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전기차 시장 코나·아이오닉·볼트 ev 가...

1
4 2018 11월 7일 수요일 제3492호 종 합 10월까지 누적 판매대수 ‘톱3’ 그랜저·K7 등 하이브리드도 인기 올해 국내에 1회 충전 주행 가능 거리 300km 내외의 전기자동차(EV) 모델이 등 장하면서 시장 전체 규모를 키우고 있다. 특히 국내 완성차의 올 10월까지 누적 판매량을 보면 현대자동차의 ‘코나EV’ 및 ‘아이오닉EV’, 한국지엠의 쉐보레 ‘볼트 EV’가 나란히 톱3에 올라 눈길을 끈다. 코나EV는 지난 5월 304대를 시작으로 6월 1076대, 7월 1317대, 8월 648대, 9월 1382대, 10월 2473대 등 총 7200대가 팔 려 국내 전기차 시장 선두를 달렸다. 이는 코나의 가솔린·디젤 모델까지 포함한 전 체 판매량(4만318대) 가운데 18%에 해당 하는 수치다. 뒤이어 아이오닉EV은 1월 1086대, 2월 949대, 3월 886대, 4월 485대, 5월 548 대, 6월 534대, 7월 252대, 8월 113대, 9 월 102대, 10월 183대 등 누적 5138대를 기록했다. 하이브리드(HEV) 모델까지 하 면 총 판매량은 7895대다. ‘그랜저IG’의 HEV 모델에 대한 인기도 뜨겁다. 올 1~10월까지 1만9584대로 지 난해 같은 기간보다 36.9% 증가했다. 이 에 따라 같은 기간 현대차의 전체 HEV 라 인업(아이오닉, 그랜저, 쏘나타)의 판매량 역시 2만5486대로 15.0% 상승했다. 국내 전기차 3위인 볼트EV는 올 들어 10월까지 4712대가 팔렸다. 지난해보다 물량 공급을 늘린 덕분에 전년동기(457 대) 대비 무려 931.1%나 급증했다. 이외에도 기아자동차의 ‘니로EV’는 출 시 후 지난 7월 90대, 8월 976대, 9월 1066대, 10월 796대 등 누적 판매량 2928대를 나타내며 국내 전기차 시장에 서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 여기에 올 1~10월까지 니로의 HEV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모델까지 합 치면 전년동기 대비 4.8% 오른 1만8511 대에 달한다. 기아차도 현대차와 마찬가지로 친환경 차 라인업 비중이 커졌다. 올 1~10월까지 니로를 비롯한 쏘울EV 1746대, K5 HEV 2475대, K7 HEV 5478대를 모두 더하면 2만8210대를 기록해 전년동기 대비 7.4% 늘었다. 한편 르노삼성차의 ‘SM3 Z.E.’의 경우 올해 누적 1192대가 판매됐다. 초소형 전 기차 ‘트위지’는 총 1283대로 전년동기 대 비 395.4% 확대됐다. 업계 관계자는 “이미 수입 전기차 중에 서도 BMW ‘i3’가 선전하고 있는데다 테슬 라 ‘모델X’, 닛산 ‘리프’, 재규어 ‘I-페이스’ 도 가세해 연말이나 내년 초부터 차례로 고객 인도를 시작하면서 본격적인 경쟁을 펼칠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근우 기자 lgw909@ 국내 전기차 시장 코나·아이오닉·볼트EV 가 견인 한화 “정석대로 R&D에 집중” 롯데 “印尼 유화단지에 투자” 국내 화학업계가 그동안 익숙하지 않은 불황에 대처하는 모습이 같은 듯 다르다. 지난 2년여 동안 초호황을 누리다 올해 들어 실적 부진에 시달리는 업계는 이구동성으로 힘들다는 신음소리를 내면 서도 ‘끝까지 견딤’, ‘정면돌파’ 등의 각오를 내비치 고 있다. 지난 10월 31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제10회 화학산업의 날’ 기념식에 참석한 주요 화 학사 CEO들은 업계 불황에 공감대를 형성했다. 기념식을 주최한 한국석유화학협회의 회장을 맡고 있는 허수영 롯데케미칼 부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최근 미·중 무역분쟁 심화와 각국 보호무역 주의 강화로 불확실성이 증대된다”며 “글로벌 경 기불황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최근 국제유가는 불 안정한 중동 정세로 인해 오름세가 꺾일 줄 모른다. 하지만 제품 가격은 오르는 유가 흐름을 따라가지 못해 자연스럽게 실적이 하향세를 그릴 수밖에 없 다는 전언이다. 실제로 화학산업의 기초원료로 사용되는 에틸 렌은 원료가격과 제품가격의 차이를 일컫는 ‘스프 레드’가 t(톤) 당 300달러 대로 떨어졌다. 김창범 한화케미칼 부회장은 ‘견디겠다’는 입장 을 전했다. 김 부회장은 “유가가 오르는데 제품 가 격이 약보합세를 보여 업계 전반 실적이 하향세”라 면서 “꾸준하게 땀 흘려 열심히 일하며 견뎌야 한 다”고 말했다. 한화 측은 R&D(연구개발) 확대로 불황을 이겨 내야 한다는 입장이다. 정석대로 가겠다는 뜻이다. 김 부회장은 “어려울 때 일수록 R&D에 집중해 뿌 리를 더 깊게 내리겠다”고 했다. 권혁웅 한화토탈 사장은 “연구소와 많은 얘기를 나누면서 기술기반의 산업을 어떻게 늘릴까 고민 하고 있다”고 전했다. 허 부회장도 R&D를 강조했다. 그는 “최첨단 기 술력의 입지를 공고히 해야 한다”며 “고기능성 및 고부가가치 제품 생산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고 강 조했다. 정부도 기술력 제고를 주문했다. 정승일 산업통 상자원부 차관은 “최근 유가 상승과 무역 분쟁 등 대외 환경 불확실성 속에서도 성과를 지속하기 위 해서는 기존 범용제품 위주에서 벗어나 고부가 소 재에 대한 최신 기술 확보 등 첨단화학 중심으로 전 환해야 한다”고 했다. 롯데케미칼은 공격적인 투자를 시사했다. 되레 현 상황이 정상적이라는 태도다. 김교현 롯데케미 칼 사장은 “지난해 영업이익률이 20% 이상이었는 데 그게 비정상적”이라면서 “최근 몇 년이 너무 좋 았는데, 이제 정상으로 돌아온 것”이라고 말했다. 오히려 롯데케미칼 측은 해외시장 개척 의지를 재확인했다. 허 부회장은 “인도네시아 대규모 유화 단지 건설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다”며 “아직 정확한 계획이 나온 것은 아니지만 신동빈 롯데그 룹 회장이 조만간 현장을 방문할 것”이라고 말했 다. 박정배 기자 pjb@ “견디거나, 투자하거나” 불황에 대처하는 화학업계의 자세 KIAT, 6일부터 한달간 기업 간담회 혁신성장을 이끌 주요 산업분야 기업들의 목소 리를 듣고 현장자문과 함께 지속적인 해결방안을 고민하는 자리가 마련된다. 한국산업기술진흥원(원장 김학도, 이하 KIAT) 은 6일부터 내달 4일까지 지역분야별로 기업간담 회를 개최한다고 5일 밝혔다. 간담회는 6일 ‘수소연료전지차 관 련기업 간담회’를 시작으로, 정부의 혁신성장 3대 전략투자 분야 및 8대 선도사업, 산업부 5대 신산업 등 혁 신성장 관련 산업분야를 중심으로 한 달간 전국 주요도시에서 총 8회 개최될 예정이다. KIAT는 ‘혁신성장 협의체’를 통해 이번 간담회에서 나온 의견들을 심 도 있게 검토하고, 지원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다. 김학도 원장은 “정부가 주도하는 혁신성장 정책의 실현에는 무엇보다 현장의 목소리가 중요하다”며 “중소중견기업의 목소리를 잘 듣고 이를 신속히 해결하는 시스템을 만들어 돕는 게 KIAT의 역할” 이라고 말했다. 송세준 기자 21ssj@ “혁신성장, 현장에서 기업과 함께” 파워큐브 이어 매니지온, 지오라인 등 출격 대기 국내 전기차 이동형 충전기 시장이 본격적인 경 쟁 초읽기에 들어갔다. 파워큐브가 이동형 충전기 시장에 가장 먼저 진 출했고 조만간 매니지온, 지오라인, 대영채비까지 이 분야에 가세할 예정이다. 파워큐브의 이동형 충전기 ‘EV-라인’은 이미 설치돼 있는 콘센트에 전자태그(RFID)를 부착하 기만 하면 전기차 충전이 가능하다. 특히 올해까지는 ‘신한카드 EV’를 통해 월 5만 원 한도 내에서 이용료 전액 무료 서비스를 제공 한다. 요금은 전기차 운전자가 RFID가 부착된 콘센트 에서 충전을 하면 EV라인센터에서 한전과 사용 량 및 계측 정보 등을 산정해 사용자에게 직접 부 과하는 방식으로 매겨진다. 건물 총 사용량에서 전기차 충전량을 제외하기 때문에 공동요금 상승 등에 대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매니지온은 과금(계량·정산) 기능이 탑재된 전 기차 이동형 충전기(최대 용량 3kW) ‘이볼트 (EVolt)’를 연내 출시할 계획이다. 이볼트의 경우 RFID는 물론 자체 개발한 로라 (LoRa) RS 장치로 충전 위치 인식을 강화한게 특 징이다. 인체공학적 디자인, 편리한 그래픽 사용 자환경(UI), 음성 안내 등을 제공 하며 온도센서 및 누전 보호회 로 내장으로 안전하게 충전 가 능하다. 지오라인도 빠르면 올해 말, 늦어도 내년 초에 이동형 충전· 결제 장치(최대 출력 3.3kW) ‘플 러그&페이’를 내놓을 계획이다. 본체 LCD 상태창을 통해 계량 확인용 IR 램프, 계량 및 오류 정 보를 표시해주고 전기도난 방지 회로, 누전방지 차단회로, 방수 방진 등 안전사양이 들어간게 특징이다. 이근우 기자 전기차 이동형 충전기시장, 경쟁 ‘초읽기’ (윗줄 왼쪽부터 시계방향으로) 파워큐브, 매니지온, 대영채비, 지오라인의 전기차 이동형 충전기 제품. 월드그린에너지포럼, 7일 개막 프랑수아 올랑드 프랑스 前대통령 기조연설 경상북도와 경주시, 에너지산업진흥원은 제6회 월드그린에너 지포럼 (World Green Energy Forum 2018)을 오는 7일부터 9일 까지 사흘간 경주 화백컨벤션센터(HICO)와 경주 힐튼호텔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올해 포럼에는 프랑수아 올랑드 전(前) 대통령이 기조연설을 한다. 그는 기조연설을 통해 우리나라 에너지전환정책에서 재생 에너지의 역할과 4차 산업혁명과 연계해 에너지신산업 육성 방 안 등을 제시할 예정이다. 주요 행사로는 태양광, 해상풍력, 연료전지 에너지저장시스템 (ESS), 스마티시티 및 스마트그리드 등 5개 분과에 대한 정책·기 술 세션 등이 있다. 분과 정책·기술 세션에서는 4차 산업혁명과 연계해 에너지 기술·융복합 및 정책 분야 최신 동향, 국내외 우 수 협력사례 공유를 통한 국제협력 활성화를 주제로 전문가 토론 등이 이어진다. 최덕환 기자 hwan0324@

Upload: others

Post on 15-Aug-2020

2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제3429호4 2018년 11월 7일 수요일 제3492호종 합

10월까지 누적 판매대수 ‘톱3’

그랜저·K7 등 하이브리드도 인기

올해 국내에 1회 충전 주행 가능 거리

300km 내외의 전기자동차(EV) 모델이 등

장하면서 시장 전체 규모를 키우고 있다.

특히 국내 완성차의 올 10월까지 누적

판매량을 보면 현대자동차의 ‘코나EV’ 및

‘아이오닉EV’, 한국지엠의 쉐보레 ‘볼트

EV’가 나란히 톱3에 올라 눈길을 끈다.

코나EV는 지난 5월 304대를 시작으로

6월 1076대, 7월 1317대, 8월 648대, 9월

1382대, 10월 2473대 등 총 7200대가 팔

려 국내 전기차 시장 선두를 달렸다. 이는

코나의 가솔린·디젤 모델까지 포함한 전

체 판매량(4만318대) 가운데 18%에 해당

하는 수치다.

뒤이어 아이오닉EV은 1월 1086대, 2월

949대, 3월 886대, 4월 485대, 5월 548

대, 6월 534대, 7월 252대, 8월 113대, 9

월 102대, 10월 183대 등 누적 5138대를

기록했다. 하이브리드(HEV) 모델까지 하

면 총 판매량은 7895대다.

‘그랜저IG’의 HEV 모델에 대한 인기도

뜨겁다. 올 1~10월까지 1만9584대로 지

난해 같은 기간보다 36.9% 증가했다. 이

에 따라 같은 기간 현대차의 전체 HEV 라

인업(아이오닉, 그랜저, 쏘나타)의 판매량

역시 2만5486대로 15.0% 상승했다.

국내 전기차 3위인 볼트EV는 올 들어

10월까지 4712대가 팔렸다. 지난해보다

물량 공급을 늘린 덕분에 전년동기(457

대) 대비 무려 931.1%나 급증했다.

이외에도 기아자동차의 ‘니로EV’는 출

시 후 지난 7월 90대, 8월 976대, 9월

1066대, 10월 796대 등 누적 판매량

2928대를 나타내며 국내 전기차 시장에

서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

여기에 올 1~10월까지 니로의 HEV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모델까지 합

치면 전년동기 대비 4.8% 오른 1만8511

대에 달한다.

기아차도 현대차와 마찬가지로 친환경

차 라인업 비중이 커졌다. 올 1~10월까지

니로를 비롯한 쏘울EV 1746대, K5 HEV

2475대, K7 HEV 5478대를 모두 더하면

2만8210대를 기록해 전년동기 대비 7.4%

늘었다.

한편 르노삼성차의 ‘SM3 Z.E.’의 경우

올해 누적 1192대가 판매됐다. 초소형 전

기차 ‘트위지’는 총 1283대로 전년동기 대

비 395.4% 확대됐다.

업계 관계자는 “이미 수입 전기차 중에

서도 BMW ‘i3’가 선전하고 있는데다 테슬

라 ‘모델X’, 닛산 ‘리프’, 재규어 ‘I-페이스’

도 가세해 연말이나 내년 초부터 차례로

고객 인도를 시작하면서 본격적인 경쟁을

펼칠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근우 기자 lgw909@

국내 전기차 시장 ‘코나·아이오닉·볼트EV’가 견인

한화 “정석대로 R&D에 집중”

롯데 “印尼 유화단지에 투자”

국내 화학업계가 그동안 익숙하지 않은 불황에

대처하는 모습이 같은 듯 다르다. 지난 2년여 동안

초호황을 누리다 올해 들어 실적 부진에 시달리는

업계는 이구동성으로 힘들다는 신음소리를 내면

서도 ‘끝까지 견딤’, ‘정면돌파’ 등의 각오를 내비치

고 있다.

지난 10월 31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제10회 화학산업의 날’ 기념식에 참석한 주요 화

학사 CEO들은 업계 불황에 공감대를 형성했다.

기념식을 주최한 한국석유화학협회의 회장을

맡고 있는 허수영 롯데케미칼 부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최근 미·중 무역분쟁 심화와 각국 보호무역

주의 강화로 불확실성이 증대된다”며 “글로벌 경

기불황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최근 국제유가는 불

안정한 중동 정세로 인해 오름세가 꺾일 줄 모른다.

하지만 제품 가격은 오르는 유가 흐름을 따라가지

못해 자연스럽게 실적이 하향세를 그릴 수밖에 없

다는 전언이다.

실제로 화학산업의 기초원료로 사용되는 에틸

렌은 원료가격과 제품가격의 차이를 일컫는 ‘스프

레드’가 t(톤) 당 300달러 대로 떨어졌다.

김창범 한화케미칼 부회장은 ‘견디겠다’는 입장

을 전했다. 김 부회장은 “유가가 오르는데 제품 가

격이 약보합세를 보여 업계 전반 실적이 하향세”라

면서 “꾸준하게 땀 흘려 열심히 일하며 견뎌야 한

다”고 말했다.

한화 측은 R&D(연구개발) 확대로 불황을 이겨

내야 한다는 입장이다. 정석대로 가겠다는 뜻이다.

김 부회장은 “어려울 때 일수록 R&D에 집중해 뿌

리를 더 깊게 내리겠다”고 했다.

권혁웅 한화토탈 사장은 “연구소와 많은 얘기를

나누면서 기술기반의 산업을 어떻게 늘릴까 고민

하고 있다”고 전했다.

허 부회장도 R&D를 강조했다. 그는 “최첨단 기

술력의 입지를 공고히 해야 한다”며 “고기능성 및

고부가가치 제품 생산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고 강

조했다.

정부도 기술력 제고를 주문했다. 정승일 산업통

상자원부 차관은 “최근 유가 상승과 무역 분쟁 등

대외 환경 불확실성 속에서도 성과를 지속하기 위

해서는 기존 범용제품 위주에서 벗어나 고부가 소

재에 대한 최신 기술 확보 등 첨단화학 중심으로 전

환해야 한다”고 했다.

롯데케미칼은 공격적인 투자를 시사했다. 되레

현 상황이 정상적이라는 태도다. 김교현 롯데케미

칼 사장은 “지난해 영업이익률이 20% 이상이었는

데 그게 비정상적”이라면서 “최근 몇 년이 너무 좋

았는데, 이제 정상으로 돌아온 것”이라고 말했다.

오히려 롯데케미칼 측은 해외시장 개척 의지를

재확인했다. 허 부회장은 “인도네시아 대규모 유화

단지 건설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다”며 “아직

정확한 계획이 나온 것은 아니지만 신동빈 롯데그

룹 회장이 조만간 현장을 방문할 것”이라고 말했

다.

박정배 기자 pjb@

“견디거나, 투자하거나”불황에 대처하는 화학업계의 자세

KIAT, 6일부터 한달간 기업 간담회

혁신성장을 이끌 주요 산업분야 기업들의 목소

리를 듣고 현장자문과 함께 지속적인 해결방안을

고민하는 자리가 마련된다.

한국산업기술진흥원(원장 김학도, 이하 KIAT)

은 6일부터 내달 4일까지 지역‧분야별로 기업간담

회를 개최한다고 5일 밝혔다.

간담회는 6일 ‘수소연료전지차 관

련기업 간담회’를 시작으로, 정부의

혁신성장 3대 전략투자 분야 및 8대

선도사업, 산업부 5대 신산업 등 혁

신성장 관련 산업분야를 중심으로

한 달간 전국 주요도시에서 총 8회

개최될 예정이다.

KIAT는 ‘혁신성장 협의체’를 통해

이번 간담회에서 나온 의견들을 심

도 있게 검토하고, 지원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다.

김학도 원장은 “정부가 주도하는 혁신성장 정책의

실현에는 무엇보다 현장의 목소리가 중요하다”며

“중소‧중견기업의 목소리를 잘 듣고 이를 신속히

해결하는 시스템을 만들어 돕는 게 KIAT의 역할”

이라고 말했다.

송세준 기자 21ssj@

“혁신성장, 현장에서 기업과 함께”

파워큐브 이어 매니지온, 지오라인 등 출격 대기

국내 전기차 이동형 충전기 시장이 본격적인 경

쟁 초읽기에 들어갔다.

파워큐브가 이동형 충전기 시장에 가장 먼저 진

출했고 조만간 매니지온, 지오라인, 대영채비까지

이 분야에 가세할 예정이다.

파워큐브의 이동형 충전기 ‘EV-라인’은 이미

설치돼 있는 콘센트에 전자태그(RFID)를 부착하

기만 하면 전기차 충전이 가능하다.

특히 올해까지는 ‘신한카드 EV’를 통해 월 5만

원 한도 내에서 이용료 전액 무료 서비스를 제공

한다.

요금은 전기차 운전자가 RFID가 부착된 콘센트

에서 충전을 하면 EV라인센터에서 한전과 사용

량 및 계측 정보 등을 산정해 사용자에게 직접 부

과하는 방식으로 매겨진다.

건물 총 사용량에서 전기차 충전량을 제외하기

때문에 공동요금 상승 등에 대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매니지온은 과금(계량·정산) 기능이 탑재된 전

기차 이동형 충전기(최대 용량 3kW) ‘이볼트

(EVolt)’를 연내 출시할 계획이다.

이볼트의 경우 RFID는 물론 자체 개발한 로라

(LoRa) RS 장치로 충전 위치 인식을 강화한게 특

징이다. 인체공학적 디자인, 편리한 그래픽 사용

자환경(UI), 음성 안내 등을 제공

하며 온도센서 및 누전 보호회

로 내장으로 안전하게 충전 가

능하다.

지오라인도 빠르면 올해 말,

늦어도 내년 초에 이동형 충전·

결제 장치(최대 출력 3.3kW) ‘플

러그&페이’를 내놓을 계획이다.

본체 LCD 상태창을 통해 계량

확인용 IR 램프, 계량 및 오류 정

보를 표시해주고 전기도난 방지

회로, 누전방지 차단회로, 방수

방진 등 안전사양이 들어간게

특징이다.

이근우 기자

전기차 이동형 충전기시장, 경쟁 ‘초읽기’

(윗줄 왼쪽부터 시계방향으로) 파워큐브, 매니지온, 대영채비, 지오라인의전기차 이동형 충전기 제품.

월드그린에너지포럼, 7일 개막

프랑수아 올랑드 프랑스 前대통령 기조연설

경상북도와 경주시, 에너지산업진흥원은 제6회 월드그린에너

지포럼 (World Green Energy Forum 2018)을 오는 7일부터 9일

까지 사흘간 경주 화백컨벤션센터(HICO)와 경주 힐튼호텔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올해 포럼에는 프랑수아 올랑드 전(前) 대통령이 기조연설을

한다. 그는 기조연설을 통해 우리나라 에너지전환정책에서 재생

에너지의 역할과 4차 산업혁명과 연계해 에너지신산업 육성 방

안 등을 제시할 예정이다.

주요 행사로는 태양광, 해상풍력, 연료전지 에너지저장시스템

(ESS), 스마티시티 및 스마트그리드 등 5개 분과에 대한 정책·기

술 세션 등이 있다. 분과 정책·기술 세션에서는 4차 산업혁명과

연계해 에너지 기술·융복합 및 정책 분야 최신 동향, 국내외 우

수 협력사례 공유를 통한 국제협력 활성화를 주제로 전문가 토론

등이 이어진다. 최덕환 기자 hwan0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