업의 생태계 변화를 초래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기

존 업계의 능동적인 대처가 필요

● 향후 글로벌 시장 내 공유경제 규모가 확대될 경우 기존 산업의 업환경 변화가 불

가피한 가운데 업계의 능동적인 대응이 필요

- 공유경제는 자원의 효율적 활용을 통해 경제적 부가가치를 증대시킴으로써 지역사회의

공동선(Common Good)에 기여하는 매력적인 경제 패러다임으로 평가받고 있음

● 최근 한국도 정부 차원에서 발전된 정보통신기술(ICT), 모바일 인프라를 바탕으로 공

유경제를 新 서비스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규제 완화 등의 정책을 펼치고 있어 관

련 서비스 시장의 성장이 더욱 가속화될 전망

● 따라서 기존 산업계는 상생적 혁신 모델을 통해 기존 경제시스템에 존재하는 비효율

성을 제거하고 공유경제를 포함한 新 경제시스템의 가치 확대에 힘을 쏟아야 함

- 원가 우위의 강점을 활용한 P2P 대출 및 크라우드펀딩과 같은 금융 분야의 공유경제 모

델은 기존 금융산업의 성장을 제한하는 한편, 금융업 전체시장의 성장을 촉진할 수 있음

- 따라서 기존 업계는 現 비즈니스 모델을 재평가함으로써 협업, 합작투자, 인수 등의 적극

적이고 다양한 대응방안을 마련함으로써 공유경제 패러다임을 선도하는 전략이 요구됨

Page 18: 2015년 12월 15일 제 10호 - FKI

Hana CEO Report 하나 CEO 리포트

하나금융경 연구소17

수 석 연 구 원 김 유 진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