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 기술 정책 및 산업...

54
TIS-02-27 2002. 7. 18. 105 105 105 1055 등록일: 1985 11 월 4 / 등록번호: 대전 01003 편집인 발행인: 오길록 / ISSN 1225-6447 정보통신 기술, 정책 산업 주간기술동향 주간기술동향 주간기술동향 주간기술동향 반도체 융합 플랫폼과 광전소자 기술의 연구개발 현황 세계 정보통신 산업분류 동향 분석 전세계 VoIP 시장 동향 정보보호산업 시장동향 전망 싱가포르의 하드웨어 산업 동향 I T정보센터 발간 자료 안내 ETRI Journal 논문모집 IT 전략 품목 IT 산업전략이슈 국별 IT 산업

Upload: others

Post on 17-Aug-2021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정보통신 기술 정책 및 산업 주간기술동향kidbs.itfind.or.kr/WZIN/jugidong/1055/1055.pdf · 2012. 6. 12. · tis-02-27 2002. 7. 18. 10510555 등록일: 1985년 11월

TIS-02-27

2002. 7. 18.

1051051051055555

등록일: 1985년 11월 4일 / 등록번호: 대전 다 01003

편집인 겸 발행인: 오길록 / ISSN 1225-6447

정보통신 기술, 정책 및 산업

주 간 기 술 동 향주 간 기 술 동 향주 간 기 술 동 향주 간 기 술 동 향

포 커 스 ◆ 반도체 융합 플랫폼과 광전소자 기술의 연구개발 현황

◆ 세계 정보통신 산업분류 동향 분석

◆ 전세계 VoIP 시장 동향

◆ 정보보호산업 시장동향 및 전망

◆ 싱가포르의 하드웨어 산업 동향

◆ I T정보센터 발간 자료 안내

◆ ETRI Journal 논문모집

IT 전략 품목

안 내

IT산업전략이슈

국별 IT산업 정보

Page 2: 정보통신 기술 정책 및 산업 주간기술동향kidbs.itfind.or.kr/WZIN/jugidong/1055/1055.pdf · 2012. 6. 12. · tis-02-27 2002. 7. 18. 10510555 등록일: 1985년 11월

● 포커스

- 1 -

반도체 융합 플랫폼과 광전소자 기술의 연구개발 현황

심규환* 송영주** 강진영*** 조경익****

실리콘과 화합물반도체의 양자구조에 의한 초고속 전자소자 및 광소자가 상용화되면서 이종접합반도체 기

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었으며, 복합칩의 적용이 이동전화의 전력증폭기, 인프라 장비, 네트워크 스

위치, 레이저, LED로 점차 확대되고 있다. 이렇게 실리콘에 화합물반도체의 특수기능을 부가한 Semiconductor

Fusion Platform은 새로운 성능의 광소자, 전자소자, 광전집적소자를 구현하는 데 필수적이다. 최근 Wide,

Metropolitan, Local Area Network와 같은 단거리 광통신용 광부품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실리콘

기반의 광전집적회로가 가장 유망한 해법으로 대두되어 있으나 광전신호의 전달, 변환, 동작속도에 있어서

획기적 개선이 요구된다. 다행히 Nano 공정기술과 양자구조 소자의 기술발전으로 임계주파수가 200GHz

에 달하는 SiGe HBT 와 Heterostructure-MOS 가 발표되기 시작하였고, 나노점 광소자의 효율도

0.01~0.1%에 달하고 있다. 따라서 조만간 실리콘 기반의 고속 광통신용 집적회로의 구현과 실용화가 전송

속도 2.5Gbps까지 달성될 것으로 판단된다. 본 고에서는 실리콘반도체 기반의 반도체 융합 플랫폼과 광전

소자에 대하여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을 살펴보았다. ▧

I. 서 론

최근 광신호 처리칩이 컴퓨터의 성능을 좌우하는

시대를 위하여 인텔은 실리콘반도체 기반의 광통신

및 데이터 처리기술을 개발하는 10 년 프로젝트를

개시했다. 이러한 배경을 잘 이해하는 것은 IT 산업

의 인프라인 반도체기술의 연구개발 방향을 설정하

는 데 매우 중요하다. 실리콘과 화합물반도체는 실

로 다양한 전자소자와 광전소자를 제공하여 정보화

사회의 기반을 나날이 혁신시켜 왔다. 통신용 반도

체의 기술개발과 함께 무선통신 기술은 제 2 세대의

CDMA, 제 3 세대 IMT-2000 을 거쳐 4 세대 기술

개발에 진입하였고, 광통신 기술은 Terabit 네트워

크로 개개인까지 Gigabit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대로

되어가고 있다.

IT 를 필두로 해서 6T 가 과학기술을 대표하는

목 차

* SiGe소자팀/책임연구원

** SiGe소자팀/선임연구원

*** SiGe소자팀/팀장

**** 무선통신소자연구부/부장

I. 서 론

II. 광전집적회로 기술

III. 반도체 융합 플랫폼

IV. 실리콘 양자소자

V. 맺는 말

포포포///커커커///스스스

Page 3: 정보통신 기술 정책 및 산업 주간기술동향kidbs.itfind.or.kr/WZIN/jugidong/1055/1055.pdf · 2012. 6. 12. · tis-02-27 2002. 7. 18. 10510555 등록일: 1985년 11월

주간기술동향 통권 1055호 2002. 7. 18. ●

- 2 -

화두가 된 지 오래다. 그리하여 NT-IT, BT-IT와 같이 최첨단의 핵심기술이 서로 융합된 모습

으로 더 높은 차원의 응용을 모색하고 있다. 산업전반에 차지하는 비중이 막중한 반도체기술

(Semiconductor Technology: ST)은 독자적으로 보다는 6T의 제품화와 기술구현의 역할을 한

다. 21 세기에서도 ST 는 다양한 R&D 의 수요를 복합적으로 수용한 제품을 구현시킬 것이며,

IT-BT-NT 기술을 성공으로 이끄는 핵심적 역할을 할 것이다.

최근 반도체산업은 종래의 메모리나 비메모리 등의 한정된 제품개발에서 더욱 범위를 대폭

증대시키는 단계로 변화하고 있다. 우선적으로 SoC(System-on-the Chip)의 경우 현재의 메모

리에 I/O, 센서, MPU, 전력소자와 같은 소수의 한정된 기능블럭을 집적화하는 단계에 있다. 그

리고 RF 집적회로나 광전집적회로 및 MEMS 소자를 집적하는 단계로 점차 발전할 것이다.

현재 HIC(Hybrid Integrated Circuit) 부품이 대부분이지만, 긍극적으로 융합반도체 기술은

하나의 칩에 가능한 모든 기능을 집적화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단일칩 집적화를 통하여 소형

화는 물론이고, 대량생산에 의한 단가의 절감, 높은 신뢰성의 확보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요구

에 맞추어 반도체 융합(Semiconductor Fusion: SF) 플랫폼의 기본 구조, 필요성, 그리고 연구현

황에 대해 검토하였다. 실리콘을 기반으로 하는 소재와 물리적 현상은 SF의 기초이며, Nanote-

chnology와 더불어 차세대의 IT 산업에 실질적으로 유용한 핵심제품개발에 기여하리라 기대된다.

II. 광전집적회로 기술

메모리소자를 비롯한 IC 의 동작속도가 1GHz 대를 넘게 되면서 Al 금속배선의 기생성분에

의해 신호전달의 지연, 소비전력, 발열현상이 심각해진다. 2005년까지 낮은 비저항의 Cu금속배

선과 저유전율 절연막에 의해 사용될 것이다. 그러나 2007년 경에는 CMOS의 2.5Gbps 신호

가 16채널로 공급되어 41Tbps통신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구현하는 방법으로 3D집적화 또

는 광연결의 방식이 시도될 것이라고 SIA(Semiconductor Industry Association) Roadmap 은

예측한다.

광연결은 발광소자와 광도파로와 수광기가 2D 어레이를 구성하는 수천 개의 채널로 만들어

져야 한다. 발광소자로 InGaAs/AlGaAs VCSEL(Vertical Cavity Surface Emitting Laser)과 고

효율 LED(Light Emitting Diode)가 가능하여, 파장이 0.6㎛과 같은 AlGaAs소자, 또는 1.3㎛

1.5㎛의 장파장용 InGaAsP 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1Gbps급의 1,000개 어레이를 구

동하기에는 수율, 수명, 균일도가 매우 중요하다. 예로써 VCSEL 0.8~1.0㎛이 개발되어 있으나

어레이 구조로 실용화하기에는 앞으로도 10년 이상 소요될 수 있다. 한편 LED는 쉽게 제작할

Page 4: 정보통신 기술 정책 및 산업 주간기술동향kidbs.itfind.or.kr/WZIN/jugidong/1055/1055.pdf · 2012. 6. 12. · tis-02-27 2002. 7. 18. 10510555 등록일: 1985년 11월

● 포커스

- 3 -

수 있고, 저렴하고, 1mW 이하의 저소비 전력으로 동작하는 장점이 있는 대신에 대역폭이 좁고,

방향성이 낮고, 효율이 낮은 단점이 있다. 특히 board-to-board 와 chip-to-chip 에 어레이로

장착된 LED는 병렬통신용 스위치나 광컴퓨팅의 기능으로 적용될 가능성이 높다.

실리콘 기판에 전자회로와 실리콘 수광 또는 발광소자를 집적화 하는 방식도 조만간 실용화

가 가능해질 것이다. 발광소자로 LED 를 들 수 있는데 간접천이 밴드갭의 낮은 양자효율이 가

장 문제이다. SiGe/Si 초격자, 어븀을 도핑, 양자점 등이 시도되고 있으나, 상온에서 효율이

0.01~0.1%대에 머물러 있다.

수광소자로는 동작속도가 빠른 장점에 의해 InGaAs/AlGaAs APD(Avalanche Photodiode)

와 PIN-PD가 주로 적용되어 왔으나, SiGe PD도 수광소자로서 적용되는 데는 문제가 거의 없

다. (그림 1)은 SiGe PIN 수광소자가 10~40Gbps 의 광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광섬유에 조립된

형태를 보여준다. SiGe 양자우물층을 갖는 SiGe/Si 초격자가 균일하여 일정한 파장에서 감도가

높은 광특성을 얻을 수 있다.

통신용 SiGe 광소자는 일본에서 가장 활발히 실용화를 위한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수

광소자는 SiGe의 낮은 에너지갭을 이용하여 Si으로는 불가능한 0.85~1.3㎛ 파장대의 광배선

및 광통신/광데이터 전송용 수광모듈을 개발한다. SiGe 수광소자는 기존의 InP 계 화합물을 사

용한 수광소자에 비하여 에피층의 격자결함이 작아 접합누설전류로 인한 잡음이 작고, 증폭영역

은 InP계 보다 물질 자체가 사태증폭률(avalanche multiplication factor)이 큰 Si 반도체를 이

용하기 때문에 높은 전/광 변환이득을 얻을 수 있는 등 DC 성능에 있어서 더 우수하며, 가격도

매우 저렴하게 제작할 수가 있다. 현재 일본 Hitachi 에서는 초고속인터넷 광가입자용으로 PD

와 Pre Amp를 이용하여 40Gbps까지 동작하는 SiGe 반도체 수광모듈을 개발하고 있다.

9nm SiGe/26nm Si MQWs(xGe=0.17, 23 layers)

N+

MQWI

I

P+

AR-Coating Metal

Oxide

hνννν

(그림 1) 광섬유에 부착된 SiGe PIN PD와 SiGe/Si 초격자의 TEM(ETRI)

Page 5: 정보통신 기술 정책 및 산업 주간기술동향kidbs.itfind.or.kr/WZIN/jugidong/1055/1055.pdf · 2012. 6. 12. · tis-02-27 2002. 7. 18. 10510555 등록일: 1985년 11월

주간기술동향 통권 1055호 2002. 7. 18. ●

- 4 -

한편, 실리콘을 기반으로 하는 광전집적회로(OEIC)의 구현에 있어서 관심을 둘 수 있는 소

자로 광도파로를 들 수 있다. 실리카나 고분자계통의 후막을 실리콘 기판 위에 증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단, 광도파로의 손실은 0.1dB/cm 이하가 되어야 하고, 고분자재료를 사용하면 250℃

이하의 반도체공정에 적용할 수 있어야 유용하다.

발광층과 결합하여 수 GHz 대 이상의 컴퓨터 시스템에서 사용할 목적으로, 초고속 SiGe

CMOS나 SiGe BiCMOS(수 GHz대의 CPU와 주변칩)에 함께 집적화 되어 모듈간의 초고속이

고 버스간 신호간섭이 없는 광배선을 실현하고자 SiGe 광소자에 대한 연구가 인텔에서 진행되

고 있다. 감도는 다소 떨어지지만 신뢰성과 동작속도가 높은 SiGe PIN-PD를 BiCMOS의 전치

증폭기, 리미팅증폭기, 클럭재생회로와 함께 집적함으로써 광섬유가 가정의 컴퓨터까지 접속될

수 있게 될 것이다.

III. 반도체 융합 플랫폼

(그림 2)와 같이 SF 플랫폼에서 “Anything-on-Silicon”을 구현할 대표적인 반도체의 조합

으로 GaAs/Si. InP/Si, GaN/Si, Ge/Si를 들 수 있다. 이들 각각의 물리적 특성을 조합한 복합적

기능을 지니는 응용분야는 실로 다양하다. 이들은 고유한 물리전자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RF에서 밀리미터파에 이르는 고속전자소자는 물론이고, 자외선에서 적외선까지 각종 광소자로

AnythingAnythingAnythingAnything----onononon----SiliconSiliconSiliconSilicon

(그림 2) 반도체 융합 플랫폼의 구성과 응용

Page 6: 정보통신 기술 정책 및 산업 주간기술동향kidbs.itfind.or.kr/WZIN/jugidong/1055/1055.pdf · 2012. 6. 12. · tis-02-27 2002. 7. 18. 10510555 등록일: 1985년 11월

● 포커스

- 5 -

응용범위가 매우 넓다. 특히 Si의 가격은 GaAs의 1/10 정도이고, 직경이 12”까지 가능하여 생

산성이 높다.

과거에는 이종의 반도체를 하나의 칩으로 사용하기 위한 방법으로 고온에서 가압하여 붙이

거나, 완충층을 이용한 에피성장을 하였다. 이와 같은 과거의 기술이 거둔 성공의 예로서 실리콘

반도체의 집적도와 소비전력 문제를 해결해 줄 가장 유력한 기술인 SOI(Silicon-of-Insulator)

를 들 수 있다. 그리고 최근에 고도의 원자층 에피기술로 GaAs/Si와 같은 구조를 이용하는 소

자가 성공을 거두고 있다. 이에 따라 다른 종류의 반도체를 집적할 수 있는 conformal 에피기판

및 응용소자에 대한 연구가 더욱 활발해지고 있다.

현재 유망한 기술은 수 원자층을 계면에 넣어 응력에 의한 변형을 조절하도록 하는 것이다.

특정한 방향으로 압축 또는 인장응력이 인가되는 경우 화학결합들이 한 축의 방향으로 늘어나면

다른 축이 감소하여 전체적인 부피가 변화하지 않으면서 신축적으로 변형하는 초연성(supersoft)

특성으로부터 다양한 반도체융합 기술이 출현할 수 있다. 이러한 물성은 일반적으로 원자의 화

학결합에서 격자의 변형이 elastic하게 일어나 에너지가 결합길이의 제곱에 비례하는 탄성특성

에서 이탈하는 새로운 현상이며, 물질로는 CoSi, NiSi, FeSi2 등이 제시되고 있다[1].

1. GaAs/Si

융합반도체에 가장 선두인 모토로라는 GaAs/Si, GaN/Si. InP/Si 기술을 지속적으로 개발해

오고 있다. 그 결과 2001년 10월에 에피웨이퍼 전문공급회사인 IQE에 기술을 이전하여 8”와

12” GaAs/Si 에피기판을 생산하는 체계를 추진하기 시작했다. 모토로라는 GaAs/Si LED는 물

론이고 전력증폭기를 개발하여 휴대전화기에서 시연함으로써 이동통신용 RFIC 제품응용의 타

당성을 검증하였다. 그들은 GaAs/Si 관련하여 270여 건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통신용 광

소자로의 응용에 대한 기술개발도 추진하고 있다. 그들은 융합반도체의 시장이 2005년에는 45

조 원의 규모로 성장한다고 예측한다.

또한, 모토로라는 CDMA 단말기에 GaAs/Si 전력증폭기를 장착하여 시연하였다. 그들의 기

술은 만능기판에 대한 오랜 숙원의 일부를 구현시킨 하나의 커다란 업적이다. 또한, 실용화의 가

능성이 검증된 사례로 들 수 있다. Si 위에 STO(SrTiO3)를 수 원자층 성장하고, 그 위에 GaAs

를 성장한다. 일반적으로 GaAs/Si를 직접 성장하게 되면, 4%의 격자상수 불일치가 있고, 열팽

창계수가 50%나 되어 에피성장 후에 저온으로 냉각하는 동안에 크랙이나 전위를 발생시킨다.

STO/Si 의 격자불일치는 1.7% 이지만 수 원자층의 STO 가 들어간 GaAs/STO/Si 의 경우

STO/Si 계면에 비정질 산화막이 형성되면서 열팽창계수의 차이에 의해 발생되는 응력을 해소시

Page 7: 정보통신 기술 정책 및 산업 주간기술동향kidbs.itfind.or.kr/WZIN/jugidong/1055/1055.pdf · 2012. 6. 12. · tis-02-27 2002. 7. 18. 10510555 등록일: 1985년 11월

주간기술동향 통권 1055호 2002. 7. 18. ●

- 6 -

키는 Viscous 완충층으로 작용한다. 이어서 모토로라는 GaN/Si, InP/Si의 개발에 유사한 방식

을 적용하는 노력을 진행하고 있다.

GaAs/Si는 고속집적회로는 물론이고, PZT/GaAs/Si 로 필터와, BST/GaAs/Si 로 비휘발성

기억회로의 신호도파로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GaAs/Si는 우주공간의 고에너지선에 강하고,

수명이 길고, 싸고, 가볍고, 화합물반도체의 기록인 36%까지 에너지 변환효율을 높일 수 있어

우주용 태양전지로 NTT 와 Toyota 가 개발하고 있으며, 마찬가지로 HP 등은 InGaP/InGaAs/

Ge/Si의 구조를 적용한 탠덤태양전지를 개발하고 있다.

2. GaN/Si

단지 10년 전에도 GaN 반도체가 상업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미지수였다. 그

러나 p-형 도핑기술이 개발되고 나서 GaN 반도체는 급격히 발전되어 (그림 3)과 같이 다양한

청색, 녹색, 자외선, 백색광에 있어서 최고의 소재가 되었다. 따라서 반도체 광소자 산업의 2/3

이상을 차지할 것이고, 2005 년 3 조 원에 상당하는 세계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예측된다(Gartner,

2001). Ford는 2001년 Detroit 자동차 쇼에서 백색 GaN LED를 전조등에 적용함으로써 자유

로운 형태의 자동차 설계로 발전하는 가능성을 보였다[2].

Compound Semiconductor 2001년 11월호에서 실리콘 기판이 GaN을 위한 파격적인 기

(그림 3) GaN 광소자의 응용사례

streetlampstreetlampstreetlampstreetlamp

laserlaserlaserlaser

traffic signaltraffic signaltraffic signaltraffic signal

CD R/WCD R/WCD R/WCD R/W

LED vs. Light bulb

Page 8: 정보통신 기술 정책 및 산업 주간기술동향kidbs.itfind.or.kr/WZIN/jugidong/1055/1055.pdf · 2012. 6. 12. · tis-02-27 2002. 7. 18. 10510555 등록일: 1985년 11월

● 포커스

- 7 -

술을 제공하게 되었다고 소개되었다. 현재 대부분의 GaN은 2인치 직경의 sapphire에 성장하

는데, 격자상수불일치가 13%나 되어 계면결함을 제어하는 데 어려움이 있으며, 대량생산을 위

해 4” 이상의 직경이 요구된다. 특히 GaN 는 벌크 기판이 상용화 될 정도로 개발되지 못하고

있으므로 GaAs/Si의 경우보다 GaN/Si의 가치는 2배 이상 높다고 볼 수 있다.

Nitronex사는 GaN 광소자와 전력소자에 적용할 수 있는 GaN/Si가 개발되고 있어, 조만간

sapphire 나 SiC 를 사용하는 종래의 기술이 사라질 것이라고 예측한다. 마찬가지로 일본의

Sanken Electronic과 Nagoya Institute는 공동으로 청색과 녹색용 GaN/Si LED를 발표했다.

실리콘 6” 직경의(111) 기판은 sapphire에 비해 1/10, SiC에 비해 1/100로 저렴하여 생산단

가를 크게 낮추었다. 표면에의 전위밀도가 104/cm2으로 상용 GaN LED에 비해 우수하고, 발광

성능도 거의 대등하다고 밝혔다. GaN/Si는 Si표면을 SiC로 변형하는 기술을 Cornell, NCU와

협력하여 개발하고 있는데 이 역시 소자로 응용될 수 있는 단계에 가까이 도달되어 있다. 그리

고 이와 유사한 연구개발을 통한 결과들이 IBM, AFRL, Emcore사 등에서 발표되고 있다.

GaN 광소자가 성공을 거두는 반면 전자소자(HEMT, HBT)는 결함을 통해 흐르는 누설전류

와 불안정한 재결함으로 인하여 아직도 상용화에 어려움이 있다[3]. 고성능의 GaN RF/MMIC

를 제품화하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돌파구로 GaN/Si를 들고 있다. 앞으로 GaN/Si의 연구는

결함밀도를 낮추고, 직경을 키우고, Si 층에서 광흡수가 일어나지 않도록 구조를 변경해야 한다.

AlN을 완충층으로 이용하는 에피성장법을 더욱 개량하고, 광흡수가 일어나지 않는 재료나 구조

를 개발해야 한다.

3. InGaAs/Si

AFRL(Air Force Research Laboratory)과 UC Santa Barbara는 각각 InGaAs/Si APD와

PIN-PD를 개발하였다. InGaAs의 높은 흡수효율과 Si의 높은 impact ionization에 따른 높은

증폭효율 및 저잡음 특성을 결합하였다. 따라서 높은 감응도, 높은 동작속도, 낮은 잡음, 고온-

고전압에서의 안정성이 우수하다. 측정된 결과는 밴드폭(f3dB)이 13GHz 이고, 이득-밴드폭은

315GHz dB에 달하였다. 응용분야는 고성능 감지기능과 고속동작을 이용한 군사용 광시스템으

로 인식시스템, 레이더, 장거리-고속 광통신 기기, 레이저 유도미사일을 들고 있다.

CMOS 의 공정 및 소자기술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ULSI 에 광기능을 첨가하기 위한 방법으

로 InGaAsP를 에피성장하여 광소자를 집적하는 방법도 시도된 바 있다. 그들은 Quasi-sub.에

피성장 기술을 통하여 InGaAsP를 실리콘 기판에 선택적으로 성장하여, Si CMOS의 후공정에

파장 1.3㎛, 1.55㎛의 MSM-PD, LED, LD를 InGaAsP로 제작하여 집적화를 구현하였다[4].

Page 9: 정보통신 기술 정책 및 산업 주간기술동향kidbs.itfind.or.kr/WZIN/jugidong/1055/1055.pdf · 2012. 6. 12. · tis-02-27 2002. 7. 18. 10510555 등록일: 1985년 11월

주간기술동향 통권 1055호 2002. 7. 18. ●

- 8 -

또한, IMEC 는 Ge 위에 이차원 도핑된 InGaAs/AlGaAs 구조를 성장하여 InP Metamorphic

HEMT를 구현하였다[5]. 이러한 Ge MHEMT는 ft=45GHz, fmax=68GHz, Gm=720ms/mm의

우수한 특성으로 RF회로의 가능성을 보였다.

4. SiGe/Si

SiGe/Si는 차세대 SiGe Heterostructure-CMOS의 연구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SiGe MOSFET에 사용되는 Ge 또는 SiGe(XGe>0.8)의 완충층의 결정성에 따라 소자의 성

능이 좌우된다. 다양한 광소자들을 제어하고, 모니터할 수 있는 고속전자회로와 집적하여 하나

의 칩에 소형화하면 소비전력과 속도와 가격의 면에서 가장 경쟁력 있는 광통신 부품으로서 손

색이 없을 것이다.

실리콘 기반의 광전집적회로를 제작하는 데 있어서, 밴드폭 증대, 잡음, 전력소모 감소, 상호

교란 방지에 대한 고려가 제품화에 중요 요소가 된다. 우선 구현해야 할 광부품으로 발광, 감지,

변조, 도파로, 광스위치, 라우터가 있다. 그 중에서도 가장 어렵지만 기반이 되어 유사한 소자들

로 파급효과가 큰 기술은 역시 발광소자이다.

IV. 실리콘 양자소자

당분간은 실리콘-화합물반도체를 조합한 복합반도체가 광전집적회로의 기술개발의 주를 이

루겠으나, 결국 실리콘 기판에서 CMOS 와 집적하기에 가장 접합한 방향으로 기술개발이 추진

될 것이다. 따라서 현재의 bottleneck인 실리콘 발광소자의 개발 및 성능개선이 가장 중요한 문

제이다.

<표 1>에 실리콘 기반의 광전집적회로를 목표로 시도된 발광소자의 원리와 특징이 요약되어

있다. 실리콘 발광소자의 종류는 ① 저차원 시스템, ② 불순물(Er) 주입, ③ 신물질(실리사이드)

로 크게 구분할 수 있고, 저차원 시스템은 비정질 실리콘, 나노점 실리콘, 실리콘/절연막 초격자

가 연구되고 있다.

이들 중에서 실리콘 비정질과 다공질과 같은 방법은 600~800nm 의 가시광선 대역을 발광

하므로 통신용 보다는, 디스플레이나 조명용으로 활용도가 높다. 다공질 Si 의 특징은 ① 5nm

이하의 제어, ② 기계화학적으로 취약, ③ 고전압(> 2V), ④ 저 이동도와 nm 단위의 두께에 따

른 저주파 구동(~1MHz), ⑤ 표면이 rough 하고 passivation 난해, ⑥ 발광 선폭이 >100meV

로 큰 것과 파장이 600~800nm의 가시영역인 점이다.

Page 10: 정보통신 기술 정책 및 산업 주간기술동향kidbs.itfind.or.kr/WZIN/jugidong/1055/1055.pdf · 2012. 6. 12. · tis-02-27 2002. 7. 18. 10510555 등록일: 1985년 11월

● 포커스

- 9 -

광통신용으로 가장 주목되는 실리콘 발광소자의 기술로 Er-doped Si과 실리사이드의 나노

입자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실리콘 기판에 β -FeSi2는 고도의 에피성장이 가능하므로 SiGe/Si

의 양자우물 구조의 소자를 제작하면 1%를 상회하는 광효율도 얻어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New South Wales 대학의 Green 이 제시한 역 피라미드형 p-n 접합 LED 는 대형의

Illuminator에 유용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한편, (그림 4)와 같이 SiGe/Si의 초격자 구조를 응용하여 원적외선용 수광소자와 QCL(Quantum

Cascade Laser) THz 소스레이저가 개발되고 있다. 원적외선에 대면적인 집적어레이 형태인

SiGe 검출기를 쇼트키접합을 사용하여 제작하여 적외선의 파장이 3~12㎛ 인 영상을 검출할 수

있다.

<표 1> 실리콘 기반의 발광기술 원리와 특징

발 광 법 기 술 수 준 특 징

역 피라미드형 구조, 효율~1%[6] 집적화 난해

사태항복에 의한 발광 p-n 접합의 역전압 사용, 효율~10-6

구조 간단, 저 효율, 불안정(항복전압) p-n 접합

Er-doped Si, 파장~1.54㎛ Impact 발광 적용, 효율~2×10-3

저 효율

나노 Si 입자 3nm급 Si (0.15, 1.17eV 피크) 운반자의 공간적 구속에 의한 발광

기계적, 전기적 불안정

다공질 Si 가시광선, 파장 650~800nm Passivation 난해

전위루프 B 도핑, 열처리로 전위루프 형성[7] 전위의 전파에 의한 절연파괴

직접천이형 나노점 원자층에피, 실리사이드 나노점 파장~1.5㎛, 효율 0.01~0.1%(Si)

고 난이도의 나노점 형성기술

초격자 가상직접천이(1~15nm), SiGe/Si QCL 저온 동작

(그림 4) SiGe/Si 초격자의 기저대역 에너지 밴드구조와 정공의 주입에 의한

THz 대역의 발광기구를 보이는 quantum cascade laser 의 동작원리

tunnelingSi

barrier FZ=(E2-E1)/(w+b)

p-SiGe collector

Applied Voltage

V

Acoustic phonon

scattering

THz laser

emission

p-SiGe tunnel-injector

LH1

HH1

b

w

Si0.7Ge0.3 quantum well

Page 11: 정보통신 기술 정책 및 산업 주간기술동향kidbs.itfind.or.kr/WZIN/jugidong/1055/1055.pdf · 2012. 6. 12. · tis-02-27 2002. 7. 18. 10510555 등록일: 1985년 11월

주간기술동향 통권 1055호 2002. 7. 18. ●

- 10 -

직접천이갭의 HgCdTe나 InSb 보다 양자효율은 낮지만, 대면적에 균일하게 제작이 가능하

고 동시에 부착되는 실리콘 해독회로와 열문제 없이 부착할 수 있어 단점을 충분히 상쇄한다.

도핑의 수준과 Ge을 조절하여 광의 파장을 여러 종류에 맞추어 제작이 가능한 점도 큰 장점이

다. 상온동작이 구현되었으며, 가스와 화학물질을 검출하는 바이오 센서용으로 활용되는 연구결

과가 발표되고 있다.

1. 양자점 레이저 다이오드

최초의 양자점 레이저 동작은 1993년 러시아의 A.F. Ioffe에 의하여 광여기 방식으로 이루

어졌다. 그리하여 2001 년 Zia Laser 사는 문턱전류(~25A/cm2), 양자효율(>57%), 출력(>4W)

의 특성으로 연속발진이 가능하고, 수명도 20,000 시간이 넘는 QD-LD 를 발표하였다. 일단

InGaAs/InP 양자점 LD는 상용화의 진입에 성공하고 있으며,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으로의 적용

을 위한 성능개선이 기술개발의 주류를 이루고 있다.

QD-LD은 임계전류가 작으며, 저가에 제작할 수 있고, 냉각기능이 없는 동작에서 5배 가량

안정된 동작을 하며, 넓은 이득 스펙트럼 특성으로 1,277~1,333nm과 같이 넓은 파장대역에서

작동하여 WDM 에 매우 적합하고, 선폭이 작고, 이득변조가 가능하다. 따라서 QD-LD 는 별도

의 외부변조, 냉각, 소자격리가 필요하지 않은 장점을 지닌다.

실리콘의 경우 최근에서야 나노점에서의 광이득 특성이 발표되었다. <표 2>에서 실리콘 나

노점의 경우 이득단면적이 (0.5~5)×10-16cm-2으로 작지만, 이온주입으로 면밀도를 1014cm-2로

높여서 100cm-1에 달하는 높은 순모드이득(net modal gain)을 얻을 수 있다. 이 데이터는 실리

콘반도체도 LD를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표 2> 양자점 광소자의 광이득 특성[8]

특성 InAs 단일층

QD

InAs 7층

QD

GaAs 단일층

QD

Si

Nano-Dot

Net modal gain(cm-1) 8.2 70~85 13 100

Net material gain(104cm-1) 9 1.5 - 1

Areal dot density(cm-2) 1×1011 1×1011 1×1010 2×1014

Active layer thickness(nm) 1.7 100 - 100

Filling factor(10-4) 1.2 48 - 970

Gain cross-section per dot(10-16cm2) 1,200 4,000 450 0.5~5

Page 12: 정보통신 기술 정책 및 산업 주간기술동향kidbs.itfind.or.kr/WZIN/jugidong/1055/1055.pdf · 2012. 6. 12. · tis-02-27 2002. 7. 18. 10510555 등록일: 1985년 11월

● 포커스

- 11 -

2. 나노점 실리사이드

최근 인텔사가 차세대 실리콘집적회로에 적용하고자 검토하는 실리사이드 반도체로 β -

FeSi2와 Ru2Si3가 알려져 있다[9]. 특히 자원이 풍부하여 저가에 친환경인 β -FeSi2는 산화에

대한 저항성이 높고, 고온에서 안정하여 고온용 열전소자로 연구가 되고 있다. β -FeSi2는 에너

지 갭이 ~0.87eV이고 실리콘과의 격자상수 부정합도 0.4%로 낮아서 광통신용인 1.5㎛ 파장의

빛을 발광-수광하는 소자를 실리콘 기판에 집적하는 데 매우 적합하다. 광흡수계수가 105cm-1

에 달하여 Si, Ge, GaAs와 같은 반도체에 비해 10배 정도 높고, 16~23%에 달하는 태양전지,

광센서, LED, LD를 구현할 수 있다. 동작영역이 광통신용 파장과 일치하여 광도파 및 변조기능

을 Si ULSI와 집적할 수 있다.

1997년도에 영국 Surrey 대학의 Homewood 등은 이온선 합성법을 적용하고, 실리콘에 β -

FeSi2 입자를 형성하여 최초로 EL 특성을 얻을 수 있었다[10]. 이어서 2001년 9월에는 일본

츄쿠바 대학의 Hasegawa-Suemasu 그룹에서 반응성증착에피(Reactive Deposition Epitaxy:

RDE) 기술을 개발하여 분자선 증착법(Molecular Beam Epitaxy: MBE)와 함께 사용하여 strain

이 인가된 상태의 β -FeSi2 입자를 80nm 직경의 구상으로 실리콘 에피층에 형성하여 EL 효율

을 더욱 높였다[11].

나노스케일의 β -FeSi2 입자를 이용한 p-n 접합 Si-LED 의 구조와 EL 특성이 (그림 5)와

같이 발표된 바 있다. 실리콘 (100)인 기판에 p-Si과 n-Si 접합의 계면에 직경이 80nm 정도인

FeSi2를 형성시켰으며, p-Si와 n-Si에 각각 AuGa, AuSb를 오믹접합하여 제작한 모양을 보이고

(그림 5) 나노입자의 실리사이드를 이용한 Si-LED 의 구조와 EL 특성[6]

Page 13: 정보통신 기술 정책 및 산업 주간기술동향kidbs.itfind.or.kr/WZIN/jugidong/1055/1055.pdf · 2012. 6. 12. · tis-02-27 2002. 7. 18. 10510555 등록일: 1985년 11월

주간기술동향 통권 1055호 2002. 7. 18. ●

- 12 -

있다. 상온에서 EL특성은 피크파장이 ~1.6㎛으로 전류가 14A/cm2에서 발광효율이 급증하는

전형적인 EL특성이 측정되었다.

Si에 형성된 β -FeSi2 나노점의 광흡수 특성에서 측정된 광밴드갭은 나노점의 직경이 13~

30nm 에서는 0.87eV 를 보인다. 그러나 Nano-dot 의 직경이 9, 5, 3nm 로 감소함에 따라 0.9,

0.95, 0.97eV로 증가하면서 양자구속효과가 나타나므로, 나노점의 크기를 조절하여 발광파장을

1.2~ 1.4㎛으로 제어할 수 있다[12].

3. 스핀 반도체

전자의 스핀을 응용하는 새로운 소자를 개발하기 위해 DARPA는 Univ. of Berkeley와 9

개 연구기관을 통하여 천만 달러에 달하는 연구를 추진하고 있다. 이제까지는 전자의 전하만을

이용하였지만 앞으로는 전자의 스핀을 조절하여 Photonics와 데이터 전송 및 통신 기술에 커다

란 발전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전자와 정공의 스핀을 조절하여 새로운 방식의 데이터의 처리와 저장법은 또 하나의

혁명적인 기술로 평가되고 있다. 스핀 방향의 여러 형태 및 스핀전자의 조합을 이용하면 연산속

도가 빠른 양자컴퓨터도 가능할 수 있다. 현재는 전자회로와 광소자의 기술을 접목하기 유리한

자기반도체(Dilute Magnetic Semiconductor: DMS)와 ferromagnetic 재료 및 접합에 대한 이

해와 신물질의 합성에 대한 기초연구가 요구된다.

최초로 구현된 스핀트로닉스 소자는 스핀-LED로 볼 수 있다. 스핀-LED는 완전히 집적화

됨으로 회로상에서 스핀편극을 조절하여 반도체 내부로의 스핀전달기술에 적용될 수 있다. 적절

한 세기의 자기장에서 동작하는 소자가 개발되면 편극된 광자에 기반한 광연결 기술에 응용이

가능해질 것이다. DMS 로 주로 연구되는 (Ga, Mn)As 는 큐리온도가 110K 에 이르고 있으며,

광으로 주입된 스핀전자가 GaAs에서 1ns, Si에서 10㎲ 동안 편극상태를 유지한다. 최근 (Ga,

Mn)N DMS에서 큐리온도가 300K 이상이 가능하다는 이론적 연구가 발표되고 있다.

Naval Research Laboratory는 에피성장 기술로 ferromagnetic Schottky 접합을 형성하여

스핀편극된 전자를 LED 에 주입하여 원형으로 편광된 빛을 얻었다. 좌측원형 또는 우측원형으

로 편광된 빛은 온/오프까지 포함하여 4 종류의 상태를 나타내므로 두 배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뿐만 아니고 (그림 6)과 같이 스핀전자에 의한 편광효과의 실험적 성과로 인하여 전자, 광

자, 자기가 하나로 조합된 스핀반도체의 미래가 한층 밝아졌다. 아직은 DMS와 ferromagnetic

(FeCo, FeSi) 박막의 계면에서 스핀전자 주입특성에 대한 기초연구가 대부분이지만 수 년 사이

에 응용소자도 출현할 것이다.

Page 14: 정보통신 기술 정책 및 산업 주간기술동향kidbs.itfind.or.kr/WZIN/jugidong/1055/1055.pdf · 2012. 6. 12. · tis-02-27 2002. 7. 18. 10510555 등록일: 1985년 11월

● 포커스

- 13 -

스핀트랜지스터(Spin-FET)는 스핀전류의 진폭과 위상을 제어하여 비휘발성 메모리와 프로

그래밍이 가능한 로직회로를 조합한 다기능 소자도 제작할 수 있고, DMS을 통해 편극된 전자

의 터널링을 조절하는 기능을 추가하여 RTD(Resonant Tunneling Diode) 스핀필터가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양자점에 구속된 스핀전자는 양자점 사이에 교환작용(exchange interaction)하여

논리회로와 같은 작동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스핀전자를 구속하는 양자점은 Quantum bit의 강

력한 후보로 거론되고, 양자점의 어레이로 제작되는 대형 양자컴퓨터의 개발에 관한 연구가 진

행되고 있다.

V. 맺는 말

실리콘-화합물반도체 복합칩은 이동전화의 전력증폭기, 인프라 장비, 네트워크 스위치, 레이

저, LED 등에 부분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앞으로 실리콘 기반의 융합반도체는 진보된 방식으로

컴퓨터와 통신산업을 혁신시킬 돌파구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전자소자와 광통신 신호가 직

접 연결 되고, 다층의 광신호 처리부가 병렬로 접속되어 동작하여 3차원 컴퓨터칩의 개발도 가

능하다. 단기적으로는 실리콘-화합물 복합반도체가 RF/MW 및 광통신용 SoC의 부품을 수급하

게 될 것이고, 장기적으로 IT-BT-NT 융합기술의 핵심을 이루어 wearable PC와 같은 다기능,

초경량, 초소형의 차세대 통신부품의 개발에 적용될 것이다. 따라서 21세기 미래 IT산업에 있

어서 독립된 기반을 다지기 위하여 SF 플랫폼에 대한 체계적인 기술개발이 요구된다.

<참 고 문 헌>

[1] Dr. Elio Moroni, Physical Review Letters, Aug. 31, 1998.

p-type ferromagnetic semiconductor

GaMnAs

Non-magnetic

GaAs

InGaAs QW

n-GaAs

I

(그림 6) DMS 를 이용한 Spin-LED 구조 및 동작특성[13]

h+

σ+

Magnetic Field

Spin-polarized

Hole current

Electro-

luminescence

Page 15: 정보통신 기술 정책 및 산업 주간기술동향kidbs.itfind.or.kr/WZIN/jugidong/1055/1055.pdf · 2012. 6. 12. · tis-02-27 2002. 7. 18. 10510555 등록일: 1985년 11월

주간기술동향 통권 1055호 2002. 7. 18. ●

- 14 -

[2] Compound Semiconductor, April 17, Vol.8, No.3, 2002, p.15.

[3] www.eetimes.com, Jan. 7, 2002.

[4] H.H. Wehmann et al., IEEE Journal of Quantum Electronics 37, 2001, p.1246.

[5] R. Vandersmissen et al., Compound Semiconductor, Oct. 2001, p.57.

[6] M. Green, Univ. of New South Wales.

[7] K.P. Homewood, Nature, Vol.410, 2001, p.192.

[8] L. Pavesi, L.D. Negro, C. Mazzoleni, G. Franzo, and F. Priolo, Nature, 408, 2000, p.440.

[9] J. Sharpe, Y.L. Chen, R.M. Gwilliam, A. Kewell, C. McKinty, M. Lourenco, G. Shao, K.P.

Homewood, K.J. Reeson, Appl. Phys. Lett, 1999, p.1282.

[10] D. Leong, M. Harry, K.J. Reeson, K.P. Homewood, Nature, Vol.387, 1997, p.686.

[11] F. Hasegawa et al., Appl. Phys. Lett. 79, 2001, p.1804.

[12] K. Okajima, H. Yamatsugu, C. Wen, M. Sudoh, K. Yamada, Thin Solid Films 381, 2001, p.267.

[13] Y. Ohno, D.K. Young, B. Beschoten, F. Matsukura, H. Ohno, and D. Awschalom, Nature, Vol.402,

1999, p.790.

Page 16: 정보통신 기술 정책 및 산업 주간기술동향kidbs.itfind.or.kr/WZIN/jugidong/1055/1055.pdf · 2012. 6. 12. · tis-02-27 2002. 7. 18. 10510555 등록일: 1985년 11월

● 포커스

- 15 -

세계 정보통신 산업분류 동향 분석

강회일*

정보통신산업은 기존 산업의 기본 틀을 변화시키는 동시에 기술과 산업의 융합을 가속화 시키면서 新산

업을 속속 탄생시키고 있어, 이에 대한 신속하고 통일된 분류기반의 정립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

서 UN을 비롯한 선진 각국에서는 현재의 산업구조 및 패턴을 반영하는 새로운 산업분류 체계에 대한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북미표준산업분류인 NAICS은 최근 정보부문의 현상과 특성을 반영한 2002년도

개정안를 내놓았고, UN에서는 국제표준산업분류인 SCI의 개정 초안(rev.3.1)에 대한 검토를 진행 중이며,

일본은 “정보통신업”을 분리시켜 대분류 항목으로 신설하는 등 1957년 이후 처음으로 대분류 항목의 신설

을 포함한 “일본표준산업분류”를 개정하였다. 본 고는 이처럼 활발히 전개되고 있는 우리와 직간접적으로

관련이 깊은 주요 국가/기관의 산업분류개정 움직임을 정보통신분야에 국한하여 정리 살펴봄으로써, 우리나

라에서 차후 표준산업분류 개정이 논의될 때 그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I. 서 언

1990년대 후반, 정보통신 산업 분류체계 측면에

서 획기적인 두 사건이 있었다. 첫째는 1997년 미국,

캐나다, 멕시코의 북미 3개국이 새로운 산업분류 기준

인 NAICS(North American Industry Classification

System)를 채택한 것으로, 이 新분류에서는 대분류

항목에 정보부문(information sector)을 신설하였다.

둘째는 1998년 OECD에서, 그 동안 논의가 계속되

어 왔던 정보통신산업(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이하 ICT)에 대한 정의가 내려진

것을 들 수 있다.

즉, OECD 내에 정보사회의 지표개발을 위해 설치

된 ICCP(Information, Computer and Communication

Policy) 위원회는 1997 년 UN 의 ISIC(International

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 Rev. 3에 기초

목 차

* 정보체계연구팀/책임연구원

I. 서 언

II. UN: ISIC Rev. 3.1(Draft)

를 중심으로

III. NAICS: 2002년 개정안을

중심으로

IV. 일본: 新 일본표준산업분류

V. 요약 및 시사점

포포포///커커커///스스스

Page 17: 정보통신 기술 정책 및 산업 주간기술동향kidbs.itfind.or.kr/WZIN/jugidong/1055/1055.pdf · 2012. 6. 12. · tis-02-27 2002. 7. 18. 10510555 등록일: 1985년 11월

주간기술동향 통권 1055호 2002. 7. 18. ●

- 16 -

하여 ICT에 대한 정의에 합의했다. 이 정의는 이듬해 1998년 9월 정식 공표되었다. 이에 따르

면, ICT 산업의 제조분야는 “전송 및 표현(display)을 포함한 정보 처리 및 통신 기능을 구현해

야 하며, 물리적 현상을 기록/측정/탐지하기 위해 혹은 물리적 현상을 제어하기 위해 전자적 처

리과정을 이용하는 산업”으로 정의하고 있다. 또한, ICT 산업의 서비스 분야는 “전자적 수단에

의해 정보 처리 및 통신 기능을 수행하며, 제공된 서비스는 단순한 재화의 공급 수준을 넘어서

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1].

상기의 두 큰 움직임은 1990 년대 이후 정보통신 기술의 급진전을 배경으로, 세계경제에서

정보통신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절대적인 위치를 차지하게 된 데 따른 것이다. 특히, ICT 산업

은 산업의 기본 틀을 변화시키고, 동시에 기술과 산업의 융합을 가속화 시키면서 新산업을 속속

탄생시키고 있어 이에 대한 신속하고 통일된 분류기반의 정립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하겠다.

일례를 들면, 1997 년 NAICS 에서 정보부문을 신설할 당시, 전자상거래의 향후 발전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있었지만 그렇게 빠른 속도로 커다란 산업을 형성할 것이라고는 예측하지 못했다.

즉 2000년을 전후로 인터넷의 급성장은 여러 분야에서 새로운 형태의 산업을 촉발시키고 있으

며, 이를 담을 분류기준은 적시에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현실적 상황을 배경으로 UN을 비롯한 선진 각국에서는 현재의 산업구조 및 패턴을

반영하는 새로운 산업분류 체계에 대한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고, 실제 NAICS는 2002년도

개정에서 정보부문에 대해 현실을 반영한 대폭적인 개정이 이루어졌다. 동시에, UN에서는 ISCI

의 개정 초안(rev.3.1)에 대한 검토가 진행 중이다. 이웃 일본에서는 2002년 3월, 1957년 이

후 처음으로 대분류 항목의 신설을 포함한 “일본표준산업분류”를 개정하였으며, 이 개정안에서

는 “운수/통신업”에서 “정보통신업”을 분리시켜 대분류 항목으로 신설하는 등 획기적인 변화가

있었다.

이하에서는 최근 활발히 전개되고 있는 우리와 직간접적으로 관련이 깊은 주요 국가/기관의

산업분류개정 움직임을 정보통신분야에 국한하여 정리 살펴봄으로써, 우리나라에서 향후 이와

관련하여 논의가 진행될 때 그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II. UN: ISIC Rev. 3.1(Draft)를 중심으로[2]

1. ISIC Rev. 3 개요

국제 표준산업분류인 ISIC 는 경제 주체들이 행하는 경제활동에 의거하여 산업을 분류하고

Page 18: 정보통신 기술 정책 및 산업 주간기술동향kidbs.itfind.or.kr/WZIN/jugidong/1055/1055.pdf · 2012. 6. 12. · tis-02-27 2002. 7. 18. 10510555 등록일: 1985년 11월

● 포커스

- 17 -

있는데, 총 A-Q까지 17개 카테고리(one-letter alpha code)로 이루어져 있다. 각각의 카테고

리별로 관련산업이 분류되고(Division: 2 digit code), 다시 하위 그룹으로(Group: 3 digit code,

Class: 4 digit code) 세분류 된다. 이러한 계층적 구조로 이루어진 ISIC는 국제 통계를 기준으

로 작성하였기 때문에 국가 간의 호환성이 상당히 뛰어나고 국가 간의 산업비교가 용이한 반면,

통계수치에만 기준을 두고 있어 다루고 있는 범위가 한정되어 있고, 세분화가 되어 있지 못하며,

국가 간의 호환성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새로운 기술이나 산업을 추가하는 것이 용이하지 못

하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3].

1948년 처음 제정된 이래 Rev.3 이 사용되고 있는데, Rev.3 는 1989년 개정되었고, 1994

년부터 발효되었다. 현재 논의가 진행중인 Rev. 3.1(Draft)에서는 ICT 분야에 그 초점이 맞춰져

있다. 아직 승인되지 않았지만, Rev. 3.1 초안에서는 17개 대분류 카테고리의 통합이 검토되고

있다. 그 배경에 ICT가 존재한다. 즉, ICT는 광범위한 분야의 걸쳐 있어(A, D, F, G, H, I 및 O

항목), 경제활동이나 산업 단위로 정의를 내리기는 매우 어려운 것이 사실이며, 이러한 이유로

17개 카테고리의 통합이 Rev. 3.1 초안에서 검토되고 있는 것이다(<표 1> 참고).

2. ISIC Rev. 3.1 초안: ICT를 중심으로

1990년대 후반부터 부각되고 있는 정보경제(information economy)의 개념에는 정보의 생

산/처리/유통 뿐 아니라 모든 산업에서 생산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정보기술을 적용하는 포괄적

인 의미도 같이 함유하고 있다. 하지만, 직접적으로는 정보 및 문화적 산출물의 생산, 이를 유통/

전송해 주는 수단의 제공, 데이터 처리 및 커뮤니케이션이 정보분야(information sector)에 포함

된다 할 수 있다.

<표 1> ISIC Ver. 3.1(Draft)의 카테고리 통합 검토 내용

코드 명칭 ISIC Sections ISIC Divisions ISIC Groups

I 농업, 수렵업, 임업 및 어업 A, B 01, 02, 05 011. 050

II 광공업, 제조업, 전기/가스 및 수도사업 C, D, E 10, 37, 40, 41 101-410

III 건설업 F 45 451-455

IV 도/소매업 G 50, 51, 52 501, 503, 504, 505, 525

V 운송장비 수리업, 개인 및 가정용 재화 G 50, 52 502, 504, 526

VI 숙박 및 음식점업 H 55 551-552

VII 운수, 저장 및 통신업 I 60-64 601-642

VIII 교육/건강/기타 사회적, 개인적 서비스업 M, N, O, P 80, 85, 90, 93, 95 801-950

IX 기타 서비스업 J, K, L, Q 65-67, 70-75, 99 651-753, 990

Page 19: 정보통신 기술 정책 및 산업 주간기술동향kidbs.itfind.or.kr/WZIN/jugidong/1055/1055.pdf · 2012. 6. 12. · tis-02-27 2002. 7. 18. 10510555 등록일: 1985년 11월

주간기술동향 통권 1055호 2002. 7. 18. ●

- 18 -

<표 2> ISIC에서의 ICT 관련 분류 코드 일람 및 Ver. 3/Ver. 3.1(Draft) 비교

ISIC Ver. 3

Group Class 명칭 ISIC Ver. 3.1 주요 검토내용

출판 이하, 온라인 제공 목적용은 제외

2211 서적 출판업 CD-ROM 상의 사전 등 출판

2212 신문/잡지/정간물 발행업

2213 기록매체 출판업 음악 CD 명시

221

2219 기타 출판업

좌동

300 3000 사무/회계/컴퓨팅 기기 제조업 좌동

313 3130 절연선 및 케이블 제조업 좌동

321 3210 전자 밸브/튜브 및 전자부품 제조업 좌동 LCD 등 포함

322 3220 TV/무선 송신 및 유선 전화/전신 기기 제조업

좌동 이동전화, 데이터통신장비, 라우터/게이트웨이/허브/브릿지 등 포함 통신장비의 설치업 포함

323 3230 TV/무선 수신기 및 음향/영상 녹음 및 재생산 기기, 관련 제품 제조업

좌동 디지털 카메라, CD/DVD 플레이어 포함

3312 측정/검사/시험/항행 및 기타 기구/응용 기기 제조업

좌동 331

3313 산업공정 제어장비 제조업 좌동

515 5150 기계류, 장비, 부분품 도매업 5151, 5152,

5159로 세분화

5151: 컴퓨터, 컴퓨터 주변기기 및 S/W 도매업 5152: 전자 및 통신 부분품 도매업 5159: 기타 기계류, 장비, 부분품 도매업

642 6420 통신 좌동 인터넷 액세스 제공 포함 검토

712 7123 사무용 기계/장비 임대업 좌동

72 컴퓨터 및 관련 서비스 좌동

721 7210 H/W 자문(컨설팅) 좌동

722 7220 S/W 자문 및 제공 7221, 7229 세분화

7221: 소프트웨어 제작 7229: 기타 S/W 자문 및 공급

723 7230 데이터 처리 좌동 웹 호스팅 포함

724 7240 데이터 베이스 활동 명칭 변경

“데이터베이스 및 전자적 컨텐츠의 온라인 유통”으로 명칭 변경 온라인 출판, e-Book, 웹검색 포털, 인터넷 검색/게임 사이트 등 포함

725 7250 사무, 회계 및 컴퓨팅 유지보수 좌동

729 7290 기타 컴퓨터 관련 서비스 좌동

9211 영화/비디오 제작 및 유통 좌동

9212 영화 상영업 좌동 921

9213 라디오/TV 방송업 좌동

9220 뉴스 제공업 좌동 922

9231 도서관 및 기록 보존서 좌동

Page 20: 정보통신 기술 정책 및 산업 주간기술동향kidbs.itfind.or.kr/WZIN/jugidong/1055/1055.pdf · 2012. 6. 12. · tis-02-27 2002. 7. 18. 10510555 등록일: 1985년 11월

● 포커스

- 19 -

이 정보분야를 구성하는 주요 산업으로는 출판, 소프트웨어 제작, 영상/음향 제작, 방송 및

통신, 정보서비스, 데이터처리 산업들이 있으며, 이들 산업은 기존의 제조업, 통신업, 영상제작

및 기타 서비스업 등 여러 산업에 걸쳐 산재해 있다. 이들 영역에서 생산된 산출물들을 유통하

기 위해서는 기존의 전통적 생산과정을 건너뛰거나 혹은 생산-유통이라는 구조에 대한 변혁을

요구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인터넷 신문은 구독자가 직접 프린트하거나 혹은 필요한 부분만을

출력해 볼 수 있다. 패키지 소프트웨어의 경우도 이제는 소매점이 아니라 온라인으로 대금을 지

불하고 다운을 받을 수 있다.

표준산업분류에서 정보분야는 정보산업이 갖는 특성을 제대로 추적하여 반영하고, 그에 적합

한 자료를 제공해야 한다는 인식 하에 개정안을 검토중이다. 그 하나가 <표 1>의 내용처럼 정보

산업을 가능한 한데 묶어 총체적 파악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카테고리 17개를 9개로 통합하

는 작업이며, 또 다른 하나는 정보부문 내에서 “기계/장비/부분품 도매업”과 “S/W 자문 및 제

공”과 같이 Class 단위에서 세분화하거나, 혹은 기존의 틀 속에서 최근 부각된 산업을 담아내려

는 것으로 압축할 수 있다. ICT에 대한 기본 정의는 서두에서 언급한 OECD 정의와 맥을 같이

하고 있다(OECD의 ICT 정의가 ISIC를 토대로 한 것임).

III. NAICS: 2002년 개정안을 중심으로

1. NAICS 개요[4]

1997년 NAFTA(North America Free Trade Agreement) 회원 3개국이 채택한 NAICS

는, 재화와 서비스를 산출하기 위해 유사 프로세스를 사용하는 경제단위를 한데 묶은 단일 경제

개념을 도입한 새로운 형태의 산업 분류 시스템이다. 멕시코의 INEGI(Instituto Nacional de

Estadistica Gepgrafia e Information), 캐나다의 Statistics Canada, 미국의 OMB(Office of

Management and Budget)가 참여하였으며, 관련 데이터의 수집/분류/제시/분석을 용이하게 하

고 각 산업을 기술하는 통계 데이터의 분석 및 발표에 있어 비교가능성과 균질성을 증진시킨다

는 큰 틀 아래에서 작업이 이루어졌다. 이 NAICS는 최초로 정보부문을 “Sector 51”의 대분류

로서 분류함으로써 정보통신 분야 입장에서 큰 주목을 받았다.

미국은 1939년에 선보인 제조업을 위주로 구성된 SIC를 NAICS가 채택되기 이전까지 사

용해 왔다. SIC의 마지막 개정은 1987년에 있었으며, 이 개정 분류에서는 20여 개의 서비스

산업과 기술적 변화를 반영한 소수의 제조분야의 산업이 추가되었을 뿐이다. 이처럼 SIC 는 급

Page 21: 정보통신 기술 정책 및 산업 주간기술동향kidbs.itfind.or.kr/WZIN/jugidong/1055/1055.pdf · 2012. 6. 12. · tis-02-27 2002. 7. 18. 10510555 등록일: 1985년 11월

주간기술동향 통권 1055호 2002. 7. 18. ●

- 20 -

증하는 서비스 산업에 대한 반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즉, 경제환경을 적시에 반영하지 못

하는 구식 모델로서 이용자 및 애널리스트 모두에게 비판을 받아왔었다. 실제, SIC에서는 1,004

개 산업 중 416개가 서비스 관련 산업이었던 데 반해, NAICS에서는 총 1,170개 산업 중 565

개가 서비스 관련 산업이다. 더욱이 새롭게 추가되었던 358개 산업 중에 약 70%인 250여 개

가 서비스 산업이었으며, 20개 대분류(Sector) 중 16개가 서비스 관련 항목이다.

NAICS 제정에 있어 이러한 상황을 배경으로 다음 4원칙을 지침으로 삼았다. 첫째, NAICS

는 생산 위주(production-oriented) 혹은 공급 기반(supply-based)의 개념적 틀을 근간으로 한

다. 이는 동일 혹은 유사한 생산 공정을 사용하는 생산단위는 NAICS 에서는 동일 군에 속한다

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신산업, 서비스 산업, 신기술 생성과 관련된 산업에 대해서는 특별한 관

심을 지속적으로 갖는다는 것으로, 예를 들어 2002년 개정안에서 무점포 소매업이나 인터넷 정보

비즈니스 산업의 분류가 여기에 해당된다. 셋째는 최대한 데이터의 시계열 연속성을 유지하는 것

이며, 마지막으로 UN의 ISIC(Rev.3) 2 digit level(Division)과 양립성을 갖도록 한다는 것이다.

한편, SIC는 4단위 코드로 되어 있었으나, NAICS에서는 여섯 단위로 바뀌었다. 이는 시스

템의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5-digit는 북미 3개국이 비교 가능한 최하위 단위

의 산업을 나타내며, 6-digit는 NASIC 레벨 이하의 분류로서 3개국이 자국의 특정 상황에 맞

추어 분류한다. NAICS는 3개국 모두에게 일관성 있는 틀을 제공하는 것이지만, 각국의 경제/

제도적 구조가 다르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개별 산업 단위에서 모두 양립될 수는 없다. 따라서

세세한 산업구조가 아니라, 분야별 경계선 위에 기초하여 NAICS를 구현한다는 데 인식을 같이

하고 있다. <표 3>은 NAICS를 기반으로 미국과 캐나다가 어떻게 자국내의 분류체계를 가져가

고 있는지 보여 준다[5].

2. NAICS 2002 개정안: 정보부문(Sector 51)을 중심으로[6]

1999년 12월 말 북미 3개국은 NAICS의 건설 및 정보부문의 개정에 합의하였으며, 도매

<표 3> NAICS, NAICS US, NAICS Canada 내 분류 산업 수 비교

NAICS US NAICS NAICS Canada

2-digit: Sector 20 20 20

3-digit: Sub-sector 96 70 99

4-digit: Industry Group 311 226 321

5-digit: NAICS Industry 721 461 734

6-digit: National Industry 1,170 N/A 921

Page 22: 정보통신 기술 정책 및 산업 주간기술동향kidbs.itfind.or.kr/WZIN/jugidong/1055/1055.pdf · 2012. 6. 12. · tis-02-27 2002. 7. 18. 10510555 등록일: 1985년 11월

● 포커스

- 21 -

업 분야에 대해서는 2007 년 차후 개정안에서 논의하기로 연기하였다. 다만, OMB 의 ECPC

(Economic Classification Policy Committee)는 재화를 직접 보유하고 있는지의 차이에 따른

분류와 급성장하고 있는 B2B 전자상거래 시장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도매업을 조정

할 것을 권고하였고, NAICS US 분류에 이를 담았다. ICT 분야의 개정된 분류코드는 참고문헌

[5] 혹은 [6]에 액세스하면 입수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참조하기 바라며, 여기서는 주요 변화

된 내용을 중심으로 NAICS의 ICT 관련 동향을 요약 정리한다.

먼저 전체적으로 개관해 보면, 정보부문의 Sub-sector 로서 출판(인터넷 제외), 영화 및 음

향, 방송(인터넷 제외), 인터넷 출판 및 방송, 통신, ISP(Internet Service Provider)/웹 검색 포

털/데이터 처리, 기타 정보서비스로 구분하고 있다. 이 Sub-sector는 16개 4-Digit 산업 그룹

으로, 그리고 5-Digit 개별산업으로 다시 나뉜다. NAICS에서 취하고 있는 ICT에 대한 정의는

OECD의 정의와 같으며, 이 개정안에서의 특징은 인터넷의 급속한 확산에 따라 생성된 신산업,

예를 들어, ISP/웹 검색 포털, 컨텐츠의 인터넷 유통산업과 같이 아직 초기단계에 있는 산업을

독립적으로 분류하고 있다는 점이다.

출판산업(Sub-sector 511)에 소프트웨어 제작이 포함되어 있는 것은 지적 산출물을 창출하

여 시장에 내놓는 그 활동과정이 여타 지적 산출물 창출과정과 유사하기 때문이며, 반면에 패키

지 소프트웨어의 재생산은 제조활동으로 NAICS는 분류하고 있다. 고객 주문에 특화된 S/W의

설계는 대분류인 “전문/과학/기술 서비스”에 속한다. 2002년 개정안에서 출판산업 중 유일하게 변

화된 것은 기존의 “디렉토리 및 메일링 리스트 출판(51114)”을 “데이터베이스 및 디렉토리 출판”

으로 개명한 것으로, 이는 새로운 명칭이 해당 산업을 잘 기술하고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영화 및 음향 제작산업은 이들 산출물의 제작과 배급에 관한 산업을 포함하며, 음향기록물

(음반 등)의 도/소매는 도매업 분류에 속한다. 하위 산업군으로는 영화/비디오 제작업과 음향제

작업으로 나뉘며, 2002년도 개정된 내용은 없다.

2002 년도 개정안에서는 “방송/통신”이 각각 Sub-sector 로 분리되었는데, 이는 정보/컨텐

츠의 생산과 유통과정이 다르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분리된 방송산업(Sub-sector 515)에는

라디오/TV 방송(5151)과 케이블/기타 가입자 프로그램(5152)으로 나뉘며, 개정된 내용은 없다.

또, 통신산업(Sub-sector 517)은 방송산업과는 달리 정보나 컨텐츠를 산출하지는 않으며, 기술

베이스의 산업이라 할 수 있다. 여기에는 유선, 무선, 재판매, 위성, 케이블 및 기타 서비스업으

로 나뉘며, 재판매 사업을 제외하고는 전송설비를 운용하게 된다. 케이블 및 기타 서비스에는 케

이블이나 DTH(Direct to Home) 혹은 이와 유사한 시스템을 운용한다. 역시 2002년에 개정된

내용은 없다.

Page 23: 정보통신 기술 정책 및 산업 주간기술동향kidbs.itfind.or.kr/WZIN/jugidong/1055/1055.pdf · 2012. 6. 12. · tis-02-27 2002. 7. 18. 10510555 등록일: 1985년 11월

주간기술동향 통권 1055호 2002. 7. 18. ●

- 22 -

2002년도 개정안에서 가장 큰 변화는 바로 인터넷 출판 및 방송과, ISP/웹 검색 포털/데이

터 처리를 Sub-sector로 신설했다는 점이다. 인터넷 출판 및 방송(516)은 기존의 출판과 방송

산업과는 달리 모든 정보/컨텐츠 산출작업이 인터넷 베이스로 이루어진다는 차이를 인정하여 신

산업으로 분류하였다. 여기에는 아직 이들 산업이 초기 단계이지만, NAFTA 3개국의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어 통계적 측면 뿐 아니라 산업적으로도 독립적으로 파악

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이다.

또 하나, 새로운 Sub-sector로서 인터넷 접속기반을 제공하는 산업 즉, ISP/웹 검색 포털/데

이터 처리(518) 산업을 신설했다. ISP/웹 검색 포털산업(5181)은 인터넷 접속기반 혹은 인터넷

상의 정보를 검색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산업이며, 데이터처리 산업(5182)에는 호스팅 산업이 이

번에 추가되었다.

3. NAICS 2002 개정안: Sub-sector 435를 중심으로[6]

도매업(Sector 42)은 도매상인: 내구재(423), 도매상인: 비내구재(424), 전자상거래 및 중개

거래업(425)으로 나뉜다. 2002년에 신설된 Sub-sector가 바로 전자상거래 및 중개거래업으로

ICT와 직접 관련된 분야이다.

이 분야에 속한 산업의 특징은 자신들이 재화/서비스에 대한 소유권이 없고, 단지 구매자와

판매자를 연결시켜 주고 중개료나 수수료를 수익의 원천으로 삼는다는 점이다. 최근 2~3년 사

이에 인터넷을 통한 도매거래(B2B) 시장이 급속도로 커지고, 브로커나 에이전시의 역할도 바뀌

고 있다. 도매업의 경우, 그 동안 잠재 고객을 접촉하기 위한 비용과 지리적 제약 등을 받아 왔

지만, 인터넷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해 주고 있다. 이처럼 도매시장을 보다 활성화시켜 주고 있으

면서 기존의 도매업과는 다른 특성을 지닌 이 산업에 대한 현상을 정확히 파악할 필요가 있어

이번 개정안에서는 이를 새롭게 분류하였다.

IV. 일본: 新 일본표준산업분류[7,8]

1. 검토배경

일본표준산업분류(JSIC)는 산업별 통계조사를 나타내는 통계기준으로서, 재화와 서비스의 생산

및 제공과 관련된 모든 경제활동을 분류하고 있다. 통계의 정확성과 객관성을 유지하고, 통계결과의

상호 비교 및 이용 촉진을 목적으로 1949년 설정되었으며, 지금까지 총 10회 개정되었다. 개정된

Page 24: 정보통신 기술 정책 및 산업 주간기술동향kidbs.itfind.or.kr/WZIN/jugidong/1055/1055.pdf · 2012. 6. 12. · tis-02-27 2002. 7. 18. 10510555 등록일: 1985년 11월

● 포커스

- 23 -

분류체계는 대분류 19, 중분류 97, 소분류 420, 세분류 1,269개의 4단계의 depth를 갖고 있다.

이번 개정안은 첫째, 정보통신 고도화 및 서비스 경제화의 진전에 따른 산업구조의 변화에

부응하고, 둘째 통계의 계속성을 유지하면서 그 이용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해 보다 정확한 분류

항목의 설정과 개념의 정의를 명확하게 하며, 셋째 통계 결과의 국제적 비교가능성을 향상시킨

다는 3대 목적 하에 추진되었다.

2. 주요 개정 내용: 정보통신업을 중심으로

먼저, 이번 개정안에서는 1957년 이후 45년 만에 대분류 항목이 신설되는 대폭적인 손질이

있었다. <표 4>는 분류항목의 증감 수를 나타낸 것이다.

“정보통신업”은 기존의 대분류였던 운수통신업에서 분리 신설되었는데, <표 5>에 나타낸 것

처럼 통신업, 정보서비스업, 인터넷 부수 서비스업 등 5개 중분류가 포함되었다.

<표 4> 분류 항목수 증감 내용

구분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세분류

기존 항목 수 14 99 463 1,322

개정 항목 수 19 97 420 1,269

증감 +5 -2 -43 -53

<표 5> 정보통신업(H) 분류 내역

분류번호 중항목 소항목

信書(메일) 송달업

고정전기통신업

이동전기통신업

37

통신업

전기통신 부대서비스업

공공방송업(유선방송업 제외)

민간방송업(유산방송업 제외) 38

방송업

유선방송업

소프트웨어업 39

정보서비스업

정보처리/서비스업

40 인터넷 부수 서비스업 인터넷 부수 서비스업

영상정보 제작/배급업

음성정보 제작업

신문업

출판업

41

영상/음성/문자 정보제작업

영상/음성/문자 정보제작 부대서비스업

Page 25: 정보통신 기술 정책 및 산업 주간기술동향kidbs.itfind.or.kr/WZIN/jugidong/1055/1055.pdf · 2012. 6. 12. · tis-02-27 2002. 7. 18. 10510555 등록일: 1985년 11월

주간기술동향 통권 1055호 2002. 7. 18. ●

- 24 -

이는 정보의 전달, 처리, 제공 등을 수행하는 산업이 확대되고, 정보통신 관련 산업구조 실태

를 명확하게 할 필요성이 제기된 데 따른 것이다. 이에 따라, 기존에는 대분류 “서비스업(L)”에

속해 있던 정보서비스업이 “정보통신업”으로 옮겨 왔다.

또한, 국제적인 산업분류 개정 움직임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함도 이번 개정안에서는 반

영되었다고 볼 수 있다. 즉, 앞서 언급한 것처럼 NAICS에서는 대분류로 “정보산업(information

sector)”을 설정해 놓고 있고, ISIC에서도 보조 분류로 개정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국제적 비

교가능성을 고려한 결과라 할 수 있다.

이밖에, 정보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영상/음성/문자 정보 제작과 관련된 활동은 타 산

업활동에서 창출/생성되는 정보의 생산활동과 분류하기 힘들기 때문에 “정보통신업”에 포함시키

고 향후 더 검토하기로 하였다.

한편, 인터넷 부수 서비스업은 통신업과 정보서비스업 각각에 분류하기 힘든 중간 영역에 속

하는 산업이 속속 발생되는 상황을 감안하여 이를 수용하기 위해 신설되었다.

그리고, 정보통신산업의 확대, 이용편의성 제고 및 국제적인 통계 데이터의 비교 증진 등을

목적으로 “제조업(F)”의 중분류인 “전기기계기구제조업”의 소분류 항목에 포함되어 있던, “통신

기계기구/동 관련기계기구 제작업”과 “전자계산기/동 부속장치 제작업”을 분리시켜 중분류 “정

보통신기계기구제조업”으로 신설/이관했다.

역시, “전기기계기구제조업”의 소분류 항목에 들어 있던 “전자부품/디바이스 제조업”도 분리

시켜 중항목으로 확대하였다. “전자부품/디바이스 제조업”은 모든 기계기구에 사용되는 범용성을

갖고 있고, 산업 규모도 매년 확대되고 있어, 정보 관련 제조업을 분석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산업이기 때문에, 중분류로 확대한 것으로 분석된다.

<표 6> 제조업(F) 중 정보통신 관련 분야의 분류 조정 내역

분류 중항목 소항목

발전용/송전용/배전용/산업용 전기기계기구 제조업

민생용 전기기계기구 제조업

전구/전기 조명기구 제조업

전자응용장치 제조업

전기계측기 제조업

27 전기기계기구 제조업

기타 전기기계기구 제조업

통신기계기구/동 관련기계기구 제조업 28 정보통신기계기구제조업

전자계산기/동 부속장치 제조업

29 전자부품/디바이스제조업 전자부품/디바이스 제조업

Page 26: 정보통신 기술 정책 및 산업 주간기술동향kidbs.itfind.or.kr/WZIN/jugidong/1055/1055.pdf · 2012. 6. 12. · tis-02-27 2002. 7. 18. 10510555 등록일: 1985년 11월

● 포커스

- 25 -

마지막으로, “운수통신업(H)”의 중분류였던 “우편업”은, “서비스업(L)”의 “협동조합”과 함께

새로 신설된 “복합서비스사업”으로 자리를 옮겼다.

3. 향후 방향

이번 개정을 계기로, 일본은 사회경제의 변화가 급속도로 전개되기 때문에 이에 신속/정확하

게 대응하기 위해 표준산업분류도 필요하다면 적시에 개정한다는 계획이다.

이런 맥락에서 볼 때, 대분류인 “제조업”의 경우 수요구조의 변화, 기술혁신의 전개 및 산업

활동의 국제화 등에 따른 분류의 개정이 예상된다. 즉, 새로운 정보처리기술이 생산 공정에 도입

되고 신소재의 이용에 따른 생산기술의 혁신이 가속화되는 최근 추세에 비추어 전면적인 재조정

이 계획되어 있다.

한편, 이 개정 표준산업분류는 3월에 발효되어, 10월부터 실시되는 각종 조사에 적용된다.

V. 요약 및 시사점

본문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NAICS 및 JSIC는 2002년을 기해 개정되었으며, ISIC는 Rev.

3.1의 초안이 검토되고 있다. 이들 기관 및 국가들이 추진한 개정안(초안)의 근간에는, 산업분류

를 얼마나 상세하게 체계화 시키는가 보다는 현상의 흐름을 적기에 반영할 것인가에 우선순위가

두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 ICT 산업이 초래한 경제적 패러다임의 변화, 즉 현재의

산업구조 및 패턴을 반영하는 분류 기준을 설정하려는 데 주안점이 두어져 있다 하겠다.

미국이 NAICS 를 제정할 당시 천명하였던 4 가지 지침 중에서, 신산업/서비스 산업/신기술

생성과 관련된 산업에 대해서는 특별한 관심을 지속적으로 가져야 한다는 대목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ICT 기술의 융합과 인터넷의 확산으로 신산업이 잇따라 등장하고, 또한 급속도로

성장하면서 현재를 대표하는 주도산업이 되는 경우가 많다. 전자상거래가 그 대표적인 예이다.

NAICS에서는 2002년 개정안에서 이를 담고 있다.

또한, 일본의 경우도 급변하는 사회/경제의 변화에 신속/정확하게 대응하기 위해 표준산업분

류를 필요하다면 적시에 개정한다는 내부 방침을 정해 놓고 있다. 정보통신업을 대분류 항목으

로 설정하는 대대적인 변혁에 그치지 않고, 아직 개정된 JSIC가 적용되기도 전에, 생산 공정에

광범위하게 정보처리기술이 도입되고 신소재의 이용이 보편화되는 최근의 추세를 반영하여 대

분류인 “제조업”을 전면 재조정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이와 관련해서 짚고 넘어갈 또 하나는, 정보산업의 범위를 모든 산업에서 생산성을 증진시키

Page 27: 정보통신 기술 정책 및 산업 주간기술동향kidbs.itfind.or.kr/WZIN/jugidong/1055/1055.pdf · 2012. 6. 12. · tis-02-27 2002. 7. 18. 10510555 등록일: 1985년 11월

주간기술동향 통권 1055호 2002. 7. 18. ●

- 26 -

기 위해 정보기술을 적용하는 포괄적으로 볼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ISIC의 개정 초안 검토에서

도 이런 관점을 견지하고 있는데, 이는 다른 각도에서 보면 기술 진화나 기술/산업간 융합에 따

라 등장하게 될 새로운 산업에 대해서도 미리 분류 체계를 만들 때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

한다. 이것이 산업에 대한 거시적 측면의 고려라면, 현실적 측면에서 분류코드도 유연성을 갖도

록 설계되어야 한다. NAICS에서 6 digit 코드로 변경한 것도 유연성 확보가 그 이유이다.

국내에서는 지난 2000년 3월, 8번째 개정된 표준산업분류(KSIC)를 사용하고 있다. 이 개

정안에서는 일본보다 먼저, 운수/통신업에서 통신업을 대분류로 분류했으나, 내용면에서는 통신

업의 중분류인 전기통신업을 세분화하는 정도에 그쳤다. 다만, 특수분류로서 “정보산업”을 별도

설정하여, 각 대분류에 산재해 있는 정보산업 관련 항목들을 한데로 모아 제공하고 있다. 이와

함께 행정기관(정보통신부의 정보통신통계 작성 분류) 요청에 따라 정보통신산업 분류를 함께

정리/제시하고 있다[9]. 전자의 경우는 정보산업을 제조/서비스/컨텐츠로 구분하고 있으나, 후자

는 제조/서비스업으로 양분되어 있다. 결론적으로, NAICS 나 일본처럼 정보산업을 포괄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대분류 항목은 마련되어 있지 않는 셈이다.

ICT 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국내 경제에서 절대적이다. 표준산업분류에서 정보산업을 대분

류로서 설정하는 것도 이제 결코 빠르지 않은 시대적 흐름이기도 하다. 통계의 기본 목적 중 하

나가 비교가능성의 향상이다. 모든 국가들이 새로운 산업분류기준을 제정 혹은 개정하면서 ISIC

와의 양립성을 고려하면서, 국제적 비교가능성을 증진시키기 위함도 중요 고려 사항이었다고 밝

히고 있다. 국내의 경우, ICT에 대한 통계가 관련기관 별로 다르게 발표되는 경우가 적지 않아

이용자 측면에서 상당한 어려움을 느끼게 하기도 한다. KSIC의 개정이 검토될 때 이상에서 살

펴본 각국의 사례에서 주는 교훈들 뿐 아니라, 수요자 측면의 요구에도 귀를 기울일 필요가 있

을 것이다.

<참 고 문 헌>

[1] Daniel April,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 Statistical Overview: Defining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 Sector,” Statistics Canada, 1999. 3.

[2] ISIC: http://esa.un/org/un/sd/registry/default.asp

[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정보통신산업 분류체계 연구, 수탁기관: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 2000. 12.

[4] U.S. Census Bureau, Development of NAICS : http://www.census.gov/epcd/www/naicsdev.htm

[5] Statistics Canada, NAICS Canada 1997: Completion and consultation for 2002: http://www.statcan.ca/

english/Subjects/Standard/naicsp2002.htm

Page 28: 정보통신 기술 정책 및 산업 주간기술동향kidbs.itfind.or.kr/WZIN/jugidong/1055/1055.pdf · 2012. 6. 12. · tis-02-27 2002. 7. 18. 10510555 등록일: 1985년 11월

● 포커스

- 27 -

[6] OMB, North American Industry Classification System: Update for 2002: http://www.census.gov/

epcd/naics02/naifr02c.htm

[7] 總務省 統計局 統計基準部, 統計審議會答申: 日本標準産業分類の改訂についての槪要, 2002. 1. 11.

[8] 統計審議會, 諮問第268號の答申: 日本標準産業分類の改訂について, 2002. 1. 11.

[9] KSIC(통계청); http://www.nso.go.kr:7001/standard/industry/industry_spe1.htm

Page 29: 정보통신 기술 정책 및 산업 주간기술동향kidbs.itfind.or.kr/WZIN/jugidong/1055/1055.pdf · 2012. 6. 12. · tis-02-27 2002. 7. 18. 10510555 등록일: 1985년 11월

주간기술동향 통권 1055호 2002. 7. 18. ●

- 28 -

전세계 VoIP 시장 동향

1. 개요

단일 패킷망 상에 음성과 데이터를 통합하는 추세는 비즈니스와 가정, 로컬과 장거리, LAN

(Local Area Network)과 WAN(Wide Area Network), 유선과 무선, 그리고 국내와 국제라는

기본적 시장 분할을 초월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서비스 제공업자와 이용자 모두에게 이익을 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서비스 제공업자에 있어서 단일망은 다중 망 관리 시스템을 단일 플랫폼

으로 통합함으로써 운영비를 절감하고 망 감시, 문제해결, 그리고 고객 서비스를 단순화 시켜 가

장 효율적으로 망 자원을 이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트래픽마다 개별적인 대체망을 갖는 대신

다중 트래픽 유형을 통합하여 지속적인 진화에 의해 예측 불가능할 정도로 증폭되고 있는 경쟁

적인 통신환경에 적응하려는 유연한 플랫폼을 제공하며, 전반적으로 부가가치가 높고 수입창출

이 극대화 되는 고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용자에 있어서도 회선 액세스와 WAN

서비스에 대한 월별 이용요금은 액세스 회선의 통합을 통해 감소될 수 있어 경제적이다. 그리고,

궁극적으로 음성과 데이터를 위해 내부의 단일 회선 인프라가 이용될 수 있다.

음성망과 데이터망이 어떤 형태로든 수렴, 통합하는 방향으로 진화될 것이라는 사실에는 이

견이 없으며, 이러한 통합망으로 가장 강력히 부상하고 있는 것이 패킷망에서 음성을 수용하는

VoX(Voice over X)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또는 IP 전화

(telephony)는 VoX 와 패킷 통합 시장의 하위 셋으로 볼 수 있는데, VoX 는 VoIP, VoATM

(Voice over Asynchronous Transfer Mode), VoFR(Voice over Frame Relay), VoDSL(Voice

over Digital Subscriber Line) 및 VoCable(Voice over Cable) 등 패킷화 된 음성을 위한 현존

IT IT IT IT 전략전략전략전략 품목품목품목품목

1. 개요

2. VoIP 시장 동인 및 주요 이슈

3. VoIP 시장 현황 및 전망

4. 결론 및 시사점

김정환

정보조사분석팀 연구원

[email protected]

* 본 고는 IT정보센터 정보조사분석팀에서 수행하고 있는 정보통신부 “IT 전략품목 조사분석” 과제 결과물의 일부로서,

35대 유망품목 세계시장 동향에 관한 조사분석 내용입니다.

Page 30: 정보통신 기술 정책 및 산업 주간기술동향kidbs.itfind.or.kr/WZIN/jugidong/1055/1055.pdf · 2012. 6. 12. · tis-02-27 2002. 7. 18. 10510555 등록일: 1985년 11월

● IT 전략 품목

- 29 -

하는 차세대 솔루션 전체를 포함하고 있다.

현재 VoX 시장은 VoX 서비스를 가능하도록 하는 각종 단말기, 게이트웨이, 게이트키퍼 및

교환기 등의 장비 시장과 서비스 시장으로 구분할 수 있다. VoX 장비시장은 포트수나 회선수로

그 규모를 파악하고, 서비스 시장은 기본적인 음성서비스와 패킷 특성을 이용한 FoPN(Fax

over Packet Network), UMS(Unified Messaging Service) 및 멀티캐스트 서비스 등의 부가 서

비스로 구분하기도 하고, VoFR, VoATM 그리고 VoIP 등 VoX의 유형별로 서비스 시장규모를

파악하여 이들의 합을 전체 VoX 서비스 시장으로 정의하기도 한다.

여기에서는 현재 VoX 시장에서 가장 커다란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앞으로 IP 기반의 멀티

미디어 통신기술을 이용하여 다양한 부가가치를 창출할 차세대 서비스(Next Generation Service:

NGS)로 진화할 것으로 전망되는 VoIP 에 대해 서비스와 장비 시장의 동인, 주요 이슈, 그리고

국내외 시장 현황과 전망을 살펴보았다.

2. VoIP 시장 동인 및 주요 이슈

가. 시장 촉진 및 억제 요인

음성망과 데이터망의 통합화 방향은 단순히 기술적인 발전에 그 원인이 있다고는 볼 수 없으

며, 시장에서의 다양한 요인과 경쟁관계의 변화, 그리고 정책 환경에서도 그 원인들을 찾을 수

있다. VoIP를 포함한 VoX 진화 요인은 다음과 같이 크게 다섯 가지로 파악되고 있다[1].

첫째, VoX 발전의 가장 큰 원동력으로 잠재시장 기회가 막대하다는 점이다. 데이터 및 호 트

래픽이 매년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기존 전화 사업자들이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기반의 케이블이나 광으로 이러한 증가된 트래픽을 모두 수용하기는 매

우 힘들다. 따라서 대부분의 통신사업자들은 프레임 릴레이와 ATM 같은 패킷교환 기술 기반의

인프라에 막대한 투자를 해왔고, 이러한 인프라가 현재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에 있어서 기

존 PSTN 보다 효율적이다. 즉, 패킷교환 기술의 전송능력에 의한 투자비용 효율성과 효과적인

대역폭 활용에 의한 운용비 절감이 VoX 시장 및 사업 기회를 제공하는 주요 요인이 되고 있다.

둘째, 현재의 전용선 망에서의 음성 트래픽은 대역폭 측면에서 매우 작기 때문에 거의 비용

이 들지 않는다. 그러나 새롭고 다양한 기업전용 음성 응용서비스 출현과 수요 요구는 기존 전

화 사업자들로 하여금 음성 응용서비스에 대한 적정한 요금 설정을 점점 어렵게 만들고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경제 측면이 기존의 아날로그/디지털 PSTN 전송에서 디지털/패킷/IP 형태의

전송으로 진화 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Page 31: 정보통신 기술 정책 및 산업 주간기술동향kidbs.itfind.or.kr/WZIN/jugidong/1055/1055.pdf · 2012. 6. 12. · tis-02-27 2002. 7. 18. 10510555 등록일: 1985년 11월

주간기술동향 통권 1055호 2002. 7. 18. ●

- 30 -

셋째, 인터넷, 기업 IP 망, 그리고 인트라넷 등의 확산과 데이터 응용서비스의 급속한 성장에

의해 2002년에는 비 음성 트래픽이 기존 전화망 음성 트래픽의 다섯 배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

는데, 이러한 데이터 트래픽의 급속한 증가는 패킷망의 구축을 가속화 시키고, 결국 패킷망에서

의 음성 수용을 위한 VoX 기술 향상을 가속화 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넷째, 재택 근무의 확산과 이를 위한 PC 수요, 그리고 보다 효율적인 대역폭 활용이 필요한

각종 멀티미디어 소프트웨어의 수요 증대가 VoX에 대한 필요성을 증가시키고 있다.

마지막 요인으로는 시장구조의 변화를 들 수 있는데, 기존 사업자와 신규 사업자 간의 경쟁

심화 및 서비스 차별화는 VoX에 대한 기술 개발과 조기 구축의 요인으로 등장하고 있다.

한편, VoX 시장의 성장을 가로막는 몇 가지 문제들이 있다. 가장 먼저 꼽을 수 있는 것이 상

호 운용성 문제인데, 서비스 제공자들은 단일 공급업체에게 의존하지 않기를 원하므로 다수의

공급업체가 제공하는 게이트웨이와 게이트키퍼를 통합하는 능력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각각

다른 업체에서 제작한 게이트웨이나 게이트키퍼간 광범위한 상호 운용성 시험이 아직까지 이루

어지지 않고 있다.

두 번째는 신뢰성과 관련된 불확실성과 장비도입 기피 문제인데, 상대적으로 신뢰성이 떨어

지는 PC 플랫폼에 기반을 둔 인터넷전화 솔루션은 주요 서비스 제공업자에게 폭 넓게 수용되기

어렵다. 그러나, 데이터 망이 지나치게 폭주하거나 다운되는 경우 많은 관련 업체들이 PSTN에

의지하는 솔루션을 만들어 이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세 번째는 많은 기존 통신사업자들이 장거리 요금을 대폭 인하함으로써 저렴한 인터넷전화

서비스의 매력을 감소시키고 있다는 점이다.

나. 주요 이슈

현재 관심의 초점이 되고 있는 이슈 중 하나는 데이터를 위해 최적인 패킷망을 통해 이용자

의 요구를 충분히 만족시켜 줄 수 있는 통화품질의 실현 여부이다. 패킷화 된 다중서비스 망의

성공을 보장하기 위해 QoS(quality of services), 특성 및 기능성, 그리고 신뢰성 등이 기존의 회

선교환 망보다 동등한 레벨이거나 더 높아야 하는데, 이 중 QoS 는 당분간 통신분야에서 가장

중요한 이슈가 될 것으로 보인다. 그 동안 시장 확대에 상당한 장애가 되었던 통화품질 불신 문

제는 장비업체들의 지속적인 기술개발로 이용자들이 PSTN과 거의 구별하기 어려운 수준에 가

까워지고 있기는 하지만 아직까지 인터넷전화를 이용하지 않았던 대다수의 PSTN 이용자들을

서비스에 접근시킬 수 있는 마케팅 전략이 부족한 실정이다.

최근에 떠오르고 있는 또 다른 주요 이슈 중 하나는 서비스의 유료화 문제인데, 이제까지 무

Page 32: 정보통신 기술 정책 및 산업 주간기술동향kidbs.itfind.or.kr/WZIN/jugidong/1055/1055.pdf · 2012. 6. 12. · tis-02-27 2002. 7. 18. 10510555 등록일: 1985년 11월

● IT 전략 품목

- 31 -

료로 제공되던 인터넷전화 서비스가 유료로 제공될 경우 이용자가 이를 어떻게 받아들이냐에 따

라 서비스 제공업자의 수익성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서비스의 유료화를 위해서는 이용자가 유

료와 무료 서비스의 차이를 피부로 느낄 수 있을 정도의 서비스 차별화가 선행되어야 하는데,

여기에는 앞에서 언급한 통화품질 문제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현재 국내 서비스 제공업자마다 각기 다른 번호체계를 사용함으로써 발생되는 이용

자의 불편 문제도 시급히 해결해야 과제이므로 번호체계 및 기간, 별정통신사업자의 인터넷전화

사업에 대한 역무 규정에 대한 정부의 조속한 정책결정 일정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3. VoIP 시장 현황 및 전망

가. 서비스 시장

인터넷전화 서비스 시장은 일반적으로 소비자, 기업 이용자, 정부 및 관공서 등과 같은 이용

서비스 제공업자서비스 제공업자서비스 제공업자서비스 제공업자

인터넷 인프라인터넷 인프라인터넷 인프라인터넷 인프라

고속/대용량 고품질 망 고신뢰 망

ISP/NSPISP/NSPISP/NSPISP/NSP 서비스 제공업자서비스 제공업자서비스 제공업자서비스 제공업자 판매 채널판매 채널판매 채널판매 채널

인프라 제공업자인프라 제공업자인프라 제공업자인프라 제공업자

ISPISPISPISP 회선사업자회선사업자회선사업자회선사업자

인터넷 기술 제공업자인터넷 기술 제공업자인터넷 기술 제공업자인터넷 기술 제공업자

라우팅 기술라우팅 기술라우팅 기술라우팅 기술교환 기술교환 기술교환 기술교환 기술

보안 기술보안 기술보안 기술보안 기술

인터넷 제품 공급업자인터넷 제품 공급업자인터넷 제품 공급업자인터넷 제품 공급업자

라우터라우터라우터라우터교환기교환기교환기교환기

S/WS/WS/WS/W게이트웨이게이트웨이게이트웨이게이트웨이

QoS 기술QoS 기술QoS 기술QoS 기술

인터넷 전화기술 제공업자인터넷 전화기술 제공업자인터넷 전화기술 제공업자인터넷 전화기술 제공업자

상호접속상호접속상호접속상호접속 음성코덱음성코덱음성코덱음성코덱

과금기술과금기술과금기술과금기술 게이트웨이게이트웨이게이트웨이게이트웨이

인터넷 전화 관련제품의 직접 판매 . PC . PBX . LAN 기기 . S/W 등

소비자비즈니스 이용자

기존 이용자 일반 이용자 정부/관공서

. 인터넷 첨단기술

. LAN 기술

. Tel 기술 등

인터넷 전화에 대한 관심

. 각 기술 표준

. 서비스 표준

. 시스템 구축기술

. 서비스 구축기술. 고속/대용량화 기술. 고품질 IP 망 기술

. 이용자 증가로 용량 확대

. ISP 신규참여로 전용선 증가 . 제품 판매. 시스템 구축지원

. 시스템 구축기술

. 서비스 구축기술

<자료>: ETRI, 2001. ETRI 정보조사분석팀

(그림 1) 인터넷전화 시장의 구성요소

Page 33: 정보통신 기술 정책 및 산업 주간기술동향kidbs.itfind.or.kr/WZIN/jugidong/1055/1055.pdf · 2012. 6. 12. · tis-02-27 2002. 7. 18. 10510555 등록일: 1985년 11월

주간기술동향 통권 1055호 2002. 7. 18. ●

- 32 -

자, 인터넷 인프라 구축업자, 인터넷 인프라 제공업자, 인터넷 기술 제공업자, 인터넷전화 서비

스 제공업자, 인터넷전화 제품 공급업자, 인터넷전화 기술 제공업자 및 기술, 제품, 서비스 경쟁

자와 같은 요소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은 독자적인 하부 연결관계를 구축하고 있다(그

림 1).

1) 세계 시장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올해 전세계 인터넷전화 서비스 매출은 총 56억 3,600만 달

러에 이르고 이중 재판매가 40억 1,600만 달러, 도매가 16억 2,000만 달러의 매출을 올릴 전

망이다[2]. 인터넷전화 서비스 매출은 2002년부터 2007년까지 48.6%의 복합연평균 성장률로

408 억 6,800 만 달러 규모가 될 전망인데, 세부적으로 재판매의 경우는 54.6%의 복합연평균

성장률로 354억 5,800만 달러, 도매의 경우는 27.3%의 복합연평균 성장률로 54억 1,0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측된다.

2) 국내 시장

1998년 통신서비스에 대한 WTO 협정의 결과로 국내에 음성 재판매 서비스가 도입된 이후,

국내 VoIP 서비스 시장은 기존의 통신서비스 사업자와 차세대 IP-기반 사업자가 양분하고 있다.

한국통신을 비롯한 고정망 사업자는 7 자리의 시외국번(prefixed numbers)을 가지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Thrunet, Dreamline, Dialpad, @phone Telecom, Telefree, Kitel 및 Elthe와

같은 IPCSP(IP carrier service provider)는 PC-to-PC나 PC-to-전화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

하고 있다.

초기에 광고-기반의 수익모형에 의존한 IPCSP들 대부분이 자금난에 고전하였으나, 현재는

모든 사업자들이 할인가격 정책을 채택하여 이를 타개해 나가고 있는 실정이다. 2001 년 초에

<표 1> 전세계 인터넷전화 서비스 시장규모 전망(2001~2007년) (단위: 백만 달러)

구분\연도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CAGR

(’02~’07)

재판매 1,699 4,016 7,492 12,700 19,461 27,549 35,458 54.6%

성장률(%) - 136.5 86.5 69.5 53.2 41.6 28.7

도매 1,005 1,620 2,404 3,376 4,311 4,886 5,410 27.3%

성장률(%) - 61.1 48.4 40.4 27.7 13.4 10.7

합계 2,704 5,636 9,896 16,076 23,772 32,436 40,868 48.6%

성장률(%) - 108.4 75.6 62.4 47.9 36.4 26.0

<자료>: IDC, 2002. 1. ETRI 정보조사분석팀

Page 34: 정보통신 기술 정책 및 산업 주간기술동향kidbs.itfind.or.kr/WZIN/jugidong/1055/1055.pdf · 2012. 6. 12. · tis-02-27 2002. 7. 18. 10510555 등록일: 1985년 11월

● IT 전략 품목

- 33 -

@phone Telecom, Elthe, Telefree 및 Dialpad 등이 대부분의 시장에서 무료 서비스를 중단한

다고 발표한 바 있다. IPCSP의 유료화 정책으로 기존 통신사업자와의 직접 경쟁을 피할 수 없

게 됨으로써, 안정적인 고객 확보에 실패할 경우 많은 사업자들이 이 시장에서 사라질 수도 있

는 환경이 조성되었다.

IDC 의 발표자료에 따르면, 국내 VoIP 서비스 시장은 2001 년 일반용과 기업용을 합쳐 약

6,170 만 달러 규모를 형성하였고, 2005 년에는 약 62.9%의 복합연평균 성장률을 기록하면서

약 4억 3,410만 달러 규모가 될 전망이다<표 2>[3]. 그리고 2002년 국내에서는 약 30만 IP

포트가 서비스 되고 2005년에는 45.2%의 복합연평균 성장률을 기록하면서 75만 6,200 포트

로 증가할 전망이다<표 3>.

한편, 아이투라인(http://www.i2line.com)과 무한넷코리아(http://www.moohan.net) 등 일부

VoIP 전화사업자들이 2002년 1/4분기 손익분기점(BEP)에 도달함에 따라 소규모이지만 통화

료를 기반으로 한 수익구조를 갖추는 등 VoIP 전화사업이 통신서비스 시장에서 일정궤도에 오

르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VoIP 전화사업이 아직은 추가적인 투자를 통한 서비스 확장

과 가입자 확충에 주력하는 단계이므로 소폭 흑자의 의미는 그다지 크지 않다고 보는 입장도 있

으므로 좀더 그 추세를 살펴봐야 할 것이다[4].

<표 2> 국내 VoIP 서비스 매출 현황 및 전망(2000~2005년) (단위: 백만 달러)

구분\연도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일반용 31.0 36.4 44.9 67.5 97.4 138.9

성장률(%) - 17.4 23.4 50.5 44.3 42.5

기업용 182.2 25.3 67.3 125.4 197.8 295.2

성장률(%) - 39.0 166.3 86.3 57.7 49.2

합계 49.2 61.7 112.2 193.0 295.3 434.1

성장률(%) - 25.4 82.0 72.0 53.0 47.0

<자료>: IDC, 2002. 2. ETRI 정보조사분석팀

<표 3> 국내 VoIP 포트 전망(2000~2005년)

구분\연도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CAGR

(’01~’05)

서비스중인 IP 포트(천) 79.7 170.2 295.8 437.8 595.5 756.2 45.2%

성장률(%) 206.5 113.6 73.8 48.0 36.0 27.0 -

등가 재판매 IP 회선(천) 589.7 1,634.1 3,135.9 4,728.7 6,490.6 8,318.7 50.2%

성장률(%) 327.9 177.1 91.9 50.8 37.3 28.2 -

<자료>: ETRI, 2001. 12. ETRI 정보조사분석팀

Page 35: 정보통신 기술 정책 및 산업 주간기술동향kidbs.itfind.or.kr/WZIN/jugidong/1055/1055.pdf · 2012. 6. 12. · tis-02-27 2002. 7. 18. 10510555 등록일: 1985년 11월

주간기술동향 통권 1055호 2002. 7. 18. ●

- 34 -

나. 장비 시장

1) 세계 시장

전화요금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다는 이점 때문에 인터넷전화와 관련된 장비 시장은 매우 빠른

속도로 성장할 전망이다. 인터넷전화 게이트웨이 시장은 단독형 게이트웨이에서 RAS(Remote

Access Server)-기반 게이트웨이, 그리고 앞으로는 IP-가능한 CO(Central Office), 차세대 게

이트웨이 및 소프트스위치(softswitch) 시장으로 발전될 전망이다(그림 2).

2002 년 전세계 인터넷전화 게이트웨이 및 게이트키퍼 시장규모는 기업용과 서비스 제공자

용을 합해 44억 2,200만 달러에 이르고, 2001년부터 2006년까지 18.3%의 복합연평균 성장

률을 기록하면서 약 91억 달러 규모에 이를 전망이다<표 4>[5]. 서비스 제공자용은 2001년부

터 2006 년까지 16.0%의 복합연평균 성장률을 기록하면서 57 억 9,000 만 달러, 기업용은

<표 4> 전세계 인터넷전화 게이트웨이/게이트키퍼 시장규모 전망(2000~2006년) (단위: 백만 달러)

구분\연도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CAGR

(’01~’06)

서비스 제공자용 2,576 2,758 3,111 3,594 4,311 4,988 5,790 16.0%

기업용 1,080 1,162 1,311 1,513 1,856 2,443 3,311 23.3%

합계 3,656 3,920 4,422 5,107 6,167 7,431 9,101 18.3%

<자료>: ABI, 2001. ETRI 정보조사분석팀

시간

확장성

서비스

능력

단독형 게이트웨이 - PC-기반 - 1,000 포트 미만

RAS-기반 게이트웨이 - 액세스 집중기 플랫폼 기반 - 8,000 포트급

IP-가능한 CO차세대 게이트웨이소프트스위치 - 사업자급 - 10,000~100,000 회선 - 세련된 애플리케이션

<자료>: ETRI, 2001. ETRI 정보조사분석팀

(그림 2) 인터넷전화 게이트웨이 시장의 발전 추이

Page 36: 정보통신 기술 정책 및 산업 주간기술동향kidbs.itfind.or.kr/WZIN/jugidong/1055/1055.pdf · 2012. 6. 12. · tis-02-27 2002. 7. 18. 10510555 등록일: 1985년 11월

● IT 전략 품목

- 35 -

23.3%의 복합연평균 성장률을 기록하면서 33억 1,1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측된다

! 서비스 제공자용 단독형 VoIP 게이트웨이 시장

IDC는 2002년도 서비스 제공자용 단독형 VoIP 게이트웨이 시장이 전년대비 16% 증가한

1억 7,800만 달러 규모가 되고, 2006년까지 16%의 복합연평균 성장률로 3억 2,900만 달러

규모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표 5>[6]. 이렇게 성장률이 다소 저조한 이유로는 톨 바이패

스(toll bypass) 시장과 서비스 제공자용 시장으로의 전환이 더디고, RAS-기반 게이트웨이와의

경쟁이 심화되기 때문으로 파악되고 있다. 지역별로는 2002년 북미지역이 7,500만 달러로 전

세계 시장의 41%, 유럽지역이 5,700만 달러로 31%, 아/태지역이 3,900만 달러로 21%, 그리

고 나머지 지역이 1,300만 달러로 7%를 점유하고 있으며, 이러한 양상은 2006년까지 지속될

전망이다(그림 3).

주요 서비스 제공자용 단독형 VoIP 게이트웨이로는 Arelnet의 i-Tone Prime, Cirilium의

Media Gateway 6000과 6200, Clarent의 Gateway 400과 1200, Ericsson의 IPT Gateway,

<표 5> 전세계 서비스 제공자용 단독형 VoIP 게이트웨이 매출 전망(2001~2006년)

구분\연도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CAGR

(’01~’06)

매출액(백만 달러) 153 178 214 252 291 329 16.0

성장률(%) - 16.0 20.0 18.0 15.0 13.0 -

<자료>: IDC, 2002. 3. ETRI 정보조사분석팀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기타 아/태

유럽 북미

(단위: 백만 달러)

<자료>: IDC, 2002. 3. ETRI 정보조사분석팀

(그림 3) 전세계 지역별 서비스 제공자용 단독형 VoIP 게이트웨이 매출 전망(2001~2006년)

Page 37: 정보통신 기술 정책 및 산업 주간기술동향kidbs.itfind.or.kr/WZIN/jugidong/1055/1055.pdf · 2012. 6. 12. · tis-02-27 2002. 7. 18. 10510555 등록일: 1985년 11월

주간기술동향 통권 1055호 2002. 7. 18. ●

- 36 -

Mockingbird 의 Nuvo 200 과 NuvoStream, Nuera 의 ORCA GX-21 과 GX-8, 그리고

VocalTel의 VGW 2000 등이 있으며, 2001년도 시장점유율에서는 Clarent가 26.0%로 수위

를 차지한 가운데, VocalTec 18.6%, Nuera 17.6%, Ericsson 15.0% 등이 그 뒤를 잇고 있다.

! RAS-기반 VoIP 게이트웨이 시장

매출 증가와 성공적인 어플리케이션 개발, 그리고 경쟁력을 확보하여 패킷 통합 솔루션과

VoX 에 대해 지속적으로 가장 중요한 부문 중 하나가 될 RAS-기반 VoIP 게이트웨이 시장은

2002년에 전년대비 45% 증가한 12억 1,000만 달러 규모가 되고, 2005년에는 46.4%의 복합

연평균 성장률로 38억 3,500만 달러 규모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표 6>[7].

지역별로는 2002년 북미지역이 8억 6,600만 달러로 전세계 시장의 71.6%, 유럽/중동/아

프리카지역이 2억 1,000만 달러로 17.4%, 아/태지역이 1억 300만 달러로 8.5%, 그리고 나머

지 지역이 3,100 만 달러로 2.6%를 점유하고 있으며, 2006 년까지 북미지역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의 시장이 서서히 성장하면서 북미지역의 점유율을 잠식해 갈 것으로 예측된다(그림 4).

<표 6> 전세계 RAS-기반 VoIP 게이트웨이 매출 전망(2000~2005년)

구분\연도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CAGR

(’01~’05)

매출액(백만 달러) 580 835 1,210 1,820 2,700 3,835 46.4%

성장률(%) - 44.0 44.9 50.4 48.4 42.0 -

<자료>: IDC, 2001. 5. ETRI 정보조사분석팀

<자료>: IDC, 2001. 5. ETRI 정보조사분석팀

(그림 4) 전세계 지역별 RAS-기반 VoIP 게이트웨이 매출 전망(2000~2005년)

0

1,000

2,000

3,000

4,000

5,00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북미

유럽/중동/아프리카

아/태

기타

(단위: 백만 달러)

Page 38: 정보통신 기술 정책 및 산업 주간기술동향kidbs.itfind.or.kr/WZIN/jugidong/1055/1055.pdf · 2012. 6. 12. · tis-02-27 2002. 7. 18. 10510555 등록일: 1985년 11월

● IT 전략 품목

- 37 -

! 소프트스위치 시장

앞으로 수년간 차세대 망에서 소프트스위치의 중요성은 계속 높아져 갈 것으로 보인다. 차세

대 망에서는 회선교환의 기능적인 구성요소를 개별적인 기기로 세분화하고 있으며, 소프트스위

치는 여기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 2002년도 전세계 소프트스위치 시장은 3억 7,600

만 달러 규모에 이르고, 2006년에는 98%의 높은 복합연평균 성장률을 기록하면서 34억 달러

규모에 이를 전망이다(그림 5)[8].

ABI(Allied Business Intelligence Inc.)는 소프트스위치 시장이 2006년에 119%의 복합연

평균 성장률을 기록하면서 약 41억 달러 규모가 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고[9], IDC도 2005년

에 44억 3,000만 달러 규모가 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어 Yankee Group보다는 좀더 낙관적으

로 시장을 예측하고 있다[10].

2) 국내 시장

국내 VoIP 장비 시장은 2001년 기업용과 CO 장비를 합쳐 약 6,274만 달러 규모를 형성하

였고, 2005년에 약 48%의 복합연평균 성장률로 약 3억 3,550만 달러 규모가 될 전망이다<표

7>. 기업용 장비 시장에서는 스위치-기반 게이트웨이가 가장 큰 점유율을 차지하고 그 뒤를 서

버-기반 게이트웨이, 라우터-기반 게이트웨이 및 IP-PBX의 순으로 매출을 올릴 전망이며, CO

장비에서는 단독형 게이트웨이가 지속적인 강세를 보이는 가운데 소프트스위치, 미디어 액세스

게이트웨이 및 SS7 IP 게이트웨이의 성장이 점차 두드러질 것으로 전망된다.

56228

376650

1,125

1,958

3,367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단위: 백만 달러)

<자료>: Yankee Group, 2001. 12. ETRI 정보조사분석팀

(그림 5) 전세계 소프트스위치 시장 규모 전망(2000~2006년)

Page 39: 정보통신 기술 정책 및 산업 주간기술동향kidbs.itfind.or.kr/WZIN/jugidong/1055/1055.pdf · 2012. 6. 12. · tis-02-27 2002. 7. 18. 10510555 등록일: 1985년 11월

주간기술동향 통권 1055호 2002. 7. 18. ●

- 38 -

한편, 국내 VoIP 관련 장비산업에는 몇 가지 문제가 있는데, 첫째, 현재 게이트웨이와 게이

트키퍼의 외제 장비 의존율이 높아 국내에서 개발한 관련 소프트웨어나 장비를 이들과 연동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점은 국내 통신사업자들의 국산장비 선택에 저해요소로 작용하고 있

다. 둘째, 대부분의 국내 장비업체가 핵심부품은 외국에서 수입하고 일부 S/W나 외장만을 국산

으로 사용하고 있는데, VoIP 산업계에서 세계적인 인지도를 얻기 위해서는 보다 적극적으로 핵

심기술을 개발하고 표준화 선도 작업에 주력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단말기 업체의 경우 핵

심 칩의 국산화에는 어느 정도 성공하였지만, 여전히 수십 만원 대의 고가이므로 국내시장을 파

고드는 저렴한 대만제를 견제하기 위해 가격경쟁력과 기술력 확보가 시급한 실정이다[11]. 한편,

작년부터 인터넷전화의 음성품질에 문제를 들어내었던 대만제 장비가 경쟁력을 상실하면서 국

내 장비업체의 시장 점유율이 점차 커지고 있는 점은 다행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표 8>에는 국내의 주요 VoIP 장비업체를 정리하여 나타내었다[12].

<표 7> 국내 VoIP 장비 매출 현황 및 전망(2000~2005년) (단위: 백만 달러)

구분\연도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CAGR

(’00~’05)

기업용 장비 23.05 26.39 31.40 42.01 65.28 119.97 39%

IP-PBX 0.60 0.75 0.94 1.59 3.03 6.66 62%

라우터-기반 게이트웨이 6.07 6.98 8.24 10.54 14.44 24.56 32%

서버-기반 게이트웨이 6.40 7.68 9.60 12.96 20.74 37.32 42%

스위치-기반 게이트웨이 9.98 10.98 12.62 16.92 27.07 51.43 39%

CO 장비 24.27 36.35 44.36 68.18 114.87 215.52 55%

집중기 5.42 6.50 8.13 10.98 15.04 21.05 31%

미디어 액세스 게이트웨이 0.55 1.93 3.08 5.08 8.64 15.55 95%

라우터-기반 게이트웨이 4.00 4.40 5.06 6.33 8.10 10.52 21%

소프트스위치 2.41 3.00 3.30 4.79 8.61 18.09 43%

SS7 IP 게이트웨이 0.00 1.50 1.97 3.34 6.68 14.70 77%

단독형 게이트웨이 11.89 19.02 22.83 37.67 67.80 135.60 63%

합계 47.32 62.74 75.76 110.19 180.14 335.49 48%

성장률(%) - 33 21 45 63 86

<자료>: IDC, 2002. 2. ETRI 정보조사분석팀

Page 40: 정보통신 기술 정책 및 산업 주간기술동향kidbs.itfind.or.kr/WZIN/jugidong/1055/1055.pdf · 2012. 6. 12. · tis-02-27 2002. 7. 18. 10510555 등록일: 1985년 11월

● IT 전략 품목

- 39 -

4. 결론 및 시사점

음성, 영상 및 데이터 등에 대한 이용자의 다양한 요구 증대와 인터넷을 비롯한 패킷망 기술

의 빠른 발전은 하부구조망의 광대역화 및 효율적인 망 운영을 위한 통합으로의 진화를 가속시

키고 있다. 특히, IP 기반의 각종 통신 서비스와 물리적 하부구조의 통합화는 새로운 정보통신

패러다임으로의 변화에 가장 큰 촉매제가 되고 있다. 최근 해외 시장에서 뿐만 아니라 국내 시

장에서도 이미 이러한 통합망과 통합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아울러

이를 위한 각종 장비와 서비스 개발이 경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올해 전세계 인터넷전화 서비스 매출이 총 56억 3,600만 달러에 이르고, 인터넷전화 게이

트웨이 및 게이트키퍼 시장규모는 기업용과 서비스 제공자용을 합해 44억 2,200만 달러에 이

를 것으로 전망되는 시점에서, 국내외 유수 장비업체들은 서비스 제공업자를 포함한 기업 고객

과 일반 이용자의 요구에 부응하는 다양한 패킷 기반 장비를 개발하여 제공하고 있다. 또한 기

존 전화사업자도 음성 및 데이터 통합 서비스 시대에 발 빠르게 대응하는 전략을 취하고 있고,

몇몇 사업자들은 매우 공격적인 사업전략을 전개하여 기존 전화사업자에게 위기감마저 조성하

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현실은 고객들에게 매우 다양한 서비스를 저렴한 가격으로 이용할 수

있는 기회를 극대화 시키고 새로운 수요까지 창출 시키고 있다.

<표 8> 국내 주요 VoIP 장비업체(2002년 2월 현재)

업체명 주요 장비군 제품명 2001년 매출액

2002년 매출목표

목표시장

LG전자 IP폰, 게이트웨이, IP PBX장비 등 토탈솔루션

AX시리즈, 스타렉스시리즈 등

50억원 통신사업자

새롬기술 소형 게이트웨이 등 스타스테이션 시리즈 100억원 가정, 소호기업 시장

일레자인 IP폰, 소형 게이트웨이 ESP시리즈, ESC시리즈 13억원 100억원 별정통신사업자 시장

제너시스템즈 사업자용 대형 게이트웨이, 기업용 게이트웨이 등

X-MG, X-MGC, X-SG, X-GK 등

50억원 300억원 통신사업자, 별정통신사업자 시장

코스모브리지 대형 게이트웨이, 기업용 게이트웨이, 게이트키퍼 등 토탈솔루션

스프링, CTG시리즈, CMC3000, CTA3000 등

80억원 200억원 통신사업자, 별정통신사업자 시장

큰사람컴퓨터 게이트키퍼 중심 토탈솔루션

EGK-5000, EGW-4000 등

50억원 100억원 기업시장

트랜스넷 대형 게이트웨이, 게이트키퍼, 빌링시스템 등 토탈솔루션

트랜스키퍼2000, 트랜스웨이2000, 트랜스빌러2000 등

통신사업자, 별정통신사업자 시장

휴먼테크날리지 소형 게이트웨이 등 MPLAN시리즈, HCIS시리즈 등

10억원 100억원 기업, 별정통신사업자 시장

<자료>: IT Business, 2002. 2. ETRI 정보조사분석팀

Page 41: 정보통신 기술 정책 및 산업 주간기술동향kidbs.itfind.or.kr/WZIN/jugidong/1055/1055.pdf · 2012. 6. 12. · tis-02-27 2002. 7. 18. 10510555 등록일: 1985년 11월

주간기술동향 통권 1055호 2002. 7. 18. ●

- 40 -

그러나, 기존의 통신사업자들은 VoIP 서비스 자체가 자신들이 PSTN 방식을 이용한 전통적

인 전화사업과 직접적인 경쟁관계에 있는 사업이라는 점 때문에 전략수립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일부 통신사업자들은 자신들의 높은 수익을 희생하면서까지 VoIP 서비스를 전면에 내세우길 꺼

려하면서도 VoIP가 가지고 올 수 있는 시장의 판도변화 때문에 고민하고 있다. 이런 모순된 환

경 하에서 VoIP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시작하고 있는 통신사업자들은 저렴한 통화료와 여러 부

가서비스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새로운 시장의 확대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물론, 대부

분의 기업 고객들은 현재의 저렴한 국제전화 서비스나 장거리전화 서비스에만 높은 관심을 보이

고 있을 뿐, 다른 부가 서비스에는 관심이 그리 높지 않다. 여기에 기존의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

는 기업들은 낮은 가격 때문에 서비스를 선택하였지만, 앞으로는 서비스 요금은 물론 통화품질

과 고객 서비스 등을 통신사업자 선정의 주요한 요인으로 삼고 있어 통신사업자들은 낮은 요금

으로 높은 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해야만 한다는 부담을 갖게 될 전망이다. 이러한 상황은 국내에

도 비슷하게 전개될 것이므로 국내 통신사업자들이 서비스 전략수립에 참고할 필요가 있다.

한편, 국내 VoIP 장비업체들의 다각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국내 인터넷전화 시장이 이들의

기대만큼 빠르게 성장하고 있지는 않은데, 그것은 국내 PSTN망이 잘 구축되어 유선 통신료가

저렴하다는 점과 IP 망을 이용한 전화 서비스의 경우 장거리일수록 가격인하 효과를 볼 수 있으

나 국내에서는 국제전화를 제외한 장거리전화가 그렇게 많지 않다는 점 등이 시장 저해요인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초기의 인터넷전화 통화품질에 대한 이용자의 불신을 없애주는

것도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모든 VoX 관련 장비와 서비스를 개발 보급하는 것은 아직까지 국내 여건으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주요한 전략적 기술과 장비 그리고 서비스를 발굴하는데 역량을 집중하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한 때이다. 해외 업체들이 고객들의 요구를 항상 탐색하고 그러한 요구에 부응하는 장비를

개발하여 제공하거나, 미래에 이용자들이 원하거나 필요로 할 것으로 예측되는 서비스를 파악하

고 그러한 서비스가 가능한 장비를 개발하는 등의 전략적 행동을 취하고 있는 점은 국내업체들에

게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 최근 국내 장비업체들이 여타 VoIP 업체들과 제휴를 통해 게이트웨

이와 게이트키퍼, 관리시스템, 그리고 과금 시스템 등을 포함한 토탈 솔루션을 제공할 뿐만 아니

라 컨설팅, 구축 및 유지보수에 이르는 토탈 서비스를 제공하여 시장에서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참 고 문 헌>

[1] VoPN 기술/시장 보고서, ETRI, 2001. 12.

Page 42: 정보통신 기술 정책 및 산업 주간기술동향kidbs.itfind.or.kr/WZIN/jugidong/1055/1055.pdf · 2012. 6. 12. · tis-02-27 2002. 7. 18. 10510555 등록일: 1985년 11월

● IT 전략 품목

- 41 -

[2] IP Telephony Market Forecast and Analysis, 2002-2007, IDC Document # 26354, 2002. 1.

[3] Asia/Pacific VoIP Market Forecast and Analysis, 2000-2005, IDC Document # AP140100H, 2002. 2.

[4] 전자신문, 2002. 5. 3.

[5] Voice-over-IP(VoIP) Equipment for Service Providers and Enterprises, Allied Business

Intelligence Inc., 2001.

[6] Worldwide Standalone VOIP Gateways Forecast and Analysis, 2002-2006, IDC Document#:

26780, 2002. 3.

[7] RAS-Based VOIP Gateway Market Forecast and Analysis, 2001-2005, IDC Document#: 24642,

2001. 5.

[8] Mindy Hiebert, “2001 Softswitching Market Analysis,” Yankee Group, Carrier Convergence

Infrastructure Report Vol. 2, No. 17, 2001. 12.

[9] Telecom Softswitches, Allied Business Intelligence Inc., 2001.

[10] IP Telephony Equipment: Cumulative Market Forecast and Analysis, 2001-2005, IDC Document#:

25433R, 2001. 8.

[11] 신지나, “국내의 VoIP 시장동향과 사업전망,” 통신시장. 통권 제 38호, 2001. 9-10.

[12] 국내 VoIP 장비시장 전망, IT Business, 2002. 2.

Page 43: 정보통신 기술 정책 및 산업 주간기술동향kidbs.itfind.or.kr/WZIN/jugidong/1055/1055.pdf · 2012. 6. 12. · tis-02-27 2002. 7. 18. 10510555 등록일: 1985년 11월

주간기술동향 통권 1055호 2002. 7. 18. ●

- 42 -

정보보호산업 시장동향 및 전망

인터넷은 공개된 네트워크이므로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하지만 정보통신 시스템의 보호

취약점이 심각하게 노출되기 시작하면서 보호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정보기술활용의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어 개인정보뿐 아니라 기업경영 또는 기술정보의 유

출로 인한 피해가 발생하거나 컴퓨터 바이러스의 유포를 통한 막대한 사회, 경제적 불안정을 유

발시키는 등 그 부작용이 심각하게 발생하여 정보보호에 대한 필요성이 절실한 실정이다. 국내

정보보호 산업은 1990 년대 초반 이후부터 정보시스템의 이용확대와 증가되고 있는 전산망 해

킹사고로 인한 침입차단시스템과 바이러스방지 소프트웨어 등이 부각되면서 본격적인 산업으로

성장하고 있다. 게다가 정보보호산업은 정보산업의 전반적인 발전뿐만 아니라 국가전략차원에서

도 가장 중요한 요소의 하나로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고에서는 정보보호산업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과 현황을 고찰하고 앞으로의 정보보호산업에 대한 전망을 해본다.

1. 정보보호산업의 개요

정보보호(information security)라 함은 “정보의 수집ㆍ가공ㆍ저장ㆍ검색ㆍ송신ㆍ수신 중에

정보의 훼손ㆍ변조ㆍ유출 등을 방지하기 위한 관리적ㆍ기술적 수단”이라 정의하고 있다. 정보보

호산업은 정보보호를 위한 H/W 및 S/W 제품이나 서비스를 개발, 생산, 구축하고 이를 이용한

정보보호정책의 마련 및 사후관리활동을 포함하는 경제활동 영역으로 정의하고 있다.

정보보호산업은 정보보호의 대상이 되는 정보통신시스템의 보급이 확대되고 이들 시스템의

안전ㆍ신뢰성에 대한 요구 또한 증대하게 되어 정보화가 진전됨에 따라 동반하여 성장하고 있고

암호, 인증 등의 원천기술 뿐만 아니라 유무선 네트워크기술, 인터넷기술, 단말기술, 반도체기술,

고속연산기술 등 첨단 정보통신기술이 복합적으로 요구되는 산업이다. 또한 외국의 제품 및 기

술에 의존할 경우 국내 공공기관 및 기업의 기밀이 유출될 우려가 크고 정보보호 핵심분야인 암

호기술 및 제품의 수출에 대한 규제가 존재하고, 관련 법ㆍ제도나 기준 등 정책결정에 따른 영

향을 상대적으로 크게 받는 산업이다.

ITITITIT 산업전략산업전략산업전략산업전략 이슈이슈이슈이슈

* 본 컬럼은 정보화기술연구소 각 연구부서에서 작성한 내용입니다. 본 내용과 관련된 사항은 인터넷경제연구팀 박성욱

(☎ 042-860-1752, email: [email protected])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Page 44: 정보통신 기술 정책 및 산업 주간기술동향kidbs.itfind.or.kr/WZIN/jugidong/1055/1055.pdf · 2012. 6. 12. · tis-02-27 2002. 7. 18. 10510555 등록일: 1985년 11월

● IT산업전략 이슈

- 43 -

2. 정보보호산업 현황

가. 정보보호산업의 발전과정

정보보호산업은 크게 4가지 발전과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 1970년대 이전을 산업태

동기라 분류하는데 1970년대 중반까지는 전화, 텔렉스 등에 의해 전송되는 국가 주요기관의 통

신내용을 보호하기 위한 통신보안장비 위주로 발전되어 왔고 1970 년대 후반에는 미국 국립표

준국(NBS)이 데이터암호표준(DES)을 국가표준으로 채택함에 따라 DES 방식의 상업용 제품이

개발ㆍ보급되기 시작한다. 둘째, 1980년대부터1990년대 초반까지를 산업형성기라 하는데 컴

퓨터와 통신의 융합과 함께 정보보호 부문의 산업화가 추진되고 H/W, S/W 등 다양한 정보보호

제품을 다루는 400여 업체가 등장하고 정보보호가 필수적인 금융기관 등이 DES방식의 데이터

암호화제품 및 사용자 인증 제품을 주로 사용하던 시기이다. 또한 평균 18 개월을 주기로 S/W

신제품을 개발하는 등 활발한 기업활동이 전개되지만 전반적으로 수요부족 및 표준화체계의 미

흡으로 성장은 부진한 시기이다. 셋째, 1990년대 중반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를 산업성장기라

한다. 1990년대 중반 이후 인터넷의 보급ㆍ확산과 정보통신시스템의 이용확산에 따라 전산망의

해킹사고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대기 시작하여 정보통신시스템에 대한 접근통제를 위해 침입차

단시스템 및 물리적 보안장비, PC용 바이러스백신 등의 시장이 활성화되기 시작하고 인터넷과

결합된 전자상거래가 본격화되면서 국가 또는 기업단위와 함께 개인을 포함한 정보보호의 대상

범위가 확대되고 산업에 대한 관심도 증대된다. 또한 1990년대 후반에 벤처창업 붐과 생체인식,

스마트카드 등과 같은 융합기술의 등장으로 국내 정보보호업체도 급격히 증가되어 본격적으로

성장하기 시작한다. 넷째, 2000년대 이후를 산업안정기라 한다. 이때에는 통합시큐리티 인프라

완비로 정보보호기반이 확보되고 액티브 네트워크, 인공지능 인증 등 정보보호기술이 고도화되

며 원리상 해독이 불가능한 양자 암호가 실용화되는 시기이다.

나. 세계 정보보호산업 동향

세계 정보보호 시장은 2001년 168억 달러를 넘어선 것으로 파악되며, 연평균 성장률(CAGR)

은 28.8%로 성장하여 2007년 766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표 1> 참조).

Check Point, Symantec, Network Associates 등 기존의 전문 보안업체들이 시장선도자 역

할을 강화하고 있는 한편, HP, IBM 등의 시스템업체, MS, Sun 등의 소프트웨어 업체, GTE,

AT&T 등의 통신사업자, Lucent, Cysco, 3Com 등의 네트워크 업체들도 정보보호시장에 본격

적으로 진입하고 있는 실정이다. 향후 이들 업체들간의 시장주도권 경쟁 및 전략적 제휴관계 설

Page 45: 정보통신 기술 정책 및 산업 주간기술동향kidbs.itfind.or.kr/WZIN/jugidong/1055/1055.pdf · 2012. 6. 12. · tis-02-27 2002. 7. 18. 10510555 등록일: 1985년 11월

주간기술동향 통권 1055호 2002. 7. 18. ●

- 44 -

정이 주목되고 있다. 바이러스 백신, 방화벽 등에 의한 1차적 정보보호제품의 시장은 이미 성숙

단계에 들어섰으며, VPN, PKI, 컨텐츠보안 등의 시장이 크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

들 제품은 2007년까지 각각 53.8%, 42.7%, 59.7%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다. 국내 정보보호산업 현황

국내 정보보호시장은 2001년 3,755억 원 규모에 이른 것으로 파악되며 CAGR은 36.2%로

성장하여, 2007년에는 2조 4,000억 원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또한 세계 정보보

호 시장에서 차지하는 국내 정보보호 시장의 비율은 2001년에는 1.4%에서 2007에는 1.7%로

CAGR은 4.0%로 전망된다(<표 2> 참조).

라. 정보보호산업 매출, 수출, 수입현황

2001 년도 정보보호산업 매출은 약 3,160억 원 정도로 추정되며 2000년도 기준 약 86%

정도의 성장을 지속하여 2002년도에는 규모가 4,370억 원 정도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수출규모는 연평균 200% 정도의 고속 성장을 지속할 것으로 보이며 2001 년 수출규모는 200

<표 1> 세계 정보보호시장 전망 (단위: 백만 달러)

분 류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CAGR

바이러스백신 1,779 2,148 2,573 3,062 3,606 4,245 4,997 18.8%

암호 255 305 362 436 525 632 760 19.6%

인증 790 950 1,235 1,564 1,935 2,360 2,878 24.0%

침입차단시스템 1,500 2,017 2,651 3,390 4,198 5,195 6,428 27.4%

IDS 303 388 489 601 733 892 1,085 23.7%

VPN 654 1,082 1,732 2,658 3,949 5,850 8,666 53.8%

컨텐츠 보안 249 456 742 1,130 1,551 2,530 4,126 59.7%

PKI 678 1,037 1,467 1,994 2,637 3,885 5,723 42.7%

보안관리도구 1,745 2,050 2,520 3,010 3,615 4,248 4,991 21.9%

생체인식 580 748 1,014 1,372 1,857 2,745 3,568 35.4%

제품

소 계 8,533 11,181 14,785 19,217 24,606 32,582 43,222 30.8%

인증서비스 1,812 2,290 2,860 3,750 4,578 5,711 7,124 25.6%

보안관제 1,526 1,902 2,382 2,970 3,722 4,640 5,784 24.9%

정보보호컨설팅 2,401 2,960 3,627 4,621 5,785 7,010 8,494 23.4%

서비스

소 계 5,739 7,152 8,869 11,341 14,085 17,361 21,402 24.5%

기타 2,532 3,285 4,270 5,554 7,118 9,230 11,968 29.5%

합 계 16,804 21,618 27,924 36,112 45,809 59,173 76,592 28.8%

<자료>: ETRI 정보화기술연구소, 2001 정보보호산업실태조사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 2002.3.

Page 46: 정보통신 기술 정책 및 산업 주간기술동향kidbs.itfind.or.kr/WZIN/jugidong/1055/1055.pdf · 2012. 6. 12. · tis-02-27 2002. 7. 18. 10510555 등록일: 1985년 11월

● IT산업전략 이슈

- 45 -

억원 그리고 2002년도에는 380억 원 정도의 수출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표 3> 참조).

그러나 매출 대비 수출규모는 2001년도 7% 및 2002년도 예상 9% 정도로 매우 낮은 수출

비중을 보이고 있어 수출활성화를 위한 다각적인 정책 및 노력이 기대되고 있고 정보보호산업의

매출규모는 2001년도 기준으로 GDP의 0.06% 정도이며 전체 정보통신산업의 0.20%, 소프트

웨어 산업의 3.43%의 매우 미미한 수준을 보이고 있어 전략상 중요성 및 성장성 측면을 감안하

여 볼 때 획기적인 육성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표 2> 국내 정보보호시장 전망 (단위: 억 원, %)

분 류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CAGR

바이러스백신 297 372 509 620 635 711 796 17.9%

암호 112 134 158 190 228 260 296 17.6%

인증 345 412 520 655 839 1015 1,227 23.6%

침입차단시스템 585 700 810 1058 1,310 1,580 1,905 21.8%

IDS 386 546 705 810 1,050 1,260 1512 25.6%

VPN 285 365 575 921 1,228 1,450 1,712 34.9%

컨텐츠 보안 209 332 451 668 1,021 1,322 1,711 42.0%

PKI 382 490 840 1,205 1,721 2,350 3,208 42.6%

보안관리도구 129 170 235 345 522 730 1,020 41.2%

생체인식 800 1,200 2,200 3,300 4,700 6,500 8,500 41.2%

제품

소 계 3,530 4,721 7,003 9,772 13,254 17,178 21,887 35.5%

인증서비스 40 49 62 85 122 186 283 38.6%

보안관제 56 84 138 190 266 365 492 43.7%

정보보호컨설팅 95 142 250 335 523 690 910 45.8%

서비스

소 계 191 275 450 610 911 1,241 1,685 43.8%

기타 34 56 110 195 280 320 365 48.5%

합 계 3,755 5,052 7,563 10,577 14,445 18,739 23,937 36.2%

<자료>: ETRI 정보화기술연구소, 2001 정보보호산업실태조사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 2002.3.

<표 3> 매출, 수출, 수입 현황 및 전망 (단위: 백만 원, %)

구 분 2000 2001 2002 CAGR

매출(A) 170,524 316,226 436,801 60.05

수출(B) 4,412 20,661 38,213 194.33

수입 3,597 7,970 13,460 93.44

B/A×100 2.59 6.53 8.75

<자료>: ETRI 정보화기술연구소, 2001 정보보호산업실태조사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 2002.3

Page 47: 정보통신 기술 정책 및 산업 주간기술동향kidbs.itfind.or.kr/WZIN/jugidong/1055/1055.pdf · 2012. 6. 12. · tis-02-27 2002. 7. 18. 10510555 등록일: 1985년 11월

주간기술동향 통권 1055호 2002. 7. 18. ●

- 46 -

3. 결 론

정보보호산업은 주요 정보통신기반구조로서 안전 및 국가안보에 직결되는 속성상 다른 산업

과는 달리 국가가 직접 육성하는 것이 세계적 추세이다. 그리고 우리나라 대부분의 정보보호 업

체들은 영세한 상태에 있고 이를 소화할 수 있는 시장기반도 선진국처럼 육성되지 않은 열악한

환경에 있다. 또한 좋은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도 이에 대한 보다 적극적이고 성장 지향적

인 연구개발, 마케팅활동을 하는 데 어려운 토양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국가적인 환경

조성과 역량결집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문기업, 연구소, 학계 등은 물론 국가의

정보화를 선도하고 있는 정부가 전국가적인 차원에서 산업정책적 관점으로 검토하여 정보기술

산업의 성공열쇠라고 할 수 있는 정보보호산업을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

Page 48: 정보통신 기술 정책 및 산업 주간기술동향kidbs.itfind.or.kr/WZIN/jugidong/1055/1055.pdf · 2012. 6. 12. · tis-02-27 2002. 7. 18. 10510555 등록일: 1985년 11월

● 국별 IT산업 정보

- 47 -

싱가포르의 하드웨어 산업 동향

최근 몇 년간, 싱가포르의 하드웨어 산업은 가격 경쟁력을 강점으로 하는 저 부가가치 장비

생산 방식에서 탈피하려는 시도를 해왔다.

Gartner에 따르면, 싱가포르의 하드웨어 시장은 1999년에서 2004년까지 11.5%의 복합연

평균성장률(CAGR)을 보이며 26억 8,800만 달러의 규모를 달성하게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중 PC 및 서버 부문의 성장이 각각 13~15% 수준을 보이면서 하드웨어 시장의 성장을 견인

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1. PC

2002년 1/4분기에 데스크톱 PC와 모바일 PC 시장은 전년 동기와 비교할 때 각각 15%,

8%의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한 것으로 집계되고 있으며 2001 년 4/4분기에서는 데스크톱 PC

분야가 거의 유사한 기록을 보인 것과는 달리 모바일 PC 시장은 약 18%의 성장을 기록하였으

며, 이러한 모바일 PC의 성장은 같은 기간에 약 50%의 성장을 달성한 컴팩과 IBM에 의해 주

도되었다. 또한 PC 서버의 경우, 전년 동기대비 5%의 성장 및 2001 년 4/4 분기 대비 28%의

성장을 기록했다.

국별국별국별국별 IT IT IT IT 산업산업산업산업 정보정보정보정보

* 본 컬럼은 정보체계연구팀에서 작성한 내용입니다. 본 내용과 관련된 사항은 정보체계연구팀 이성휘(☎ 042-860-

1787, email: [email protected])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표 1> 싱가포르의 컴퓨터 하드웨어 시장 현황 및 전망 (단위: US $ M)

구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2004년 CAGR

’99 ~’04

PC 728 1,001 1,189 1,165 1,352 13.2%

서버 173 203 239 276 347 14.8%

워크스테이션 48 67 75 80 77 10.0%

주변기기 608 670 741 806 912 8.4%

합계 1,557 1,941 2,244 2,326 2,688 11.5%

<자료>: Gartner 자료 재구성, 2000. 9.

<표 2> 싱가포르의 PC 출하규모 현황 (단위: 대)

연 도 1Q02 2Q02 3Q02 4Q02 1Q03 2Q03

출하규모 64,112 62,038 66,248 65,695 69,060 67,902

<자료>: Gartner 자료재구성, 2002. 6.

Page 49: 정보통신 기술 정책 및 산업 주간기술동향kidbs.itfind.or.kr/WZIN/jugidong/1055/1055.pdf · 2012. 6. 12. · tis-02-27 2002. 7. 18. 10510555 등록일: 1985년 11월

주간기술동향 통권 1055호 2002. 7. 18. ●

- 48 -

2. 서버

서버 시장에서는 최근 정부와 금융 부문에서의 수요가 발생하기 시작하였으나, 시장 상황이

긍정적이지 않다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며 업체들은 하드웨어 구매 보다는 가능한 업그레이드

를 선호하는 등 매우 조심스러운 태도를 보이고 있다.

<표 3> 싱가포르의 CPU별 서버 출하대수와 시장규모 현황

구분 4Q00 1Q01 2Q01 3Q01 4Q01

Intel Architecture 5,466 4,436 3,654 3,482 3,610

RISC 1,314 1,089 1,013 821 899

기타 4 23 3 4 2

출하대수(대)

합계 6,784 5,527 4,670 4,307 4,511

Intel Architecture 15,457 17,072 10,175 10,329 10,482

RISC 33,010 28,989 23,363 31,879 32,430

기타 1,785 794 6,150 8,320 9,000

시장규모(US $K)

합계 50,251 46,856 39,688 50,528 51,912

<자료>: Gartner 자료 재구성, 2002. 3.

<표 4> 싱가포르 서버 시장의 가격별 출하대수와 시장규모 현황

구 분 1Q01 2Q01 3Q01 4Q01 시장점유율

(4Q01)

출하규모(대) 1,537 1,621 1,143 1,422 100% $0~4,999

시장규모(US$K) 2,974 3,027 2,105 2,734 100%

출하규모(대) 124 73 0 0 0% $5,000~ 9,999 시장규모(US$K) 665 324 0 0 0%

출하규모(대) 0 0 0 0 0% $10,000~24,999 시장규모(US$K) 0 0 0 0 0%

출하규모(대) 0 0 0 0 0%

Intel

$25,000~99,999 시장규모(US$K) 0 0 0 0 0%

출하규모(대) 487 423 223 279 25.3% $0~4,999

시장규모(US$K) 1,068 878 435 502 17.4%

출하규모(대) 157 23 86 146 30.4% $5,000~ 9,999 시장규모(US$K) 1,018 155 532 863 29.9%

출하규모(대) 114 112 60 48 10.0% $10,000~24,999 시장규모(US$K) 1,245 1,098 790 599 20.7%

출하규모(대) 3 5 2 5 1.0% $25,000~99,999 시장규모(US$K) 91 171 65 209 7.2%

출하규모(대) 3 1 4 3 0.6%

RICS

$100,000 이상 시장규모(US$K) 819 210 815 717 24.8%

<자료>: Gartner 자료 재구성, 2002. 3.

Page 50: 정보통신 기술 정책 및 산업 주간기술동향kidbs.itfind.or.kr/WZIN/jugidong/1055/1055.pdf · 2012. 6. 12. · tis-02-27 2002. 7. 18. 10510555 등록일: 1985년 11월

● 국별 IT산업 정보

- 49 -

이러한 영향으로, 2001년 4/4분기에 서버 시장은 전년동기대비 33% 하락한 4,511대의 출

하규모를 보이며, 5,190만 달러의 수익규모를 달성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수익 규모 면에서 보

면 3%의 성장을 기록한 것으로 집계되는데, 이는 IBM의 Z 시리즈 등 고가의 높은 성능의 제품

이 판매가 높았기 때문으로 풀이되며 IBM은 90% 가까운 성장률로 2,000억 달러의 수익과 함

께 39%의 시장점유율을 기록하며 시장을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UN은 26%로 시장점

유율 2 위를 기록하였으며 HP(16%)와 컴팩(13%)이 각각 850 만 달러, 680 만 달러의 수익을

달성하여 그 뒤를 이은 것으로 집계되었다.

3. 워크스테이션

워크스테이션 시장은 2001년에 들어서면서 지속적인 감소세를 보이다가 4/4분기에 반등하

였으나, 이를 시장의 회복으로 연결시키기에는 다소 무리가 따를 것으로 보인다. 이는 4/4분기

가 일반적으로 정부 및 교육기관, 은행 등 주요 수요층의 회계연도가 끝나는 시점이기 때문에

구매가 다른 시기 보다 비교적 활발하게 발생하는 시점이기 때문이다. 결국, 2000년의 4/4 분

기와 비교하여 본다면 약 1/3~1/2 수준으로 하락한 것을 알 수 있다. 2001년, 전체적으로 보면

싱가포르의 워크스테이션 시장은 7,907대의 출하규모를 보여 2000년에서 약 23% 하락하였고,

시장규모 면에서 볼 때는 36%의 감소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Gartner에 따르면, 싱가포르의 워크스테이션 시장에서는 HP가 34%의 시장점유율을 차지

하고 190만 달러의 수익을 기록하여 시장을 이끌었으며, 4/4분기에 기록한 인텔 기반 워크스테

이션의 성장 중에서 66%가 HP의 수익에서 비롯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SUN도 22%

의 시장점유율을 기록했으며 Dell이 17%를, SGI 16%, Compaq 10% 순으로 집계되었다.

<표 5> 싱가포르의 CPU별 워크스테이션 출하대수와 시장규모 현황

구분 4Q00 1Q01 2Q01 3Q01 4Q01

Intel 2,024 1,537 1,621 1,143 1,422

RISC 803 764 546 375 481 출하대수

(대) 합계 2,827 2,301 2,185 1,518 1,903

Intel 4,896 3,639 3,350 2,105 2,890

RISC 5,661 4,241 2,511 2,637 2,890 시장규모(US $K)

합계 10,557 7,880 5,862 4,742 5,624

<자료>: Gartner 자료 재구성, 2002. 2.

Page 51: 정보통신 기술 정책 및 산업 주간기술동향kidbs.itfind.or.kr/WZIN/jugidong/1055/1055.pdf · 2012. 6. 12. · tis-02-27 2002. 7. 18. 10510555 등록일: 1985년 11월

- 50 -

IIIIIIIIIIII TTTTTTTTTTTT 정정정정정정정정정정정정보보보보보보보보보보보보센센센센센센센센센센센센터터터터터터터터터터터터 발발발발발발발발발발발발간간간간간간간간간간간간 자자자자자자자자자자자자료료료료료료료료료료료료 안안안안안안안안안안안안내내내내내내내내내내내내

최고, 초일류의 정보원을 지향하고 있는 I T정보센터에서는 독자 여러분들이 최상의 정보로

믿고 활용할 수 있는 정보를 창출, 분석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창출된

정보의 원활한 유통과 확산 보급을 위해 유가지를 병행 발간하고 있습니다. 독자 여러분의 변함

없는 관심과 격려를 부탁드립니다.

1. 발간물 안내

2. 구독료

가. 정기간행물

간행물 명 권당가격 연 구독료 종합 구독료

주간기술동향(50회) 1,200 48,000

전자통신동향분석(6회) 3,000 14,400 60,000

나. 정보통신총서 및 기술/시장 보고서

간행물명 가 격 비 고

정 보 통 신 총 서 발간물 성격에 따라 별도 책정

50대 품목 기술/시장 보고서 각 권당 50,000 50권 1세트로 구성

3. 신청 및 문의

□ 자료내용 문의처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I T정보센터

전 화: 042-860-6586 팩스: 042-860-6737

□ 구독 문의처 : 산업자료센타(서울특별시 마포구 도화2동 173번지 삼창플라자 B/D 1209호)

전 화: 02-3275-2142~3 팩스: 02-3275-2144 http://www.kidc21.com

주주주주 간간간간 기기기기 술술술술 동동동동 향향향향 1981년 국내 최초로 정보통신분야의 전문정보를 제공하기 시작한 전문동향지. 정

보통신/방송분야의 기술/정책/시장 등의 최근 세계 동향을 조사ㆍ분석하여 수록

정보통신, 컴퓨터, 반도체 등 다양한 연구분야에 직접 참여하고 있는 연구원들이 최

신의 기술/정책/산업 동향을 심층 분석하여 수록한 전문 분석지

정보통신부가 전략적으로 중점 육성하여 연구개발을 추진코자 하는 50대 분야의

최신 기술 및 시장 동향을 심층 조사ㆍ분석한 보고서

특정 테마에 대한 조사분석서, 정책자료, 용어 및 기술해설서 등 I T정보센터에서

발간하는 각종 단행본류

전전전전 자자자자 통통통통 신신신신 동동동동 향향향향 분분분분 석석석석

50505050대품목대품목대품목대품목 기술시장기술시장기술시장기술시장 보고서보고서보고서보고서

정정정정 보보보보 통통통통 신신신신 총총총총 서서서서

Page 52: 정보통신 기술 정책 및 산업 주간기술동향kidbs.itfind.or.kr/WZIN/jugidong/1055/1055.pdf · 2012. 6. 12. · tis-02-27 2002. 7. 18. 10510555 등록일: 1985년 11월

주간기술동향 99-07 ●

- 51 -

4. 기술/시장 보고서

50대 품목 기술/시장 보고서 (2001년 말 발행) 가 격

광통신 (5개 품목)

고속가입자장치, 고속LAN, 광전송장치, 라우터, ATM

디지털방송 (4개 품목)

디지털음향재생기, 셋탑박스, 인터넷방송, 디지털TV

무선통신 (7개 품목)

텔레매틱스, GPS, 블루투스, 이동통신단말, BWLL, IMT-2000, ITS

소프트웨어 (9개 품목)

통합 메시징 시스템, GIS, ASP, CRM, 음성처리시스템, 3D애니메이션, 가상현실, ERP/SCM, 게임 소프트웨어

차세대인터넷 (8개 품목)

무선인터넷, 인터넷정보단말, VoPN, 홈네트워킹, VPN, 인터넷보안, 전자상거래, 전자지불시스템

컴퓨터기술 (6개 품목)

이동컴퓨팅단말, OS, DVD, 멀티미디어 서버, PC, SAN

기초기술 (3개 품목)

Bioelectronics, Bioinformatics, 생체측정시스템

부품기술 (8개 품목)

마이크로컴포넌트, 광통신부품, ASIC, 2차전지, 메모리, 무선통신반도체, 스마트카드, LCD

각 권 50,000원

5. 정보통신총서

서 명 쪽수 발행일자 가 격

세계 IT통계현황 및 산업전망 298 2001. 12. 30,000원

아시아지역 IT산업현황 및 진출전략 234 2001. 12. 30,000원

중국 IT 산업보고서 190 2001. 12. 30,000원

대만 IT 산업보고서 203 2001. 12.

인도 IT 산업보고서 80 2001. 12. 비매품

정보통신 유망시장 탐색 및 진출 전략 177 2000. 1. 20,000원

중국의 정보통신산업 보고서 200 2001. 1. 10,000원

알기쉬운 정보통신강좌 2, 3 212/179 1999/2001 각 권 10,000원

6. 기발간 간행물

서 명 쪽수 발행일자 가 격

기술시장 보고서

40대 품목 기술/시장 보고서 - 2001. 1. 각 권 50,000원

30대 품목 기술/시장 보고서 - 2000. 1. 각 권 50,000원

조사분석서

주요 통신기기업체의 해외시장 진출 실태 및 특성 164 1999. 2. 6,000원

정보화사회시리즈

인터넷 상거래의 물결 144 1998. 6. 5,000원

정보통신 빅뱅 176 1998. 10. 6,000원

* 1998년 이전 발간도서는 http://www.kidc21.com (산업자료센타 홈페이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Page 53: 정보통신 기술 정책 및 산업 주간기술동향kidbs.itfind.or.kr/WZIN/jugidong/1055/1055.pdf · 2012. 6. 12. · tis-02-27 2002. 7. 18. 10510555 등록일: 1985년 11월

EEEEEEEEEEEETTTTTTTTTTTTRRRRRRRRRRRRIIIIIIIIIIII JJJJJJJJJJJJoooooooooooouuuuuuuuuuuurrrrrrrrrrrrnnnnnnnnnnnnaaaaaaaaaaaallllllllllll 논논논논논논논논논논논논문문문문문문문문문문문문모모모모모모모모모모모모집집집집집집집집집집집집

한국전자통신연구원에서는 정보통신 분야 국내 유일의 SCI 등재 논문지인 ETRI

Journal에 게재할 학술논문을 모집합니다. ETRI Journal은 지난 1998년 SCI에 등재

됨으로써 우리나라 정보통신 분야의 학술활동이 세계적인 수준임을 알려 준 국제 논

문지입니다. ETRI Journal 은 명실상부한 국제 논문지로서의 위상을 견고히 하고자

1999 년 국내외 관련분야 종사자들에게 논문투고를 개방한 바 있으며, 또한 2002 년

부터는 신속한 게재를 위해 격월간으로 발행되오니 많은 투고 바랍니다.

1. 발행주기: 격월간 (연6회, 2월, 4월, 6월, 8월, 10월, 12월)

2. 제출 분야

- 반도체ㆍ원천기술 분야 - 네트워크기술 분야 - 무선방송기술 분야

- 이동통신기술 분야 - 컴퓨터ㆍS/W 기술 분야 - 정보화ㆍ정보보호기술 분야

3. 제출 자격: 자격 제한 없이 누구나 투고할 수 있음

4. 대상 논문

- 독창성 있는 전문의 논문(full paper)으로서 다른 곳에 제출하였거나 발표/게재되지

않은 영문 논문

5. 투고 요령

- 논문 작성은 Microsoft Word를 사용

- 작성매수: ETRI Journal 형식으로 편집 시 15페이지 이내

- 논문투고신청서, 저작권 양도서, 논문 1부 및 파일 제출(양식은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

- 홈페이지: http://etrij.etri.re.kr/

6. 기타:

심사료/게재료 등은 ETRI가 부담하며, 투고/게재 논문에 대해 필요 시 영문감수 제공

7. 제출 및 문의처

- (우) 305-350 대전시 유성구 가정동 161번지 정보조사분석팀 ETRI Journal 편집담당

- Tel: 042-860-6127 Fax: 042-860-6737 E-mail: [email protected]

Page 54: 정보통신 기술 정책 및 산업 주간기술동향kidbs.itfind.or.kr/WZIN/jugidong/1055/1055.pdf · 2012. 6. 12. · tis-02-27 2002. 7. 18. 10510555 등록일: 1985년 11월

통권 1055호 (TIS-02-27)

발 행 년 월 일 : 2002년 7월 18일 (주간)

발 행 소 :

편집인겸 발행인 : 오길록

등 록 번 호 : 대전 다 -1003

등 록 년 월 일 : 1985년 11월 4일

인 쇄 인 : 필마스타인쇄공사

(I T정보센터)

305-350 대전광역시 유성구 가정동 161

전화 : (042) 860-6586~8 팩스 : (042) 860-6737

□ 사 업 책 임 자 : 하원규 (I T정보센터장)

□ 과 제 책 임 자 : 이재환 (정보조사분석팀장)

□ 참 여 연 구 원 : 이윤철, 임영이, 조성선, 김정환, 문형돈, 박천교, 민승기

김용균 (정보조사분석팀원)

전영미, 김현주, 이은희, 전용미 (위촉)

□ EG위원

반도체ㆍ원천기술연구소 : 조원주, 정명애, 신동호, 정희범, 심규환, 정명영

네 트 워 크 연 구 소 : 정유현, 김광준, 김정윤

무 선 방 송 연 구 소 : 안충현, 최상성

이 동 통 신 연 구 소 : 박정현, 김윤희

컴퓨터소프트웨어연구소 : 김홍연, 이인호, 임충규, 김흥남

정 보 화 기 술 연 구 소 : 신성식, 유영상, 이상규, 한상영, 정하재, 이강찬, 김동호

정 보 보 호 연 구 본 부 : 류희수, 류걸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