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191
━━━━━━━━━━━━━━━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 1. 대기오염물질현황 2. 휘발성 유기화합물질 (VOCs) 3. 악 취 4. 오염물질별 장래 대기오염도 예측

Upload: others

Post on 19-Jun-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

1. 대기오염물질현황

2. 휘발성 유기화합물질 (VOCs)

3. 악 취

4. 오염물질별 장래 대기오염도 예측

Page 2: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215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1. 대기오염물질현황

1.1 일반대기오염물질

1.1.1 기존자료 조사분석

1) 광양만권 자동측정소 현황

대기환경보전법 제3조(상시측정)에서는 대기오염도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환경부장관으로 하여금 측정망을 설치, 대기오염도를 상시 측정하도록 하고 있으며,

특별시장․광역시장․도지사는 관할구역 안의 대기오염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측

정망을 설치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현재 광양만권 지역에는 6개의 대기오염

자동측정소가 운영중이다. <표 4-1>은 광양만권의 대기오염 자동측정망 운영 현황,

<그림 4-1>은 대기질 측정 지점을 나타낸 것이다.

2) 환경기준 설정현황

환경정책기본법 제10조에서는 국민의 건강을 보호하고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정부는 환경기준을 설정토록 규정하고 있으며, 동법 시행령 제2조에 의한

대기환경기준 및 측정방법은 <표 4-2>와 같으며, <표 4-3>은 국가환경기준 체계

변경 및 강화내역을 나타낸 표이다. 환경기준은 국가 또는 일정지역 내에서 환경개

선 노력을 통하여 달성하려는 환경보전 목표로서의 의미를 가지는데, 대부분의 국

가에서는 자국의 정책목표를 제시하기 위하여 환경기준을 설정하고 있다. 환경기준

설정물질과 그 수준은 오염현황, 인체에 미치는 영향 등을 감안하여 정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세계보전기구(WHO)의 권장기준을 참고하여 설정한다. 우리나라에서는

Page 3: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216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1979년 2월 아황산가스(SO2)에 대한 환경기준을 최초로 설정한 이래 1983년 8월에

는 일산화탄소(CO), 이산화질소(NO2), 먼지, 오존(O3) 및 탄화수소(HC)에 대한 환경

기준을, 1991년 2월에는 납(Pb)에 대한 환경기준을 각각 추가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물질 중 SO2, CO 등 일부 오염물질이 환경기준을 달성함에 따라 1993년에는 대기

오염 저감대책을 보다 적극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이들 항목에 대한 환경기준을

강화하였고, 2001년 1월 1일부터는 SO2와 Pb 그리고 PM-10 기준을 강화하고 TSP

기준을 삭제하였다.

<표 4-1> 광양만권의 대기오염 자동측정소 운영현황

측정

소명용도 설치 위치

설치

년월

해발높이(m)

(채취구 높이)

TM좌표 측정소

code

번호

비고

가로 세로

광무동 상업여수시 광무동 42-2

(시민회관 4층 옥상)

‘79.10

(‘91.10)10(6) 262.78 148.09 336161

삼일동 준공업여수시 중흥동 600

(삼일동사무소 1층 옥상)‘96.1 10(12) 266.80 150.90 336163

‘96.8.20

(정상가동)

월래동 공업여수시 월내동 1392

(환경관리공단 1층 옥상)‘90.5 20(13) 266.90 160.21 336352

중 동 주거광양시 중동 1312-3

(광양소방서 3층 옥상)‘95.7 20(10) 268.30 161.31 336353

‘96.10.22

(정상가동)

태인동 상업광양시 태인동 1649

(태인동사무소 2층 옥상)‘91.11 14(17) 266.50 138.90 336121

장천동 상업순천시 장천동 53-1

(시청별관 3층 옥상‘94.12 10(12) 244.42 161.40 336131

‘96.10.22

(정상가동)

Page 4: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217

<그림 4-1> 광양만권 대기질 자동측정망 지점도

<표 4-2> 대기환경기준 및 측정방법

항 목대기환경기준

측정 방법구분 환경기준

SO2

(ppb)

연평균24시간1시간

2050150

자외선형광법(Pulse U.V. Fluorescence Method)

PM-10(㎍/㎥)

연평균24시간

70150

베타선흡수법(β-Ray Absorption Method)

NO2

(ppb)

연평균24시간1시간

5080150

화학발광법(Chemiluminescent Method)

O3

(ppb)8시간1시간

60100

자외선광도법(U.V.Photometric Method)

CO(ppm)

8시간1시간

925

비분산적외선분석법(Non-Dispersive Infrared Method)

Pb(㎍/㎥) 연평균 0.5 원자흡광도법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ry)주) - 1시간 평균치는 999천분위수(千分位數)의 값이 그 기준을 초과하여서는 아니되고, 8시간 및 24시간 평균치는 99백분위수의 값이 그 기준을 초과하여서는 아니된다. - 미세먼지는 입자의 크기가 10㎛ 이하인 먼지를 말한다.

Page 5: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218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표 4-3> 국내 대기환경기준의 변경 및 강화내역

항 목 1978 1983 1991 1993 2001

SO2

(ppm)

0.05/년

0.15/일

-

0.05/년

0.15/일

-

0.05/년

0.15/일

-

0.03/년

0.14/일

0.25/시간

0.02/년

0.05/일

0.15/시간

CO

(ppm)-

8/월

20/8시간

-

8/월

20/8시간

-

(삭제)

9/8시간

25/시간

-

9/8시간

25/시간

NO2

(ppm)-

0.05/년

-

0.15/시간

0.05/년

-

0.15/시간

0.05/년

0.08/일

0.15/시간

0.05/년

0.08/일

0.15/시간

먼지

(㎍/㎥)

TSP -150/년

300/일

150/년

300/일

150/년

300/일

(삭제)

PM-10 - - -80/년

150/일

70/년

150/일

O3

(ppm)-

0.02/년

-

0.1/시간

0.02/년

-

0.1/시간

(삭제)

0.06/8시간

0.1/시간

(삭제)

0.06/8시간

0.1/시간

Pb

(㎍/㎥)- - 1.5/3개월 1.5/3개월 0.5/년

HC

(ppm)-

3/년

10/시간

3/년

10/시간(삭제) -

3) 광양만권 연평균 대기오염도 변화추이

광양만권 지역의 대기질 변화추이를 파악하기 위해 최근 10년간(1991~2000년)

대기오염 자동측정망 자료를 정리하였다. 조사결과 1차 대기오염물질인 SO2는 감소

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었으며, CO, NO2 및 미세먼지 등은 뚜렷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2차 대기오염물질인 O3은 '93~‘94년에 약간 감소하였으나 전반적으

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SO2의 경우 ‘91년에 연간 환경기준인 0.02 ppm

을 나타냈으나 ‘92년 이후 환경기준을 만족하고 있었으며, NO2와 미세먼지(PM-10)

는 연간 환경기준내의 농도로 조사되었다.

Page 6: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219

<표 4-4> 광양만권의 10년간 대기질 변화 추이(1991-2000년)

구 분SO2

(ppb)

CO

(ppm)

NO2

(ppb)

O3

(ppb)

PM-10

(㎍/㎥)

1991 20 0.6 17 15 -

1992 14 0.7 15 24 -

1993 16 0.7 16 23 -

1994 18 0.6 18 22 -

1995 18 0.7 18 24 -

1996 14 0.8 18 25 -

1997 16 0.8 18 24 -

1998 15 0.8 18 27 -

1999 12 0.8 19 25 48

2000 11 0.7 17 27 49

0

10

20

30

40

50

6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SO2 (ppb) CO (0.1 ppm) NO2 (ppb) O3 (ppb) PM-10 (㎍/㎥)

<그림 4-2> 광양만권 10년간 대기질 현황

Page 7: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220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4) 광양만권 일반대기오염물질 농도 현황

광양만권의 일반 대기질 농도현황은 자동측정소 3년간(1999~2001년)의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각 항목별에 대한 변화 추이는 다음과 같다.

가) 아황산가스 (SO2)

(1) 연평균 농도

각 측정소별 연평균 농도는 여수시 삼일동과 월래동 지점에서 높게 나타났으

며, 광양시 중동과 순천시 장천동에서는 낮은 농도를 보이고 있었다. 여수시 삼일동

은 2000년 이후 농도가 약간 증가하고 있으며, 여수시 월래동은 계속 증가하는 것

으로 조사되었다.

<표 4-5> 광양만권 SO2 연평균 농도 (단위 : ppb)

구 분 1999 2000 2001

여수시 (광무동) 11 7 8

여수시 (삼일동) 15 13 14

여수시 (월래동) 10 12 13

광양시 (중 동) 9 6 4

광양시 (태인동) 12 15 6

순천시 (장천동) 6 6 4

0

2

4

6

8

10

12

14

16

18

20

SO

2 농

도(p

pb)

광무동 삼일동 월래동 중 동 태인동 장천동

1999 2000 2001

<그림 4-3> 광양만권 SO2 연평균 농도

Page 8: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221

(2) 계절별 농도

각 측정소별 계절별 농도를 2001년 기준으로 볼 때 여수시 삼일동과 월래동에

서 SO2 농도가 높게 나타났고, 광양시 중동과 순천시 장천동은 낮게 조사되었다.

광양시 태인동은 1999년 겨울과 2000년 봄, 여수시 월래동은 2001년 여름, 삼일동은

2001년 가을에 0.02 ppm 이상을 나타내고 있다. 계절별로는 대부분의 지역이 겨울

철과 봄철에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표 4-6> 광양만권 SO2 계절별 평균 농도 (단위 : ppb)

구 분

자동측정소 (ppb)

광무동 삼일동 월래동 중 동 태인동 장천동

1999

봄 10 17 13 9 9 7

여 름 6 10 8 9 9 4

가 을 12 14 9 7 11 6

겨 울 15 19 10 8 23 7

2000

봄 5 13 13 5 20 8

여 름 5 7 15 6 12 5

가 을 4 12 9 5 8 4

겨 울 11 10 9 5 6 5

2001

봄 6 12 14 4 7 4

여 름 5 12 21 4 6 4

가 을 10 23 9 3 3 3

겨 울 8 16 9 4 5 5

Page 9: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222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0

2

4

6

8

10

12

14

16

18

SO

2 농

도(p

pb)

광무동 삼일동 월래동 중동 태인동 장천동

1999 - 2001

봄 여름 가을 겨울

<그림 4-4> 광양만권 조사지점별 SO2 계절별 평균 농도

(3) 월별 농도

월별 SO2 농도는 대체로 동계인 12월부터 2월 사이에 높고, 하계인 6, 7, 8월에

낮게 나타났으나, 2001년에 여수시 삼일동과 월래동은 추계, 하계가 다른 계절에 비

해 높게 조사되었다. 1999년에는 여수시 삼일동에서 SO2 농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

으며, 2000년도에는 여수시 삼일동과 광양시 중동, 그리고 2001년도에는 여수시 삼

일동과 월래동에서 SO2 농도가 높은 수준을 보였다. 여수시 태인동은 SO2 농도가

계속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광양시 중동과 순천시 장천동은 상대적으로

다른 조사지점에 비해 SO2 농도가 상당히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4) 시간대별 농도

조사기간(2001. 07~2002. 05) 동안의 시간대별 자동측정망 자료인 <표 4-8>~

<표 4-9> 및 <그림 4-5>~<그림 4-7>을 살펴보면, SO2의 1시간 평균 및 8시간

평균 환경기준 초과회수는 일부 측정망에서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1시간 평균

환경기준 초과회수는 2001년에 28회, 2002년에 16회였으며, 8시간 평균 환경기준 초

과회수는 2001년에 5회, 2002년에 3회였다.

Page 10: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223

<표 4-7> 광양만권 SO2 월별 평균 농도 (단위 : ppb)

구 분 자동측정소

년 월 광무동 삼일동 월래동 중 동 태인동 장천동

1999

1 15 29 11 15 20 9

2 13 22 9 9 18 7

3 12 27 11 8 9 8

4 10 16 13 11 11 7

5 7 7 15 8 8 6

6 5 11 6 8 8 5

7 5 8 7 6 11 4

8 7 12 10 13 7 3

9 8 14 8 7 8 6

10 15 15 10 5 14 7

11 14 12 9 8 12 6

12 19 12 10 9 20 4

2000

1 15 24 9 9 21 6

2 11 20 11 6 28 12

3 8 17 13 6 21 10

4 4 15 13 3 20 8

5 4 8 14 5 19 6

6 5 4 18 6 13 4

7 5 9 15 8 12 4

8 4 9 13 5 10 7

9 3 13 11 3 9 3

10 5 12 8 6 8 4

11 - 10 8 5 8 5

12 14 11 11 6 7 5

2001

1 11 8 7 3 5 4

2 8 10 8 5 1 5

3 - 13 12 4 7 4

4 7 14 17 5 9 5

5 4 10 12 4 6 3

6 5 9 23 4 - 3

7 3 7 18 4 6 3

8 6 20 22 4 6 5

9 5 23 12 3 - 2

10 10 23 7 2 2 3

11 16 - 8 4 4 4

12 10 19 8 4 4 4

Page 11: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224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0

5

10

15

20

25

30

35

′991

2 3 4 5 6 7 8 9 10 1 1 1 2′001

2 3 4 5 6 7 8 9 10 11 12′011

2 3 4 5 6 7 8 9 10 11 12

SO

2 농

도(p

pb)

광 무 동 삼 일 동 월 래 동 중 동 태 인 동 장 천 동

<그림 4-5> 광양만권 SO2 월별 평균 농도

<표 4-8> 1시간 평균 SO2 환경기준치 초과 현황

년도 2001년 2002년

지점명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1월 2월 3월 4월 5월

A- 2(태인)

A- 3(중마)

A- 6(장천)

A- 9(삼일)

A-10(월내)

A-14(광무)

0

0

0

0

8

0

0

0

0

3

11

0

0

0

0

0

3

0

0

0

0

2

0

0

0

0

0

0

0

1

0

0

0

0

0

0

0

0

0

3

0

0

0

0

0

0

0

0

-

0

0

3

4

0

0

0

0

0

4

0

0

0

0

0

2

0초과회수/

초과율평균

(%)

8 /

0.13

14 /

0.23

3 /

0.03

2 /

0.03

1 /

0.03

0 /

0

3 /

0.07

0 /

0

7 /

0.1

4 /

0.07

2 /

0.03

최대농도

(ppm) 및

지점

0.204

A-10

0.397

A-10

0.270

A-10

0.200

A-9

0.156

A-14-

0.162

A-9-

0.236

A-10

0.218

A-10

0.176

A-10

최대 농도

초과일시

01.07.16

23:00

01.08.10

23:00

01.09.27

18:00

01.10.14

10:00

01.11.08

10:00-

02.01.13

17:00-

02.03.26

18:00

02.04.19

19:00

02.05.05

18:00

초과회수 28회 16회

Page 12: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225

S O 2 1시 간 평 균 초 과 현 황

0

2

4

6

8

10

12

태 인 동 중 마 동 장 천 동 삼 일 동 월 내 동 광 무 동

초과

회수

2001. 7 2001. 8 2001. 9 2001. 10 2001. 11 2001. 12

2002. 1 2002. 2 2002. 3 2002. 4 2002. 5

<그림 4-6> 1시간 평균SO2 환경기준치 초과현황

<표 4-9> 24시간 평균 SO2 환경기준치 초과 현황

년도 2001년 2002년

지점명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1월 2월 3월 4월 5월

A- 2(태인)

A- 3(중마)

A- 6(장천)

A- 9(삼일)

A-10(월내)

A-14(광무)

0

0

0

0

0

0

0

0

0

1

2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1

0

0

0

1

0

0

0

0

0

3

0

0

0

0

0

0

0

0

-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초과회수/

초과율평균(%)0/0 3/1.3 0/0 0/0 1/0.63 1/0.57 3/1.4 0/0 0/0 0/0 0/0

최대농도(ppm)

및 지점-

0.081

A-10- -

0.059

A-14

0.059

A-9

0.061

A-9- - - -

최대 농도

초과일시-

01.08.

01- -

01.11.

08

01.12.

12

02.01.

14- - - -

초과회수 5회 3회

Page 13: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226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S O 2 24시 간 평 균 초 과 현 황

0

1

2

3

4

태 인 동 중 마 동 장 천 동 삼 일 동 월 내 동 광 무 동

초과

회수

2001. 7 2001.8 2001.9 2001. 10 2001.11 2001.12

2002.1 2002.2 2002.3 2002.4 2002.5

<그림 4-7> 24시간 평균 SO2 환경기준치 초과 현황

나) 이산화질소 (NO2)

(1) 연평균 농도

광양만권 전체 측정소의 연평균 NO2 농도는 시간에 따라 점차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각 측정소별로 살펴보면, 연평균 농도는 조사지점에 따라 상당

히 다른 경향을 보이고 있는데, 여수시 삼일동과 순천시 장천동은 점차 감소하고

있었으며, 다른 지점들은 반대로 점차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표 4-10> 광양만권 NO2 연평균 농도 (단위 : ppb)

구 분 1999 2000 2001

여수시 (광무동) 17 13 22

여수시 (삼일동) 23 22 19

여수시 (월래동) 21 13 29

광양시 (중 동) 17 14 20

광양시 (태인동) 17 22 21

순천시 (장천동) 22 22 12

Page 14: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227

0

5

10

15

20

25

30

35

40

NO

2 농

도(p

pb)

광무동 삼일동 월래동 중 동 태인동 장천동

1999 2000 2001

<그림 4-8> 광양만권 NO2 연평균 농도

(2) 계절별 농도

계절별 NO2 평균 농도는 여름철에 가장 낮은 농도를 보였으며, 계절별로는 뚜

렷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1999년도에는 순천시 장천동에서, 2000년도에는 광양시

태인동 지점이, 2001년도에는 여수시 삼일동에서 NO2 농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3) 월별 농도

월별 NO2 평균 농도는 2001년 광양시 태인동을 제외하고는 여름철(6~8월)에

농도가 낮았으며, 12~3월 기간에 높게 나타났다. 광양시 태인동은 8~10월에 낮았

으며, 봄철인 3~4월에는 높게 나타나고 있다.

(4) 시간대별 농도

조사기간(2001. 07~2002. 05) 동안의 시간대별 자동측정망 자료인 <표 4-13

>~<표 4-14> 및 <그림 4-11>~<그림 4-12>을 살펴보면, NO2의 1시간 평균 초

과회수는 2001년에 25회, 2002년에 2회였으며, 8시간 평균치 초과회수는 2001년에 6

회를 보였다. 시간대별 농도 추이를 보면 2001년 11월에 1시간 평균치 초과가 21회,

24시간 평균치 초과가 5회로 초과회수가 집중되고 있었다. 아울러, 2001년 12월은 1

시간 평균치 초과가 4회, 24시간 평균치 초과는 1회로 나타났으며, 2002년 1월에는

1시간 평균치가 1회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age 15: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228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표 4-11> 광양만권 NO2 계절별 평균 농도 (단위 : ppb)

구 분자동측정소

광무동 삼일동 월래동 중 동 태인동 장천동

1999년

봄 11 25 23 16 22 24

여 름 15 15 17 17 11 18

가 을 23 24 19 18 15 24

겨 울 21 27 16 15 26 27

2000년

봄 13 28 11 14 31 37

여 름 9 18 10 13 19 14

가 을 7 19 15 13 14 14

겨 울 22 11 21 20 16 13

2001년

봄 19 14 33 19 16 9

여 름 20 12 - 15 38 11

가 을 - 41 28 28 15 15

겨 울 23 26 - 30 16 19

0

5

10

15

20

25

30

NO

2 농

도(p

pb)

광무동 삼일동 월래동 중동 태인동 장천동

1999 - 2001

봄 여름 가을 겨울

<그림 4-9> 광양만권 NO2 계절별 평균 농도

Page 16: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229

<표 4-12> 광양만권 NO2 월별 평균 농도 (단위 : ppb)

구 분 자동측정소

년 월 광무동 삼일동 월래동 중 동 태인동 장천동

1999년

1 - 29 29 - 19 23

2 16 26 26 14 17 17

3 15 25 29 13 22 37

4 10 31 21 16 26 23

5 9 19 20 19 19 11

6 15 21 22 22 13 20

7 13 12 15 12 11 16

8 16 13 14 16 10 17

9 17 19 16 16 13 20

10 25 24 20 24 13 24

11 27 28 22 15 19 29

12 24 29 17 20 24 31

2000년

1 18 29 15 13 26 28

2 22 24 16 12 28 23

3 14 30 13 16 33 34

4 13 27 10 12 30 42

5 12 26 9 13 30 34

6 12 24 9 15 23 21

7 8 16 11 12 21 11

8 7 13 10 13 13 10

9 6 20 - 10 - 11

10 7 18 16 6 12 16

11 - 19 13 22 16 16

12 25 - 15 22 14 15

2001년

1 16 13 14 14 15 13

2 26 9 35 24 19 12

3 19 10 38 17 16 10

4 - 16 28 22 - 10

5 19 15 - 19 - 8

6 12 16 - 18 38 13

7 24 11 - 15 37 10

8 24 9 - 13 - 11

9 - - 28 17 12 12

10 - - - - 12 16

11 - 41 - 38 21 17

12 34 37 - - 16 16

Page 17: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230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0

5

10

15

20

25

30

35

40

45

′991

2 3 4 5 6 7 8 9 10 11 12′001

2 3 4 5 6 7 8 9 10 11 12′0 11

2 3 4 5 6 7 8 9 10 11 12

NO

2 농

도(p

pb)

광 무 동 삼 일 동 월 래 동 중 동 태 인 동 장 천 동

<그림 4-10> 광양만권 NO2 월별 평균 농도

<표 4-13> 1시간 평균 NO2 환경기준치 초과 현황

년도 2001년 2002년

지점명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1월 2월 3월 4월 5월

A- 2(태인)

A- 3(중마)

A- 6(장천)

A- 9(삼일)

A-10(월내)

A-14(광무)

0

0

0

0

-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21

0

0

0

0

0

0

-

4

0

0

0

0

0

1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1

0

0

초과회수/

초과율평균(%)0/0 0/0 0/0 0/0

21/1.0

74/0.1

1/

0.0330/0 0/0 0/0 1/0

최대농도(ppm)

및 지점 - - - -

0.205

A-9

0.176

A-14

0.184

A-14- - -

0.191

A-9

최대농도

초과일시- - - -

01.

11.23

14:00

01.

12.20

20:00

02.

01.10

10:00

- - -

02.

05.21

11:00

초과회수 25회 2회

Page 18: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231

NO 2 1시 간 평 균 초 과 현 황

0

5

10

15

20

25

태 인 동 중 마 동 장 천 동 삼 일 동 월 내 동 광 무 동

초과

회수

2001. 7 2001.8 2001.9 2001. 10 2001.11 2001.12

2002.1 2002.2 2002.3 2002.4 2002.5

<그림 4-11> NO2 환경기준치 초과 현황(1시간 평균)

<표 4-14> 24시간 평균 NO2 환경기준치 초과 현황

년도 2001년 2002년

지점명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1월 2월 3월 4월 5월

A- 2(태인)

A- 3(중마)

A- 6(장천)

A- 9(삼일)

A-10(월내)

A-14(광무)

0

0

0

0

-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3

0

2

0

0

0

0

-

1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초과회수/

초과율평균(%)0/0 0/0 0/0 0/0 5/7.33 1/0.6 0/0 0/0 0/0 0/0 0/0

최대농도(ppm)

및 지점- - - -

0.115

A-9

0.081

A-14- - - - -

최대농도

초과일시- - - -

01.11.

19

01.12.

20- - - - -

초과회수 6회 0회

Page 19: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232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NO 2 24시 간 평 균 초 과 현 황

0

1

2

3

4

태 인 동 중 마 동 장 천 동 삼 일 동 월 내 동 광 무 동

초과

회수

2001. 7 2001.8 2001.9 2001. 10 2001.11 2001.12

2002.1 2002.2 2002.3 2002.4 2002.5

<그림 4-12> NO2 환경기준치 초과 현황(24시간 평균)

다) 일산화탄소 (CO)

(1) 연평균 농도

광양만권 연평균 CO 농도는 측정소에 관계 없이 계속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

다. 지역별로는 광양시 태인동이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2001년도 기준으

로 여수시 삼일동이 가장 높은 농도를 보이고 있었다.

<표 4-15> 광양만권 CO 연평균 농도 (단위 : ppm)

구분 1999 2000 2001

여수시 (광무동) 0.6 0.6 0.5

여수시 (삼일동) 0.7 0.6 0.6

여수시 (월래동) 0.6 0.5 0.5

광양시 (중 동) 0.6 0.6 0.5

광양시 (태인동) 1.1 1.0 0.5

순천시 (장천동) 0.7 0.7 0.4

Page 20: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233

0.0

0.2

0.4

0.6

0.8

1.0

1.2

1.4

CO

농도

(ppm

)

광무동 삼일동 월래동 중 동 태인동 장천동

1999 2000 2001

<그림 4-13> 광양만권 CO 연평균 농도

(2) 계절별 농도

계절별 CO 평균 농도는 광양시 태인동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

며, 순천시 장천동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겨울철이 높고 여름철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표 4-16> 광양만권 CO 계절별 농도 (단위 : ppm)

구 분자동측정소

광무동 삼일동 월래동 중 동 태인동 장천동

1999년

봄 0.7 1.0 0.7 0.4 0.7 0.7여 름 0.3 0.2 0.5 0.4 0.9 0.4가 을 0.6 0.7 0.5 0.9 0.9 0.7

겨 울 0.8 0.8 0.7 0.7 1.4 0.7

2000년

봄 0.5 0.5 0.5 0.6 0.8 0.6여 름 0.4 0.3 0.4 0.5 0.7 0.6가 을 0.6 0.8 0.5 0.6 1.0 0.9겨 울 0.8 1.1 0.8 0.7 0.7 0.7

2001년

봄 0.6 0.5 0.6 0.5 0.5 0.4여 름 0.3 0.4 0.4 0.4 0.4 0.3가 을 0.6 0.5 0.4 0.3 0.6 0.4겨 울 - 0.5 0.4 0.6 0.6 0.5

Page 21: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234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CO

농도

(ppm

)

광무동 삼일동 월래동 중동 태인동 장천동

1999 - 2001

봄 여름 가을 겨울

<그림 4-14> 광양만권 CO 계절별 평균 농도

(3) 월별 농도

월별 CO 평균 농도는 전체적으로 0.2~2.4ppm이고 12월부터 2월까지 농도가

다소 높고, 6~8월에 낮은 농도를 보였으며, 측정소 지점 중 여수 삼일동 지점이 다

소 높았으나 뚜렷한 경향은 보이지 않았다.

Page 22: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235

<표 4-17> 광양만권 CO 월별 평균 농도 (단위 : ppm)

구 분 자동측정소

년 월 광무동 삼일동 월래동 중 동 태인동 장천동

1999년

1 0.8 0.9 1.0 0.9 1.8 0.8

2 1.1 1.1 0.5 0.7 2.4 1.4

3 0.9 1.2 0.7 0.5 0.8 1.2

4 0.5 0.6 0.6 0.5 0.6 0.3

5 0.7 1.1 0.7 0.3 0.7 0.7

6 0.3 0.3 0.3 0.5 0.4 0.5

7 0.2 0.2 0.7 0.4 1.1 0.4

8 0.3 0.2 0.5 0.4 1.1 0.4

9 0.3 0.4 0.5 0.5 1.2 0.5

10 0.6 0.6 0.5 1.1 1.3 0.6

11 0.9 1.0 0.5 1.1 1.0 0.9

12 0.9 0.8 0.5 0.8 1.2 0.9

2000년

1 1.0 0.8 0.7 0.6 1.3 0.4

2 0.6 0.7 0.8 0.7 1.7 0.4

3 0.6 0.8 0.5 0.7 0.7 0.5

4 0.6 0.4 0.5 0.5 0.7 0.7

5 0.4 0.3 0.4 0.5 0.9 0.5

6 0.3 0.3 0.4 0.5 0.8 0.5

7 0.4 0.3 0.5 0.5 0.8 0.6

8 0.6 0.2 0.3 0.5 0.6 0.6

9 0.3 0.5 0.4 0.5 0.5 0.7

10 0.8 0.8 0.4 0.6 1.0 0.7

11 0.7 1.0 0.6 0.8 1.6 1.4

12 1.1 1.3 0.8 0.9 0.7 1.0

2001년

1 0.8 0.9 0.8 0.6 0.6 0.6

2 0.6 1.1 0.9 0.6 0.8 0.5

3 0.7 0.5 0.7 0.5 0.6 0.5

4 0.5 0.5 0.6 0.6 0.5 0.5

5 0.5 0.4 0.5 0.4 0.4 0.3

6 0.2 0.4 0.4 0.4 0.3 0.3

7 0.3 - 0.2 - 0.4 0.3

8 - 0.3 0.5 0.4 0.6 0.4

9 0.4 0.4 0.3 0.3 0.6 0.3

10 0.7 0.5 0.2 - 0.5 0.4

11 - 0.6 0.6 - 0.6 0.5

12 - 0.5 0.5 0.6 0.5 0.5

Page 23: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236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0.0

0.5

1.0

1.5

2.0

2.5

3.0

′991

2 3 4 5 6 7 8 9 10 11 12 ′001

2 3 4 5 6 7 8 9 10 11 12 ′011

2 3 4 5 6 7 8 9 10 11 12

CO

농도

(ppm

)

광 무 동 삼 일 동 월 래 동 중 동 태 인 동 장 천 동

<그림 4-15> 광양만권 CO 월별 평균 농도

(4) 시간대별 농도

조사기간(2001. 07~2002. 05) 동안의 CO 자동측정망 자료 <표 4-18> ~ <표

4-19>를 보면 1시간 및 8시간 평균 환경기준치를 초과하는 지점은 없었다.

<표 4-18> CO 환경기준치 초과현황(1시간 평균)

년도 2001년 2002년

지점명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1월 2월 3월 4월 5월

A- 2(태인)

A- 3(중마)

A- 6(장천)

A- 9(삼일)

A-10(월내)

A-14(광무)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초과회수/

초과율평균(%)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최대농도(ppm)

및 지점- - - - - - - - - - -

최대농도

초과일시- - - - - - - - - - -

초과회수 0회 0회

Page 24: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237

<표 4-19> CO 환경기준치 초과 현황(8시간 평균)

년도 2001년 2002년

지점명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1월 2월 3월 4월 5월

A-2(태인)

A-3(중마)

A-6(장천)

A-9(삼일)

A-10(월내)

A-14(광무)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초과회수/

초과율평균(%)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최대농도(ppm)

및 지점- - - - - - - - - - -

최대농도

초과일시- - - - - - - - - - -

초과회수 0회 0회

라) 오존 (O3)

(1) 연평균 농도

각 측정소별 연평균 농도는 광양시 중동과 태인동 지점이 타 조사지점 보다 높

게 나타났으며, 여수 삼일동과 순천시 장천동에서는 낮은 농도를 보이고 있다. 여수

시 삼일동과 순천시 장천동을 제외하고는, 모든 지점에서 2000년 이후 농도가 다소

높아지는 경향 추이를 보였다.

(2) 계절별 농도

각 측정소의 계절별 농도는 봄철에 농도가 높고, 겨울철에 낮은 경향을 보였다.

특히, 광양시 중동지점은 다른 측정소 지점보다 다소 높은 O3 농도를 나타냈으며,

이 지점에서도 봄철과 여름철에 각각 47, 37 ppb 수준의 농도로 조사되었다.

Page 25: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238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표 4-20> 광양만권 O3 연평균 농도 (단위 : ppb)

구분 1999년 2000년 2001년

여수시 (광무동) 24 26 28

여수시 (삼일동) 24 22 23

여수시 (월래동) 23 29 27

광양시 (중 동) 25 27 35

광양시 (태인동) 28 26 30

순천시 (장천동) 22 27 24

0

5

10

15

20

25

30

35

40

O3 농

도(p

pb)

광무동 삼일동 월래동 중 동 태인동 장천동

1999 2000 2001

<그림 4-16> 광양만권 O3 연평균 농도

(3) 월별 농도

월별 O3 평균 농도는 봄철인 4-6월에 높고, 기온이 낮은 11-1월에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으며, 광양시 중동 지점이 다른 조사지점 보다 다소 높은 농도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광양시의 중동과 태인동 지점에서는 월평균 O3 농도가

1999년 기준으로 2000년에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다가 2001년에는 다소 상승하는 추

이를 보이고 있다.

Page 26: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239

<표 4-21> 광양만권 O3 계절별 평균 농도 (단위 : ppb)

구 분자동측정소

광무동 삼일동 월래동 중 동 태인동 장천동

1999년

봄 29 30 29 30 33 24

여 름 27 22 23 27 28 20

가 을 22 22 22 23 28 22

겨 울 18 19 21 22 24 23

2000년

봄 31 28 40 28 29 33

여 름 26 24 27 23 26 27

가 을 28 19 27 35 29 26

겨 울 20 20 22 27 25 19

2001년

봄 41 31 39 47 38 33

여 름 32 23 22 37 29 24

가 을 20 19 24 29 26 19

겨 울 21 21 24 27 25 19

0

5

10

15

20

25

30

35

40

O3 농

도(p

pb)

광무동 삼일동 월래동 중동 태인동 장천동

1999 - 2001

봄 여름 가을 겨울

<그림 4-17> 광양만권 O3 계절별 평균 농도

Page 27: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240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표 4-22> 광양만권 O3 월별 평균 농도 (단위 : ppb)

구 분 자동측정소

년 월 광무동 삼일동 월래동 중 동 태인동 장천동

1999

1 18 23 15 16 21 18

2 20 27 19 17 20 233 22 26 24 17 26 214 31 35 30 22 34 255 35 29 34 50 39 256 31 25 30 42 30 227 25 19 20 21 26 19

8 25 21 20 19 29 19

9 25 24 24 26 35 2510 22 22 21 22 29 2311 18 20 20 21 21 1812 15 19 13 22 21 20

2000

1 16 16 22 20 22 202 24 23 29 23 28 293 26 18 35 25 28 324 33 31 42 30 30 33

5 33 34 44 30 29 35

6 30 32 35 27 34 347 23 23 25 22 23 268 24 18 20 19 20 22

9 36 21 32 40 - 26

10 25 19 26 36 30 2811 22 18 24 28 25 2312 16 15 18 25 21 17

2001

1 24 24 24 29 29 182 21 22 24 27 24 21

3 36 30 33 43 37 31

4 43 33 44 49 41 36

5 43 31 39 48 37 31

6 37 30 29 45 32 317 27 20 15 28 19 198 - 19 22 37 35 219 23 21 26 39 34 2110 20 19 - 29 26 1811 16 16 22 18 19 1812 19 16 24 24 21 19

Page 28: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241

(4) 시간대별 농도

조사기간(2001. 07~2002. 05) 동안의 자동측정망 자료 <표 4-23>~<표 4-24>

및 <그림 4-19>~<그림 4-20>을 살펴보면, O3의 1시간 평균치 환경기준의 초과회

수는 2001년에 53회, 2002년에 6회였으며, 8시간 평균치 환경기준의 초과회수는

2001년에 52회, 2002년에 17회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 추이를 살펴보면,

기온이 상승하는 시기(하계)에 초과회수가 집중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초과 현황

자료를 토대로 각 측정망의 시간당 5분 수신 자료(영산강유역환경청 제공)를 검토

한 결과, 환경기준을 초과한 시점은 일부를 제외한 대다수의 측정망에서 12:00~

15:00 시간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0

10

20

30

40

50

60

′991

2 3 4 5 6 7 8 9 10 11 12′001

2 3 4 5 6 7 8 9 10 11 12′0 11

2 3 4 5 6 7 8 9 10 11 12

O3 농

도(p

pb)

광 무 동 삼 일 동 월 래 동 중 동 태 인 동 장 천 동

<그림 4-18> 광양만권 O3 월별 평균 농도

Page 29: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242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표 4-23> 1시간 평균 O3 환경기준치 초과현황

년 도 2001년 2002년

지점명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1월 2월 3월 4월 5월

A- 2(태인)

A- 3(중마)

A- 6(장천)

A- 9(삼일)

A-10(월내)

A-14(광무)

1

7

4

2

0

9

9

13

2

3

2

1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1

1

0

0

4

0

0

0

0

초과회수/

초과율평균(%)

23/

0.56

30/

0.830/0 0/0 0/0 0/0 0/0 0/0 0/0

2

/0.03

4/

0.10

최대농도(ppm)

및 지점

0.161

A-14

0.155

A-10- - - - - - -

0.018

A-9

0.143

A-3

최대농도

초과일시

01.

07.26

17:00

01.

08.04

14:00

- - - - - - -

02.

04.02

12:00

02.

05.21

14:00

초과회수 53회 6회

O 3 1시 간 평 균 초 과 현 황

0

2

4

6

8

10

12

14

태 인 동 중 마 동 장 천 동 삼 일 동 월 내 동 광 무 동

초과

회수

2001. 7 2001.8 2001.9 2001. 10 2001.11 2001.12

2002.1 2002.2 2002.3 2002.4 2002.5

<그림 4-19> 1시간 평균 O3 환경기준치 초과 현황

Page 30: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243

<표 4-24> 8시간 평균 O3 환경기준치 초과 현황

년 도 2001년 2002년

지점명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1월 2월 3월 4월 5월

A- 2(태인)

A- 3(중마)

A- 6(장천)

A- 9(삼일)

A-10(월내)

A-14(광무)

1

6

1

2

0

5

8

10

3

2

2

1

3

3

1

1

2

1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1

1

0

0

0

0

1

4

2

1

0

7

초과회수/

초과율평균(%)15/7.7

26/

18.76

11/

6.270/0 0/0 0/0 0/0 0/0 0/0

2/

1.17

15/

10.2

최대농도(ppm)

및 지점

0.114

A-14

0.119

A-2

0.074

A-3- - - - - -

0.072

A-3

0.092

A-3

최대농도

초과일시

01.

07.25

12:00

01.

08.04

12:00

01.

09.19

13:00

- - - - - -

02.

04.12

15:00

02.

05.21

12:00

초과회수 52회 17회

O 3 8시 간 평 균 초 과 현 황

0

2

4

6

8

10

12

태 인 동 중 마 동 장 천 동 삼 일 동 월 내 동 광 무 동

초과

회수

2001. 7 2001.8 2001.9 2001. 10 2001.11 2001.12

2002.1 2002.2 2002.3 2002.4 2002.5

<그림 4-20> 8시간 평균 O3 환경기준치 초과 현황

Page 31: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244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마) 미세먼지 (PM-10)

(1) 연평균 농도

광양만권의 연평균 PM-10 평균 농도는 환경기준치내의 낮은 농도를 보이고 있

으나, 측정소별로는 여수시 월래동과 순천시 장천동을 제외한 다른 지점에서는 점

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표 4-25> 광양만권 PM-10 연평균 농도 (단위 : ㎍/㎥)

구 분 1999년 2000년 2001년

여수시 (광무동) - - 30

여수시 (삼일동) 35 32 33

여수시 (월래동) - 70 63

광양시 (중 동) - 36 50

광양시 (태인동) 51 55 64

순천시 (장천동) 38 50 40

0

0.1

0.2

0.3

0.4

0.5

0.6

0.7

0.8

PM

-10 농

도(㎍

/㎥)

광무동 삼일동 월래동 중 동 태인동 장천동

1999 2000 2001

<그림 4-21> 광양만권 PM-10 연평균 농도

Page 32: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245

(2) 계절별 농도

각 측정소의 계절별 PM-10 농도는 봄철에 농도가 높고, 가을철에 낮은 경향을

나타냈는데, 봄철의 높은 농도 경향은 황사에 의한 영향으로 판단된다. 특히 2000년

봄철의 여수시 월래동은 102 ㎍/㎥의 높은 농도를 나타냈으며, 2001년 봄철에는 여

수시 월래동과 광양시 중동, 태인동에서 79~82 ㎍/㎥의 높은 농도로 조사되었다.

<표 4-26> 광양만권 PM-10 계절별 평균 농도 (단위 : ㎍/㎥)

구 분자동측정소

광무동 삼일동 월래동 중 동 태인동 장천동

1999년

봄 - - - - 50 40여 름 - 35 - - 46 30

가 을 - 36 - - 56 38

겨 울 - 32 52 - 50 42

2000년

봄 - 52 102 - 80 68여 름 - 29 77 48 54 62가 을 - 19 47 27 39 31겨 울 - 23 53 43 50 38

2001년

봄 - 47 79 79 82 62여 름 - 39 66 47 62 37가 을 34 31 55 32 54 25겨 울 25 27 51 42 52 35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PM

-10 농

도(㎍

/㎥)

광무동 삼일동 월래동 중동 태인동 장천동

1999 - 2001

봄 여름 가을 겨울

<그림 4-22> 광양만권 PM-10 계절별 평균 농도

Page 33: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246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 월별 농도

광양만권 PM-10 농도를 월별로 보면 황사의 영향을 많이 받는 3, 4월에 높은

농도로 조사되었으며, 9, 10월에 낮게 조사되었다. 연도별로 볼 때 2000년에 농도가

가장 높은 지점은 여수시 월래동으로서 3, 4월에 110 ㎍/㎥ 이상의 높은 농도를 보

였고, 2001년 3월의 광양시 중동의 PM-10 농도는 104 ㎍/㎥의 높은 농도로 조사되

어 환경기준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0

20

40

60

80

100

120

′991

2 3 4 5 6 7 8 9 10 11 12 ′001

2 3 4 5 6 7 8 9 10 11 12 ′011

2 3 4 5 6 7 8 9 10 11 12

PM

-10 농

도(㎍

/㎥)

광 무 동 삼 일 동 월 래 동 중 동 태 인 동 장 천 동

<그림 4-23> 광양만권 PM-10 월별 평균 농도

Page 34: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247

<표 4-27> 광양만권 PM-10 월별 평균 농도 (단위 : ㎍/㎥)

구 분 자동측정소년 월 광무동 삼일동 월래동 중 동 태인동 장천동

1999

1 - - - - - -2 - - - - 55 463 - - - - 51 524 - - - - 47 375 - - - - 53 326 - - - - 52 397 - - - - 43 258 - - - - 42 269 - - - - 56 3010 - - - - 55 4111 - - - - 58 4412 - - - - 50 45

2000

1 - 29 47 - 51 442 - 34 56 - 49 363 - 61 113 - 103 784 - 55 112 - 74 695 - 40 81 - 62 566 - 35 88 - 67 707 - 30 82 60 53 698 - 22 60 35 42 479 - 18 45 25 42 2810 - 21 50 26 37 3411 - 18 45 29 34 3212 - 15 61 39 41 36

2001

1 - 37 37 44 44 362 - 17 62 46 64 423 - - 86 104 79 694 - - 78 75 90 665 - 47 74 58 78 506 - 47 78 56 76 557 - - - 46 - 298 - 31 53 38 47 289 - 31 38 32 50 2310 - 30 50 25 - 2311 34 33 76 38 58 2812 25 27 56 36 49 26

Page 35: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248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4) 시간대별 농도

조사기간(2001. 07~2002. 05) 동안의 자동측정망 자료 <표 4-28> 및 <그림

4-24>를 살펴보면 PM-10 24시간 평균치 환경기준의 초과회수는 2001년에 1회,

2002년에 31회로 나타났다.

<표 4-28> 24시간 평균 PM-10 환경기준치 초과현황

년도 2001년 2002년지점명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1월 2월 3월 4월 5월

A-2(태인)A-3(중마)A-6(장천)A-9(삼일)A-10(월내)A-14(광무)

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10

000000

000020

000000

2-2-32

332-93

000000

초과회수/초과율평균(%)

0/0 0/0 0/0 0/0 1/0.47 0/0 2/1.07 0/0 9/7.37 20/14 0/0

최대농도(㎍/㎥)및 지점

- - - - 176A-10 - 179

A-10 - 751A-10

1009A-10 -

최대농도 초과일시

- - - - 01.11.22 - 02.

01.13 - 02.03.21

02.04.08 -

초과회수 1회 31회

주1) ( )안의 회수는 해당월의 각 일별 시간당 초과회수의 총합을 말함 주2) 환경월보의 2001년부터 새로 적용되는 통계방법에 의하면 8시간 평균값의 산출은 하루를 기준으로 01~08시,

02~09시, 03~10시, 04~11시, ․․․, 17~24시의 총 17개의 경우의 평균치로서 각 경우의 자료 개수가 6개 이상인 8시간 평균치로 적용하고, 총17개의 평균치중 최대치를 1일 8시간 평균치로 함

주3) - : 월보자료의 공란(해당자료 없음)

P M -10 24시 간 평 균 초 과 현 황

0

2

4

6

8

10

태 인 동 중 마 동 장 천 동 삼 일 동 월 내 동 광 무 동

초과

회수

2001. 7 2001.8 2001.9 2001. 10 2001.11 2001.12

2002.1 2002.2 2002.3 2002.4 2002.5

<그림 4-24> 24시간 평균 PM-10 환경기준치 초과현황

Page 36: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249

1.1.2 실측자료 조사분석

1) 조사항목 및 범위

본 조사에서는 대기환경기준 설정 항목인 SO2, NO2, CO, O3, PM-10에 대해 농

도를 조사하였으며, 각 항목들의 측정 및 분석방법은 대기오염공정시험법에 따라

수행하였다.

2) 조사범위

조사범위는 계절별 변화특성을 파악하고자, 아래와 같이 총 4차에 걸쳐 실측하

였으며, 조사지점 및 위치는 <표 4-29>, 조사지점도는 <그림 4-25>와 같다. 현장

시료채취 사진은 <그림 4-26>에 나타내었다.

◈ 1차(추계) : 2001년 9월 20일 ~ 9월 22일

◈ 2차(동계) : 2001년 12월 21일 ~ 12월 23일

◈ 3차(춘계) : 2002년 3월 22일 ~ 3월 24일

◈ 4차(하계) : 2002년 6월 13일 ~ 6월 23일

<표 4-29> 일반 대기 질 조사지점 및 위치

항 목 측정지점 측정지명

일반대기

오염물질

A- 1 광양시 금호동 광양사업소

A- 2* 광양시 태인동 태인동사무소

A- 3* 광양시 중마동 중마동사무소

A- 4 광양시 골약동 골약중학교

A- 5 광양시 광양읍 목성리

A- 6* 순천시 장천동 순천시청

A- 7 순천시 해룡면 신성리 (충무사)

A- 8 여수시 화치동 LG연수원

A- 9* 여수시 삼일동 공해추방협의회

A-10* 여수시 월내동 환경시설공사

A-11 여수시 묘도동 묘도동사무소

A-12 여수시 묘도동 온동마을

A-13 여수시 상암동 상암초등학교

A-14* 여수시 광무동 *

환경부 자동측정망 지점

Page 37: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250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광 양 시(KWANGYANG-CITY)

묘 도(MYODO)

광 양 제 철 소 (POSCO)

남 해 도(NAMHAE-DO)

여 수 국 가 산 단(YEOSU INDUSTRIAL COMPLEX)

여 수 시(YEOSU-CITY)

A-2A-3

A-4

A-5

A-6

A-8

A-9

A-10

A-11

A-13

A-1A-7A-12

A-14

<그림 4-25> 일반 대기질 조사지점도

<그림 4-26> 일반 대기질 현장 시료채취 사진

Page 38: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251

<그림 4-26> (계 속)

Page 39: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252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 기상현황

조사기간 동안의 기상현황은 <표 4-30>에 나타내었다. 순천지역의 1차 조사기

간 동안 기상평균자료를 보면 최고기온은 27.3℃, 최저기온은 12.9℃, 평균기온은

18.8℃를 나타내었으며, 풍속은 1.0m/s, 상대습도는 63.0%, 일조는 8.8hr를 나타내었

다. 2차 조사기간의 경우는 최고기온은 5.0℃, 최저기온은 -3.0℃, 평균기온은 0.1℃

를 나타내었으며, 풍속은 1.0m/s, 상대습도는 63.0%, 일조는 8.8hr를 나타내었다. 여

수지역의 1차 조사기간 동안 기상평균자료는 최고기온은 25.1℃, 최저기온은 18.3℃,

평균기온은 21.6℃를 나타내었으며, 풍속은 6.5m/s, 상대습도는 55.8%, 일조는 8.3hr

를 나타내었다. 2차 조사기간의 경우는 최고기온은 6.4℃, 최저기온은 0.7℃, 평균기

온은 2.9℃를 나타내었으며, 풍속은 3.7m/s, 상대습도는 52.3%, 일조는 7.1hr를 나타

내었다. 한편, 기상청에서 제시한 광양지역의 기상자료는 없어 나타내지 않았다.

<표 4-30> 조사기간 동안의 기상현황

지역조사

시기

조사

일시일 기

평균기온

(℃)

상대습도

(%)

풍속

(㎧)풍향

강수량

(㎜)

일조

(hr)

순천

1차2001.

9.20~9.22맑음 18.8 63.0 1.0 1.0 - 8.8

2차2001.

12.21~12.23맑음 0.1 66.2 1.6 1.6 0 3.5

3차2002.

3.22~3.24흐림 6.3 58.0 1.8 3.2 0 5.8

4차2002.

6.13~6.23맑음 21.1 58.8 1.6 6.4 - 3.3

여수

1차2001.

9.20~9.22맑음 21.6 55.8 6.5 6.5 - 8.3

2차2001.

12.21~12.23맑음 2.9 53.4 5.6 5.6 - 6.6

3차2002.

3.22~3.24흐림 9.4 57.4 5.9 7.9 0 -

4차2002.

6.13~6.23맑음 23.1 70.3 4.2 8.5 9.3

* 기상청(여수, 순천) 자료, 2002.

Page 40: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253

3) 조사결과

광양만권 일반 대기오염물질에 대해 계절별로 조사된 지점별 총합 평균 농도는

<표 4-31>과 같으며, SO2의 경우 평균 0.008ppm (0.003~0.017), CO는 0.6ppm (0.

4~0.9), NO2는 0.018ppm (0.012~0.028), O3의 경우 0.028ppm (0.021~0.040) 및

PM-10는 평균 51.9㎍/㎥ (34.0~85.2) 으로 조사되었다. 각 항목에 대한 계절별 실

측농도는 <표 4-32>~ <표 4-35>, <그림 4-27>과 같다. 공업지역, 주거지역 및

상업지역에서 농도분포 경향은 서로 다르게 나타났으며, 각각 조사시기별 분포경향

을 정리하여 나타냈다. 또한, 실측조사 결과를 보완하기 위해 환경부(영산강 환경관

리청)에서 운영중인 자동측정망 자료도 활용하였다.

<표 4-31> 대기질 현황조사 종합결과(1차~4차)

지역 측정지점 SO2

(ppm)CO

(ppm)NO2

(ppm)O3

(ppm)PM-0(㎍/㎥) 용 도

광양시

A-1 0.008 0.5 0.019 0.027 46.9 공업지역

A-2 0.003 0.4 0.015 0.029 65.5 상업지역

A-3 0.005 0.5 0.021 0.033 34.0 주거지역

A-4 0.006 0.7 0.014 0.037 38.2 주거지역

A-5 0.008 0.8 0.020 0.031 52.4 상업지역

순천시A-6 0.003 0.4 0.016 0.022 41.3 상업지역

A-7 0.005 0.6 0.014 0.028 57.5 주거지역

여수시

A-8 0.014 0.6 0.017 0.040 57.4 공업지역

A-9 0.017 0.4 0.027 0.023 40.3 준공업지역

A-10 0.012 0.4 0.028 0.023 85.2 공업지역

A-11 0.007 0.8 0.014 0.027 61.9 주거지역

A-12 0.008 0.7 0.012 0.021 54.1 주거지역

A-13 0.007 0.9 0.014 0.028 40.5 -

A-14 0.006 0.4 0.024 0.022 51.1 상업지역

최대 0.017 0.9 0.028 0.040 85.2 -

최소 0.003 0.4 0.012 0.021 34.0 -

평균 0.008 0.6 0.018 0.028 51.9 -

Page 41: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254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가) 아황산가스 (SO2)

1차(추계) 조사의 경우 평균 0.011ppm (0.002~0.028), 2차(동계) 조사에서는 평

균 0.010ppm (0.004-0.019), 3차(춘계)는 평균 0.006ppm (0.003~0.013), 4차(하계) 조

사에서는 평균 0.005ppm (0.002~0.015)으로 조사되었다. 조사지점 중 공장과 근접

한 지역일수록 높은 농도 분포를 보였으며, A-8 지점에서 1차 및 2차 조사시 가장

높은 농도로 조사되었다. 본 조사지점의 측정결과, 단기 대기환경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 이산화질소 (NO2)

1차(추계)조사의 경우 평균 0.018ppm (0.011~0.037), 2차(동계)조사는 평균

0.016ppm (0.007-0.037), 3차(춘계)의 경우는 평균 0.019ppm (0.016~0.026), 4차(하

계) 조사의 경우는 평균 0.016ppm (0.012~0.028)으로 나타났다. 조사지점 중 가장

높은 농도를 보인 지점은 1차, 2차 조사에서 A-9 지점, 3차 및 4차의 경우는 각각

A-1지점과 A-10지점에서 측정되었다. 가장 낮은 농도분포는 1차 조사의 경우

A-11 및 A-12 지점, 2차 조사에서는 A-4, A-7 및 A-11 지점, 3차 조사에서는

A-5 및 A-12, 4차는 A-2지점에서 낮은 농도를 보였다. 본 조사지점의 측정결과,

단기 대기환경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 일산화탄소 (CO)

조사시기별 농도 분포 현황은, 1차(추계) 조사의 경우 평균 0.7ppm (0.3~1.2),

2차(동계) 조사는 평균 0.7ppm (0.5-0.9), 3차(춘계)의 경우 평균 0.6ppm (0.2~1.3),

4차(하계) 조사의 경우는 평균 0.3ppm (0.2~0.4)으로 나타났다. 조사지점 A-5의 경

우 차량 통행이 빈번한 상업지역으로서 1차, 2차, 4차 조사시 가장 높은 농도로 조

사되었으며, 3차 조사에서도 높은 경향을 보였다. 가장 낮은 농도분포는 1차 조사의

경우 A-3 및 A-10지점, 2차 조사의 경우는 A-2, A-6, A-9 및 A-10지점, 3차 조사

의 경우는 A-8지점, 4차 조사의 경우 A-1, A-2 및 A-14지점에서 나타났다. 본 조

사지점의 측정결과, 단기 대기환경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age 42: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255

라) 오존 (O3)

1차(추계) 조사의 경우 평균 0.041ppm (0.021~0.060), 2차(동계) 조사는 평균

0.016ppm (0.011-0.024), 3차(춘계)의 경우는 평균 0.027ppm (0.014~0.061), 4차(하

계) 조사의 경우는 평균 0.032ppm (0.015~0.037)으로 나타났다. 조사지점에서 가장

높은 농도분포는 1차 조사의 경우 A-5 지점, 2차 조사에서는 A-3 및 A-10 지점에

서 나타났으며, 3차는 A-4지점, 4차는 A-3지점에서 조사되었다. 가장 낮은 농도분

포는 1차 조사의 경우 A-6 및 A-9지점, 2차는 A-1, A-4 및 A-7 지점에서 나타났

으며, 3차 조사에서는 A-11지점, 4차는 A-10지점에서 측정되었다. 본 조사지점의

측정결과, 단기 대기환경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 미세먼지 (PM-10)

1차(추계) 조사의 경우 평균 36.7㎍/㎥ (21.0~53.4), 2차(동계) 조사는 평균 37.6

㎍/㎥ (25.0~57.8), 3차(춘계) 조사는 평균 73.5㎍/㎥ (31.8~136.0), 4차(하계) 조사에

서는 63.3㎍/㎥ (43.0~81.6)으로 나타났다. 조사지점에서 가장 높은 농도 분포를 보

인 지점은 1차 조사의 경우 A-8 지점, 2차 조사에서는 A-5 지점, 3차 및 4차 조사

에서는 A-10지점으로 주로 공장과 교통량이 많은 지점에서 나타났다. 가장 낮은 농

도분포는 1차 조사의 경우 A-7지점, 2차 조사는 A-14지점, 3차는 A-4지점, 4차에

서는 A-6지점으로 나타났다. 본 조사지점의 측정결과는 모두 대기환경기준의 24시

간 평균농도인 150㎍/㎥ 이내로 나타났다.

Page 43: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256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표 4-32> 대기질 1차(추계) 조사결과

지역 측정지점 SO2

(ppm)CO

(ppm)NO2

(ppm)O3

(ppm)PM-10(㎍/㎥) 용 도

광양시

A-1 0.010 0.8 0.018 0.047 29.1 공업지역A-2 - 0.6 0.012 0.034 50.0 상업지역A-3 0.003 0.3 0.017 0.039 32.0 주거지역A-4 0.007 0.9 0.014 0.049 37.3 주거지역A-5 0.011 1.2 0.021 0.060 36.4 상업지역

순천시A-6 0.002 0.3 0.012 0.021 23.0 상업지역A-7 0.006 1.0 0.015 0.053 21.0 주거지역

여수시

A-8 0.028 1.0 0.014 0.057 53.4 공업지역A-9 0.023 0.4 0.037 0.021 31.0 준공업지역A-10 0.012 0.3 0.027 0.026 38.0 공업지역A-11 0.011 1.0 0.011 0.050 42.9 주거지역A-12 0.013 1.0 0.011 - 35.1 주거지역A-13 0.011 1.0 0.014 0.050 47.3 -A-14 0.005 0.4 0.023 0.023 - 상업지역

최 대 0.028 1.2 0.037 0.060 53.4최 소 0.002 0.3 0.011 0.021 21.0평 균 0.011 0.7 0.018 0.041 36.7

<표 4-33> 대기질 2차(동계) 조사결과

지역 측정지점 SO2

(ppm)CO

(ppm)NO2

(ppm)O3

(ppm)PM-10(㎍/㎥) 용 도

광양시

A-1 0.013 0.7 0.018 0.011 47.6 공업지역A-2 0.004 0.5 0.015 0.021 46.0 상업지역A-3 0.004 0.6 0.027 0.024 36.0 주거지역A-4 0.009 0.8 0.007 0.011 33.6 주거지역A-5 0.014 0.9 0.026 0.014 57.8 상업지역

순천시A-6 0.004 0.5 0.017 0.019 27.0 상업지역A-7 0.009 0.8 0.007 0.011 37.8 주거지역

여수시

A-8 0.018 0.8 0.012 0.012 31.1 공업지역A-9 0.019 0.5 0.037 0.016 27.0 준공업지역A-10 0.008 0.5 - 0.024 - 공업지역A-11 0.007 0.8 0.007 0.013 54.9 주거지역A-12 0.009 0.8 0.008 0.015 34.2 주거지역A-13 0.007 0.8 0.008 0.012 30.6 -A-14 0.010 0.7 0.024 0.019 25.0 상업지역

최 대 0.019 0.9 0.037 0.024 57.8최 소 0.004 0.5 0.007 0.011 25.0평 균 0.010 0.7 0.016 0.016 37.6

Page 44: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257

<표 4-34> 대기질 3차(춘계) 조사결과

지역 측정지점 SO2

(ppm)CO

(ppm)NO2

(ppm)O3

(ppm)PM-10(㎍/㎥) 용 도

광양시

A-1 0.005 0.4 0.026 0.015 55.7 공업지역A-2 - 0.4 0.019 0.028 98.0 상업지역A-3 0.005 0.5 0.023 0.032 - 주거지역A-4 0.006 0.9 0.019 0.061 31.8 주거지역A-5 0.005 0.8 0.016 0.015 52.9 상업지역

순천시A-6 0.004 0.5 0.020 0.021 72.0 상업지역A-7 0.004 0.3 0.019 0.015 99.0 주거지역

여수시

A-8 0.005 0.2 0.024 0.059 63.7 공업지역A-9 0.013 0.5 0.017 0.023 - 준공업지역A-10 0.013 0.4 - 0.026 136.0 공업지역A-11 0.006 0.9 0.022 0.014 86.1 주거지역A-12 0.004 0.5 0.016 0.015 78.9 주거지역A-13 0.003 1.3 0.021 0.017 32.6 -A-14 0.006 0.4 - 0.030 75.0 상업지역

최 대 0.013 1.3 0.026 0.061 136.0최 소 0.003 0.2 0.016 0.014 31.8평 균 0.006 0.6 0.019 0.027 73.5

<표 4-35> 대기질 4차(하계) 조사결과

지역 측정지점 SO2

(ppm)CO

(ppm)NO2

(ppm)O3

(ppm)PM-10(㎍/㎥) 용 도

광양시

A-1 0.002 0.2 0.014 0.033 55.2 공업지역A-2 0.002 0.2 0.012 0.032 67.9 상업지역A-3 0.006 0.3 0.015 0.037 - 주거지역A-4 0.002 0.3 0.016 0.026 50.0 주거지역A-5 0.002 0.4 0.017 0.036 62.6 상업지역

순천시A-6 0.003 0.4 0.013 0.028 43.0 상업지역A-7 0.002 0.3 0.016 0.034 72.2 주거지역

여수시

A-8 0.003 0.4 0.017 0.031 81.3 공업지역A-9 0.013 0.3 0.015 0.033 62.8 준공업지역A-10 0.015 0.3 0.028 0.015 81.6 공업지역A-11 0.004 0.4 0.015 0.031 63.8 주거지역A-12 0.004 0.4 0.014 0.033 68.1 주거지역A-13 0.005 0.4 0.013 0.032 51.3 -A-14 0.003 0.2 - 0.015 - 상업지역

최 대 0.015 0.4 0.028 0.037 81.6최 소 0.002 0.2 0.012 0.015 43.0평 균 0.005 0.3 0.016 0.032 63.3

Page 45: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258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0.000

0.002

0.004

0.006

0.008

0.010

0.012

0.014

0.016

농도

(ppm

광양시 순천시 여수시

SO2

가을 겨울 봄 여름

0

0.1

0.2

0.3

0.4

0.5

0.6

0.7

0.8

농도

(ppm

광양시 순천시 여수시

CO

가을 겨울 봄 여름

<그림 4-27> 사지점별 대기질 실측결과

Page 46: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259

0.000

0.005

0.010

0.015

0.020

0.025

0.030

0.035

0.040

0.045

0.050

농도

(ppm

광양시 순천시 여수시

NO2

가을 겨울 봄 여름

0.000

0.005

0.010

0.015

0.020

0.025

0.030

0.035

0.040

0.045

0.050

농도

(ppm

광양시 순천시 여수시

O3

가을 겨울 봄 여름

<그림 4-27> (계 속)

Page 47: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260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농도

(㎍/㎥

)

광양시 순천시 여수시

PM-10

가을 겨울 봄 여름

<그림 4-27> (계 속)

2. 휘발성 유기화합물질(VOCs)

휘발성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은 방향족 탄화수소나

할로겐화 탄화수소류와 같이 그 자체가 직접적으로 인체에 유해한 보건학적 측면

(WHO, 1987)과 올레핀계 탄화수소류와 같이 광화학 스모그의 기인자(precursor)로

서의 역할(Field et al., 1992)로서 환경적으로 매우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미국 환경청(U.S. EPA)에서는 VOCs를 오존전구물질로서 NOx와 함께 관리하

고 있으며, 또 한편으로는 벤젠, 1,3-부타디엔 등의 위해성 물질들은 다른 유해물질

과 함께 HAPs(Hazardous Air Pollutants)로서 관리하는 등 2가지 측면을 모두 고

려하고 있으며, 유럽 및 OECD 등 선진국에서도 VOCs에 대한 관리가 대기질 관리

의 주요 정책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이러한 중요성 때문에 광양만권역인 여수산단은 VOCs물질로 인하

Page 48: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261

여 1996년 9월 대기보전 특별대책지역으로 지정되어, 여수산단내 사업장들은 VOCs

배출억제를 위해 그간 방지시설에 많은 관심과 투자를 기울였고, 정부는 배출허용

기준치를 강화시켜 각 사업장에서 배출되는 VOCs 물질의 배출억제를 유도한 결과,

예전에 비해 대기 중 농도는 많은 향상을 가져왔다.

그러나 VOCs 물질은 석유화학 관련 사업체의 연돌에서만 배출되는 것이 아니

라 자동차 및 다양한 연소시설로부터 배출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원인 및 영향을

예측하기란 매우 어렵다. 또한 광양만권역의 각 지자체는 지속적으로 인구가 증가

하는 추세로, 신규 사업장 건설과 자동차 및 대기오염물질 배출시설들의 증가로 인

하여 VOCs(악취 포함) 물질의 대기 중 농도는 다른 지역에 비해 특이한 변화추세

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조사에서는 광양만권내의 대기 중 VOCs 농도를 대표할 수 있는 일

반지역을 계절별로 4차에 걸쳐 측정하였으며, 여름철인 하계에는 3차례에 걸쳐 집

중조사를 실시하여 광양만권내 대기 중 VOCs 농도를 집중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

다.

2.1 기존자료 조사분석

2.1.1 VOCs 기준 및 규제내용

국내 대기환경보전법 시행령 제39조 제1항에 의하여 휘발성 유기화합물질

(VOCs)이란 “탄화수소류중 석유화학제품, 유기용제 기타물질로서 아세트알데히드,

메탄올, BTX(Benzene, Toluene, Xylene) 등과 같은 37개의 규제제품 및 물질(환경

부고시 제 2001-71, 2001. 3. 8)”을 말하며 <표 4-36>과 같다.

수 많은 종류의 VOCs 물질 중에서 방향족 탄화수소나 할로겐화 탄화수소류

등은 그 자체로서 직접적으로 인체에 유해하지만(<표 4-37> 참조), <표 4-38>과

같이 Aliphatic 탄화수소류(특히 올레핀계)는 그 자체로는 인체에 대한 직접적인 유

해성은 크지 않으나 대기 중에서 질소 산화물의 광분해 반응에 관여하여 2차적으로

오존과 알데히드류와 같은 산화성 물질을 생성하는 소위 광화학 스모그의 기인자

(precursors)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Field et al., 1992).

Page 49: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262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표 4-36> VOCs 규제제품 및 물질

제품 및 물질명 분자식 CAS No.

1 아세트알데히드 Acetaldehyde C2H4O[CH3CH0] 75-07-0

2 아세틸렌 Acetylene C2H2 74-86-2

3 아세틸렌 디클로라이드 Acetylene Dichloride C2H2C12 540-59-0

4 아크롤레인 Acrolein C3H4O 107-02-8

5 아크릴로니트릴 Acrylonitrile C3H3N 107-13-1

6 벤젠 Benzene C6H6 71-43-2

7 1,3-부타디엔 1,3-Butadiene C4H6 106-99-0

8 부탄 Butane C4H10 106-97-8

91-부텐,

2-부텐

1-Butene,

2-Butene

C4H8[CH3CH2CHCH2)],

C4H8[CH3(CH)2CH3]

106-98-9

107-01-7

10 사염화탄소 Carbon Tetrachloride CCl4 56-23-5

11 클로로포름 Chloroform CHCl3 67-66-3

12 사이클로헥산 Cyclohexane C6H12 110-82-7

13 1, 2-디클로로에탄 1,2-Dichloroethane C2H4Cl2[Cl(CH2)2 Cl] 107-06-2

14 디에틸아민 Diethylamine C4H11N[(C2H5)2NH] 109-89-7

15 디메틸아민 Dimethylamine C2H7N 124-40-3

16 에틸렌 Ethylene C2H4 74-85-1

17 포름알데히드 Formaldehyde CH2O[HCHO} 50-00-0

18 n-헥산 n-Hexane C6H14 110-54-3

19 이소프로필 알콜 Isopropyl Alcohol C3H8O[(CH3)CHOHCH3] 67-63-0

20 메탄올 Methanol CH4O[CH3OH] 67-56-1

21 메틸에틸케톤 Methyl Ethyl Ketone C4H8O[CH3COCH2CH3] 78-93-3

22 메틸렌클로라이드 Methylene Chloride CH2Cl2 75-09-2

23 엠티비이(MTBE) Methyl Tertiary Butyl EtherC5H12O

[CH3OC(CH3)2CH3]1634-4-4

24 프로필렌 Propylene C3H6 115-07-1

25 프로필렌옥사이드 Propylene Oxide C3H6O 75-56-9

26 1, 1, 1-트리클로로에탄 1,1,1-Trichloroethane C2H3Cl3 71-55-6

27 트리클로로에틸렌 Trichloroethylene C2HCl3 79-01-6

28 휘발유 Gasoline - 86290-81-5

29 납사 Naphtha - 8030-30-6

30 원유 Crude Oil - 8002-5-9

31 아세트산(초산) Acetic Acid C2H4O2 64-19-7

32 에틸벤젠 Ethylbenzene C8H10 100-41-4

33 니트로벤젠 Nitrobenzene C6H5NO2 98-95-3

34 톨루엔 Toluene C7H8 108-88-3

35 테트라클로로에틸렌 Tetrachloroethylene C2Cl4 127-18-4

36 자일렌(o-,m-,p-포함) Xylene C8H10 1330-20-7

37 스티렌 Styrene C8H8 100-42-5

비고 : CAS No(Chemical Abstracts Service Registry Numbers)는 미국화학회(ACS; American Chemical

Society)에서 동질성을 가지는 물질 등에 부여한 고유번호를 말한다.

Page 50: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263

<표 4-37> U.S. EPA의 TO-14A에서 규정된 독성 VOCs 물성치

Compounds Formula M.W.(g) B.P.(℃) M.P.(℃) CAS NO

Freon 12 Cl2CF2 120.91 -29.8 -158.0 75-71-8

Methyl chloride CH3Cl 50.49 -24.2 -97.1 74-87-3

Freon 114 ClCF2CClF2 170.92 4.1 -94.0 76-14-2

Vinyl chloride CH2=CHCl 62.50 -13.4 -1,538.0 75-01-4

Methyl bromide CH3Br 94.94 3.6 -93.6 74-83-9

Ethyl chloride CH3CH2Cl 64.52 12.3 -136.4 75-00-3

Freon 11 CCl3F 137.38 23.7 -111.0 75-69-4

Vinylidene chloride C2H2Cl2 96.94 31.7 -122.5 75-35-4

Dichloromethane CH2Cl2 84.94 39.8 -95.1 75-09-2

Freon 113 CF2ClCCl2F 187.38 47.7 -36.4 76-13-1

1,1-Dichloroethane CH3CHCl2 98.96 57.3 -97.0 74-34-3

cis-1,2-Dichloroethylene CHCl=CHCl 96.94 60.3 -80.5 156-59-2

Chloroform CHCl3 119.38 61.7 -63.5 67-66-3

1,2-Dichloroethane ClCH2CH2Cl 98.96 83.5 -35.3 107-06-2

Methyl chloroform CH3CCl3 133.41 74.1 -30.4 71-55-6

Benzene C6H6 78.11 80.1 5.5 71-43-2

Carbon tetrachloride CCl4 153.82 76.5 -23.0 56-23-5

1,2-Dichloropropane CH3ChClCH2Cl 112.99 96.4 -100.4 78-875

Trichloroethylene ClCH=CCl2 131.39 87 -73.0 79-01-6

cis-1,3-Dichloropropene CH3CCl=CHCl 110.97 104.3 542-75-6

trans-1,3-Dichloropropene ClCH2CH=CHCl 110.97 112.0 542-75-6

1,1,2-Trichloroethane CH2ClCHCl2 133.41 113.8 -36.5 79-00-5

Toluene C6H5CH3 92.14 110.6 -95.0 108-88-3

1,2-Dibromoethane BrCH3CH2Br 187.87 131.3 9.8 106-93-4

Tetrachloroethylene Cl2C=CCl2 165.83 121.1 -19.0 127-18-4

Chlorobenzene C6H5Cl 112.56 132.0 -45.6 108-907

Ethyl benzene C6H5C2H5 106.17 136.2 -95.0 100-41-4

m-Xylene 1,3-(CH3)2C6H4 106.17 139.1 -47.9 108-38-3

p-Xylene 1,4--(CH3)2C6H4 106.17 138.3 13.3 106-42-3

Styrene C6H5CH=CH2 104.15 145.2 -30.6 100-42-5

1,1,2,2-Tetrachloroethane CHCl2CHCl2 167.85 146.2 -36.0 79-34-5

o-Xylene 1,2-(CH3)2C6H4 106.17 144.4 -25.2 95-47-6

1,3,5-Trimethylbenzene 1,3,5-(CH3)3C6H6 120.20 164.7 -44.7 108-67-8

1,2,4-Trimethylbenzene 1,2,4-(CH3)3C6H6 181.45 169.3 -43.8 95-63-6

m-Dichlorobenzene 1,3-Cl2C6H4 147.00 173.0 -24.7 541-73-1

Benzyl chloride C6H5CH2Cl 126.59 179.3 -39.0 100-44-7

o-Dichlorobenzene 1,2-Cl2C6H4 147.00 180.5 -17.0 95-50-1

p-Dichlorobenzene 1,4-Cl2C6H4 147.00 174.0 53.1 106-46-7

1,2,4-Trichlorobenzene 181.45 213.5 17.0 120-82-1

1,1,2,3,4,4-Hexachloro1,3-butadiene C4Cl6 260.76 186 -21.0 87-68-3

Page 51: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264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표 4-38> 광화학스모그 형성에 관여하는 VOCs 목록

VOCs USEPA E.U VOCs USEPA E.U

Acetylene ○ ○ trans-2-Hexene ○

Ethylene ○ ○ cis-2-Hexene ○

Ethane ○ ○ Methylcyclopentane ○

Propylene ○ 2,4-Dimethylpentane ○

Propane ○ ○ Benzene ○ ○

iso-Butane ○ ○ Cyclohexane ○

n-Butane ○ ○ 2-Methylhexane ○

trans-2-Butane ○ ○ 2,3-Dimethylpentane ○

1,3-Butadiene ○ 3-Methylhexane ○

1-Butene ○ ○ 2,2,4-Trimethylpentane ○

iso-Butene ○ n-Heptane ○ ○

cis-2-Butene ○ ○ Methylcyclohexane ○

Cyclopentene ○ 2,3,4-Trimethylpentane ○

iso-Pentane ○ ○ Toluene ○ ○

n-Pentane ○ ○ 2-Methylheptane ○

2-methyl-2-Butene ○ 3-Methylheptane ○

3-methyl-1-Butene ○ n-Octane ○

trans-2-Pentene ○ ○ Ethylbenzene ○ ○

Cyclopentane ○ m-Xylene ○

1-Pentene ○ p-Xylene ○

cis-2-Pentene ○ ○ Styrene ○

2,2-Dimethylbutane ○ o-Xylene ○ ○

3-Methylpentane ○ ○ n-Nonane ○

2-Methylpentane ○ ○ iso-Propylbenzene ○

2,3-Dimethylbutane ○ n-Propylbenzene ○

Isoprene ○ ○ α-pinene ○

4-methyl-1-Pentene ○ 1,3,5-Trimethylbenzene ○ ○

2-methyl-1-pentane ○ ○ β-pinene ○

n-Hexane ○ ○ 1,2,4-rimethylbenzene ○ ○

Page 52: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265

2.1.2 광양만권 대기 중 연평균 VOCs 농도 변화추이

아래의 <그림 4-28>은 영산강 환경관리청에서 1997~2000년까지 매 분기별로

광양만권 8개 측정지점에서 실측한 자료로서, 각 물질의 측정지점별 평균농도를 나

타낸 것이다. 조사 결과 벤젠 성분은 1997년에 비하여 1998년과 1999년은 약간 낮

아졌으나 2000년에는 다시 높아지고 있었다. 특히 2000년 공단중앙 지점의 벤젠 농

도는 11.4 ppb 로서 가장 높은 농도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1999년에 비하여 약 5

배정도 높은 수치이다. 톨루엔과 클로로벤젠, 에틸벤젠, m,p-자일렌, o-자일렌 성분

들은 1997년 이후 점차 낮아지거나 유사한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공단중앙의 스티

렌 농도는 1998년 이후 부터 점차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영산강유역관리청

의 과거 실측 자료를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2000년 벤젠의 농도와 1998년 m,p-자일

렌의 농도를 제외하고는 모든 성분에서 농도가 10 ppb 이하 였으며, 이중 대부분

성분은 1 ppb 이하로서 광양만권 대기 중에 거동하는 VOCs 물질은 상당히 낮아지

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벤 젠

0

2

4

6

8

10

12

14

묘도동 오림공구 원상암마을 공단중앙 삼일동 남해화학사택 장천동(순천) 남수마을

농도

(ppb

)

1997 1998 1999 2000

<그림 4-28> 광양만권역 연도별 VOCs 농도 추이

Page 53: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266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톨 루 엔

0

3

6

9

12

15

18

묘도동 오림공구 원상암마을 공단중앙 삼일동 남해화학사택 장천동(순천) 남수마을

농도

(pp

b)

1997 1998 1999 2000

클로로 벤젠

0.00

0.01

0.02

0.03

0.04

0.05

0.06

묘도동 오림공구 원상암마을 공단중앙 삼일동 남해화학사택 장천동(순천) 남수마을

농도

(pp

b)

1997 1998 1999 2000

에틸 벤젠

0

1

2

3

4

5

6

7

8

묘도동 오림공구 원상암마을 공단중앙 삼일동 남해화학사택 장천동(순천) 남수마을

농도

(pp

b)

1997 1998 1999 2000

<그림 4-28> 계 속

Page 54: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267

m,p-자일렌

0

2

4

6

8

10

12

묘도동 오림공구 원상암마을 공단중앙 삼일동 남해화학사택 장천동(순천) 남수마을

농도

(pp

b)

1997 1998 1999 2000

스틸렌

0.0

0.2

0.4

0.6

0.8

1.0

1.2

묘도동 오림공구 원상암마을 공단중앙 삼일동 남해화학사택 장천동(순천) 남수마을

농도

(pp

b)

1997 1998 1999 2000

o- 자일렌

0.0

0.3

0.6

0.9

1.2

1.5

묘도동 오림공구 원상암마을 공단중앙 삼일동 남해화학사택 장천동(순천) 남수마을

농도

(pp

b)

1997 1998 1999 2000

<그림 4-28> 계 속

Page 55: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268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2.2 실측자료 조사분석

2.2.1 조사항목

VOCs 측정항목은 오존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오존 전구물질(precursor)과 인

체에 독성이 강한 물질(TO-14)을 포함하여 총 75개 물질이며, VOCs 조사항목은 <

표 4-39>와 같다.

<표 4-39> 측정대상 VOCs 항목

VOCs 물질 조사항목

Propylene Methylcyclopentane 2,2,4-Trimethylpentane

Propane Freon 12 Heptane

Isobutane Methyl chloride Methylcyclohexane

1-Butene Freon 114 2,3,4-Trimethylpentane

Butane Vinyl chloride Carbon tetrachloride

trans-2-Butene Methyl bromide 1,2-Dichloropropane

cis 2-Butene Ethylchloride Trichloroethylene

3-Methyl-1-butene Freon 11 cis-1,3-Dichloropropene

Isopentane 1,1-Dichlororoethene trans-1,3-Dichloropropene

1-Pentene m,p-Xylene 1,1,2-Trichloroethane

Pentane Styrene Toluene

Isoprene o-Xylene 2-Methylpentane

trans-2-Pentene p-Dichlorobenzene 3-Methylpentane

cis-2-Pentene Dichloromethane Octane

2-Methyl-2-butene Freon 113 1,2-Dibromoethane

2,2-Dimethylbutane 1,1-Dichloroethane Tetrachloroethylene

Cyclopentene cis-1,2-Dichloroethylene Chlorobenzene

4-Methyl-1-pentene Chloroform Ethylbenzene

Cyclopentane 1,2-Dichloroethane Nonane

2-Methylpentane Methyl chloroform Isopropylbenzene

3-Methylpentane Benzene a-Pinene

2-Methyl-1-pentene Cyclohexane n-Propylbenzene

n-Hexane 2-Methylhexane 1,3,5-Trimethylbenzene

cis-2-Hexene 2,3-Dimethylpentane 1,2,4-Trimethylbenzene

trans-2-Hexene 3-Methylhexane m-Dichlorobenzene

Page 56: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269

2.2.2 조사지점 및 범위

VOCs 물질 조사지점은 광양만권에 대해 그간 여러 연구기관(국립환경연구원,

KIST 등)에서 조사하였던 지점을 포함하여, 광양만권내의 VOCs 농도를 대표할 수

있는 일반지역 8개 지점을 선정하여 분기별로 4차에 걸쳐 측정하였다. 특히, 여름철

인 하계에는 일반지역 8개 지점은 3차례에 걸쳐 집중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대기 중

VOCs 농도가 높게 측정되는 사업장 18개 지점과 공단 인근의 3개 지점을 추가로

선정하여 사업장 부지경계지역과 내부지역의 VOCs 농도를 실측하였다. 다음과 같

이 VOCs 측정지점별 위치는 <표 4-40>, 조사지점도는 <그림 4-29>, 현장 시료채

취 사진은 <그림 4-30>이다.

Page 57: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270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표 4-40> VOCs 측정지점별 위치

항 목 측정지점 측정지명 용 도 비고

VOCs

V - 1 광양시 금호동 광양사업소 공업지역 상시

V - 2 광양시 태인동 조선내화 〃 추가

V - 3 광양시 태인동 태인동사무소 주거지역 상시

V - 4 광양시 금호동 광양제철소 공업지역 추가

V - 5 광양시 중마동 중마동사무소 주거지역 상시

V - 6 광양시 황길동 골약초등학교 〃 추가

V - 7 광양시 초남동 (주)지엔 공업지역 〃

V - 8 순천시 장천동 순천시청 상업지역 상시

V - 9 순천시 해룡면 신성리(충무사) 주거지역 추가

V -10 여수시 화치동 LG화학(주) 공업지역 〃

V -11 여수시 월하동 화인케미칼(주) 〃 〃

V -12 여수시 화치동 금호미쓰이(주) 〃 〃

V -13 여수시 평여동 금호석유화학(주) 〃 〃

V -14 여수시 평여동 (주)제일모직 〃 〃

V -15 여수시 평여동 한화석유화학(주) 본관 〃 〃

V -16 여수시 평여동 한화석유화학(주) 별관 〃 〃

V -17 여수시 중흥동 서남지역관리공단 〃 〃

V -18 여수시 삼일동 공해추방협의회 주거지역 상시

V -19 여수시 중흥동 호남석유화학(주) 공업지역 추가

V -20 여수시 월내동 LG정유(주) 〃 〃

V -21 여수시 월내동 환경시설공사 〃 상시

V -22 여수시 묘도동 묘도동사무소 주거지역 상시

V -23 여수시 낙포동 부두 공업지역 추가

V -24 여수시 낙포동 남해화학(주) 〃 〃

V -25 여수시 상암동 상암초등학교 주거지역 상시

V -26 여수시 평여동 YNCC(주) 공업지역 추가

V -27 여수시 월내동 와이엔텍(주) 〃 〃

V -28 여수시 낙포동 재원산업(주) 〃 〃

V -29 여수시 월내동 삼남석유화학(주) 〃 〃

Page 58: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271

광 양 시(KWANGYANG-CITY)

묘 도(MYODO)

광 양 제 철 소 (POSCO)

남 해 도(NAMHAE-DO)

여 수 국 가 산 단(YEOSU INDUSTRIAL COMPLEX)

여 수 시(YEOSU-CITY)

V-2V-5

V-6

V-8

V-1

V-9

V-3

V-4

V-7

V-25

V-23V-24V-21

V-22

V-20

V-18

V-17

V-19

V-13V-12

V-10V-15

V-11V-16

V-14

<그림 4-29> VOCs 조사지점도

<그림 4-30> 현장 시료채취 사진

Page 59: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272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그림 4-30> 계 속

Page 60: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273

2.2.3 측정 및 분석방법

1) 측정방법

VOCs 측정에 사용된 캐니스터(canister)는 미국 Restek 사의 silicocan으로서

용량은 6ℓ이며, 재질은 SS이고, 내면과 밸브는 VOCs 물질의 흡착을 방지하기 위

해 비활성 silica로 코팅되어 있다. 시료채취는 주로 날씨가 맑은 날에 하였고, 날씨

가 흐리거나 비가 올 경우에는 시료채취를 중단하였다. 시료채취 시간은 일반 대기

중 시료는 3시간, 사업장내 공장 내부는 1시간 정도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그림 4-31> VOCs 시료채취 장치

2) 분석방법

가) 표준가스(standard gas)

U.S. EPA에서는 GC/MSD의 검량선 작성을 위하여 1~2 ppm으로 유통되는 표

준가스를 1~100 ppb의 표준농도로 희석하는 것을 인정하고 있다. 본 실험에 사용

된 표준가스는 희석 배율을 낮춰서 보다 정확한 농도를 얻고자 TO-14 물질은

Supelco사의 표준가스 100 ppb를 이용하였고, 오존 전구물질은 Matheson 사의 표

준가스 1 ppm을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혼합 표준가스에 함유된 VOCs에 대한

GC/MSD 크로마토그램은 <그림 4-32>에 나타냈다.

Page 61: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274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그림 4-32> SIM 모드로 분석된 GC/MSD 크로마토그램

나) 분석장비

VOCs 물질 분석에는 전처리장치 (preconcentrator)가 연결된 GC/MSD를 이용

하여 분석하였으며, GC/MSD 분석조건 및 분석장치는 <표 4-41>, <그림 4-33>과

같다.

<표 4-41> GC/MSD의 분석조건

구 분 장치 및 분석조건

Preconcentrator

Entech, 7100 ․Module 1 : Tenex & Glass bead trap (cryo : -150℃, dsorb : 20℃) ․Module 2 : Tenex Trap (cryo : -10℃, dsorb : 180℃) ․Forcuser : (cryo : -160℃, dsorb : 80℃)

Diluter Entech, 4600

Cleaning System Entech, 3100

GC/MSD

HP-6890 / HP-5973N ․Column : SPB-1 capillary column(100m×0.32㎜×5㎛) ․Column temp : 40℃(5min)→70℃(5min)→150℃(5min) →200℃(5min)→220℃(5min) ․Ramp rate : 5℃/min to 200℃, 10℃/min to 220℃ ․Column flow : 1㎖/min ․MS ion source temp : 230℃ ․MS scan range : 20 ~ 450 amu

Page 62: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275

<그림 4-33> VOCs 분석장치(GC/MSD)

2.2.4 VOCs 조사결과

1) 광양만권 일반대기 중의 VOCs 농도

<표 4-42>는 본 조사에서 2001년 가을부터 2002년 여름까지 실시한 광양만권

의 일반대기 중의 8개 지점에서 분기별(4차)로 실측한 자료로서, 조사한 75개 물질

의 총 VOCs 농도를 나타낸 것이다.

<표 4-42>에서와 같이 전반적으로 광양만권의 각 지점에서 연간 대기 중에 거

동하는 총 VOCs 량은 100 ppb 이하 였으며, V-22 지점에서 22.57 ppb 으로서 가

장 낮은 농도로 조사되었다. 한편 가장 높은 지점은 V-21 지점으로서 연 평균

95.72 ppb 이며, V-18, V-25, V-8 지점 순으로 높은 농도를 나타냈다. V-21, V-18,

V-25 측정지점은 석유화학 단지인 여수산단내에 위치한 지점이며, V-8 지점은 교

통량이 많은 순천시내에 위치하는 지점으로, 이들 지점들은 그 농도의 변화폭도 크

고 높음을 알 수 있다.

Page 63: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276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표 4-42> 광양만권의 일반 대기 중 VOCs 연평균 농도 (단위 :ppb)

지점

계절V-1 V-3 V-5 V-8 V-18 V-21 V-22 V-25

1 차 13.95 21.13 33.85 18.54 92.85 44.48 19.52 22.39

2 차 12.20 22.48 21.02 12.97 26.87 260.06 6.23 9.50

3 차 62.61 80.12 94.52 138.57 50.09 42.58 36.38 40.56

4 차 29.59 19.27 38.57 46.71 147.17 35.75 28.13 242.32

평 균 29.59 35.75 46.99 54.20 79.25 95.72 22.57 78.69

0

50

100

150

200

250

300

농도

(ppb)

V -1 V -3 V -5 V -8 V -18 V -21 V -22 V -25

측 정 지 점

가 을 겨 울 봄 여 름 평 균

<그림 4-34> 광양만권의 일반 대기 중 VOCs 연평균 농도

2] 광양만권 사업장내․외의 VOCs 농도

아래의 <표 4-43>는 광양만권 사업장 부지경계선 및 내부 지점의 VOCs 농도

를 나타낸 것이다. 사업장의 VOCs 농도 조사는 주로 석유화학 관련 사업장을 대상

으로 주변지역은 부지경계선에서, 내부는 사업장 본부건물 앞측에서 측정하였다. 사

업장 내부의 VOCs 농도 현황을 보면, 가장 높이 측정된 지점은 V-20 지점이며, 그

다음으로 V-11, V-29, V-14 지점 순으로 나타났다. 부지경계선에서는 VOCs 농도

가 가장 높이 관측된 지점은 V-11 지점이며, V-29, V-20, V-19 지점 순으로 조사

되었다. 전체적으로 볼 때, 사업장 내부의 평균 VOCs 농도는 143.24 ppb 으로서 부

지경계선의 96.03 ppb 보다 다소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Page 64: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277

<표 4-43> 광양만권 사업장 부지경계 및 내부지점의 VOCs 농도 측정결과 (단위 : ppb)

사업장명 부지경계선 사업장 내부 평 균

V - 4 50.91 45.77 48.34

V - 11 154.11 258.28 206.19

V - 12 68.76 105.79 87.28

V - 13 86.28 120.67 103.47

V - 14 56.71 122.63 89.67

V - 15 63.06 68.09 65.58

V - 19 111.06 63.57 87.31

V - 20 142.66 337.09 239.88

V - 27 82.89 71.97 77.43

V - 29 143.88 238.51 191.19

평 균 96.03 143.24 119.64

<그림 4-34> ~ <그림 4-35>는 일반대기와 사업장의 평균 총 VOCs 농도를

나타낸 그림이다. 사업장과 일반대기 중의 총 VOCs 평균농도를 비교하면, 사업장

이 482.80 ppb 으로 일반대기 중의 평균농도인 55.34 ppb 보다 약 9배 높게 관측되

었다. 또한 사업장 지역에서 높은 VOCs 농도를 나타낸 지점과 일반지역에서 높은

농도를 나타낸 지점이 같은 지점내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볼 때, 사업장에서 배

출되는 VOCs 물질이 일반대기 중의 VOCs농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

다.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농도

(ppb

)

V -4 V -11 V -12 V -13 V -14 V -15 V -19 V -20 V -27 V -29

부 지 경 계 선 사 업 장 내 부

<그림 4-35> 광양만권 사업장 부지경계 및 내부지점의 VOCs 농도

Page 65: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278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 광양만권 일반대기 중의 VOCs 성분별 농도 현황

아래의 <표 4-44>, <부록 A-1>~<부록 A-3>에 광양만권 일반대기 중에서

조사한 1차(2001년 추계)~4차(2002년 하계) 기간동안의 농도를 나타낸 것이며, <부

록 A-4>에는 4차(여름철) 기간동안 3차례에 걸쳐 집중조사한 자료를 나타내었다.

<표 4-44>에서와 같이 2001년 가을철(1차)에 조사된 VOCs 농도를 보면, 가장 높

은 농도로 조사된 지점은 V-18 지점으로 92.85 ppb 였으며, 물질별로는 프로판 성

분이 40.42 ppb으로 가장 높았으며, 이소펜탄 성분은 36.41 ppb를 나타냈다. 또한

조사대상 지점(8개)에서 전체적으로 VOCs 물질 중 성분별 농도로는 이소펜탄 성분

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프로판, 벤젠, 톨루엔 성분들 또한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2001년 겨울철(2차) 조사에서는 V-21 지점이 가장 높은 260.06 ppb의 VOCs

농도를 보였으며, 물질별로는 1,2-디클로로에탄 성분이 177.48 ppb를 차지하고 있었

다. V-21 지점은 여수산단내의 폐수처리를 위탁관리하는 사업장이다. 1,2-디클로로

에탄 성분은 모두 인간의 활동에 의해 만들어지며, 전구적인 배경농도는 북위 40°에

서 약 40 ppt 정도이다. 이 성분은 납을 함유한 가솔린의 첨가제로 사용되며, 화학

물질 제조의 중간체로서 사용된다. 가장 큰 사용처는 용매제로서 에틸렌클로라이드

를 사용하는 것으로서 조경과 건축의 경우에는 나무좀을 막기 위하여 살충제로도

사용하고 있다. 또한 이 성분은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 발암물질로 분류하고 있기

도 하다(CARB, 1991). 2차 조사시 전체적으로 VOCs 물질 중 1,2-디클로로에탄(평

균 22.21 ppb) 성분이 가장 높은 농도를 보이고 있었으며, 비닐클로라이드(4.44

ppb), 이소펜탄(2.83 ppb) 성분들도 높은 비율을 보였다.

2002년 봄철(3차) 조사에서는 V-8 지점에서 가장 높은 138.57 ppb의 VOCs 농

도를 보였다. 물질별로는 프로판(27.85 ppb) 성분이 높았으며, 1-부텐(13.11 ppb), 프

로필렌(3.58 ppb), 옥탄(3.53 ppb) 성분 순을 보였다. 또한 2002년 여름철(4차) 조사

에서는 V-25 지점에서 242.32 ppb으로 가장 높았고, 물질별로는 프로판(16.27 ppb),

펜탄(8.26 ppb), 부탄(6.27 ppb), 이소부탄(6.22 ppb), 1-부텐(6.03 ppb), 이소펜탄

(5.36 ppb) 성분 순으로 높은 농도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Page 66: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279

<표 4-44> 광양만권 일반 대기 중의 VOCs 농도(2001년 추계, 1차) (단위 : ppb)

Site

VOCsV-1 V-3 V-5 V-8 V-18 V-21 V-22 V-25 최대 최소 평균

ethane 1.26 1.81 5.93 0.66 0.99 1.21 0.91 1.94 5.93 0.66 1.84

propylene 0.03 0.08 0.19 ND 0.71 0.14 0.02 0.23 0.71 0.02 0.18

propane 0.46 0.79 3.46 1.77 40.42 0.40 0.41 1.78 40.42 0.40 6.19

isobutane 0.11 0.29 1.00 0.54 3.95 0.15 0.13 0.16 3.95 0.11 0.79

1-butene 0.12 0.20 0.34 1.37 1.47 0.13 0.85 0.40 1.47 0.12 0.61

butane 0.20 0.58 1.58 0.43 3.26 0.30 0.27 0.36 3.26 0.20 0.84

trans 2-butene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cis 2-butene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3-methyl-1-butene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isopentane 9.89 9.99 18.25 3.22 36.41 8.30 14.90 14.18 36.41 8.30 14.39

1-pentene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pentane ND 0.26 0.21 0.06 0.19 0.17 0.07 0.21 0.26 ND 0.15

isoprene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trans 2-pentene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cis-2-pentene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2-methyl-2-butene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2,2-dimethylbutane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cyclopentene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4-methylpentane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2,3-dimethylbutane 0.06 0.25 0.12 0.25 0.19 0.45 0.09 0.20 0.45 0.06 0.20

2-methylpentane 0.06 0.15 0.08 0.18 0.21 0.08 0.09 0.07 0.21 0.06 0.12

3-methylpentane ND 0.10 0.03 0.10 0.02 0.04 ND 0.03 0.10 ND 0.04

2-methyl-1-pentene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hexane 0.04 0.26 0.07 0.21 0.12 0.17 0.04 0.10 0.26 0.04 0.13

c-2-hexene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t-2-hexene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methylcyclopentane ND 0.11 0.03 0.10 0.02 0.08 ND 0.02 0.11 ND 0.05

2,4-dimethylpentane ND 0.02 ND ND 0.02 ND ND ND 0.02 ND 0.001

Freon 12 0.15 0.15 0.15 0.15 0.15 0.14 0.15 0.16 0.16 0.15 0.15

Methyl chloride 0.34 0.34 0.35 0.38 0.34 0.55 0.34 0.37 0.55 0.34 0.38

Freon 114 0.03 0.03 0.03 0.02 0.03 0.02 0.03 0.03 0.03 0.02 0.03

Vinyl chloride ND ND ND ND 0.22 8.62 0.01 0.03 8.62 ND 1.11

Methyl bromide 0.03 0.02 0.02 0.02 0.01 0.02 0.03 ND 0.03 ND 0.02

Freon 11 0.21 0.20 0.20 0.19 0.21 0.19 0.22 0.24 0.24 0.19 0.21

1,1-Dichloroethene 0.01 0.01 0.01 0.01 0.02 0.01 0.01 0.01 0.02 0.01 0.01

Dichloromethane 0.07 0.06 0.07 0.08 0.09 0.63 0.05 0.07 0.63 0.05 0.14

Freon 113 0.06 0.06 0.06 0.05 0.07 0.06 0.07 0.08 0.08 0.06 0.06

1,1-Dichloroethane ND 0.01 0.01 0.01 0.02 0.07 ND ND 0.07 ND ND

Page 67: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280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표 4-44> (계 속) (단위 : ppb)

Site

VOCs V-1 V-3 V-5 V-8 V-18 V-21 V-22 V-25 최대 최소 평균

cis-1,2-Dichloroethylene ND ND ND ND ND 0.01 ND ND 0.01 ND ND

Chloroform 0.04 0.03 0.03 0.04 0.06 0.19 0.03 0.04 0.19 0.03 0.02

1,2-Dichloroethane 0.03 0.02 0.02 0.03 0.83 0.34 0.02 0.05 0.83 0.02 0.17

Methyl chloroform 0.16 0.14 0.15 0.04 0.19 0.09 0.18 0.20 0.20 0.04 0.14

Benzene 0.10 0.48 0.20 0.83 0.44 13.24 0.10 0.13 13.24 0.10 1.94

cyclohexane ND 0.04 ND 0.02 ND 0.05 ND ND 0.05 ND 0.01

2-methylhexane ND 0.03 0.02 0.06 ND 0.03 ND ND 0.03 ND 0.02

2,3-dimethylpentane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3-methylhexane ND 0.04 0.03 0.08 ND ND ND ND 0.08 ND 0.02

2,2,4-trimethylpentane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heptane ND 0.04 ND 0.05 ND ND ND ND 0.05 ND 0.01

methylcyclohexane ND 0.02 ND 0.02 ND ND ND ND 0.02 ND 0.01

2,3,4-trimethylpentane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carbon tetrachloride 0.11 0.10 0.11 0.07 0.12 0.08 0.12 0.12 0.12 0.07 0.10

1,2-Dichloropropane 0.02 0.03 0.02 ND 0.02 0.02 0.02 0.02 0.03 ND 0.02

Trichloroethylene 0.07 0.07 0.06 0.06 0.04 0.03 0.04 0.05 0.07 0.03 0.05

Cis-1,3-Dichloropropene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trans-1,3-Dichloropropen

e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1,1,2-Trichloroethane ND ND ND ND 0.07 0.06 ND 0.07 0.07 ND 0.02

Toluene 0.18 1.06 0.63 2.53 0.93 2.88 0.13 0.12 2.88 0.12 1.06

2-methylpentane ND - ND - ND ND ND ND ND ND ND

3-methylpentane ND - ND - ND ND ND ND ND ND ND

octane ND 0.03 ND 0.02 ND ND ND ND 0.03 ND 0.01

1,2-Dibromoethane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Tetrachloroethylene 0.03 0.04 0.03 0.02 0.03 0.02 0.04 0.03 0.04 0.02 0.03

Chlorobenzene 0.02 0.14 0.02 ND 0.02 0.01 0.02 0.02 0.02 ND 0.03

Ethylbenzene 0.02 0.23 0.06 1.12 0.55 0.24 0.02 0.02 0.55 0.02 0.28

m,p-xylene 0.02 0.39 0.08 1.57 0.18 2.44 0.02 0.02 2.44 0.02 0.59

Styrene ND 0.01 0.01 0.04 0.05 0.01 0.01 0.01 0.05 ND 0.02

o-xylene 0.02 0.45 0.06 1.03 0.09 1.82 0.02 0.03 1.82 0.02 0.44

nonane ND 0.03 0.01 0.02 0.04 0.03 0.01 0.01 0.04 ND 0.02

isopropylbenzene ND ND ND ND ND 0.02 ND ND 0.02 ND 0.003

n-propylbenzene ND 0.01 ND 0.01 0.01 0.02 ND ND 0.02 ND 0.01

1,3,5-Trimethylbenzene ND 0.62 0.04 0.26 0.02 0.15 0.02 0.02 0.62 ND 0.14

1,2,4-Trimethylbenzene ND 1.29 0.08 0.82 0.02 0.37 0.03 0.02 1.29 ND 0.33

m-Dichlorobenzene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o-Dichlorobenzene ND 0.02 ND ND ND 0.40 ND 0.02 0.40 ND 0.06

p-Dichlorobenzene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Hexachlorobutadiene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Page 68: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281

<표 4-45>는 VOCs 물질 중 오존생성능력(POCP)이 있는 물질을 나타낸 표로

서, 에틸렌의 POCP(Photochemical ozone creation potentials) 능력을 100으로 하였

을 때 각 물질들의 POCP 생성 정도를 상대적으로 환산한 것이다. 본 조사에서는

측정 가능한 다양한 물질 중 오존을 생성시킬 수 있는 즉, POCP 능력으로 볼 때

에틸렌과 비교하여 높거나 비슷한 프로필렌, 1-부텐, t-2-부텐, c-2-부텐, 메틸사이

클로헥산과 m,p-자일렌, 1,2,4-TMB, 1,3,5-TMB 성분과 다른 관점으로는 인체 발암

성이 강한 벤젠과 톨루엔, 에틸벤젠, 스티렌, o-자일렌 성분들을 대상으로 살펴보았

다.

<표 4-46>과 <그림 4-36>은 본 조사에서 실시한 2001년 가을(1차)부터 2002

년 여름(2차)까지 분기별로 광양만권 일반대기 중에 거동하는 POCP 값을 갖는

VOCs 농도를 나타낸 것이다.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반적으로 각 지역에서 연간

거동하는 VOCs 농도는 조사지점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20.32~72.65 ppb 범위로

조사되었다. 가장 높은 VOCs 농도를 보인 지역은 V-18 지점으로 연 평균 72.65

ppb 였으며, 다음으로 V-25, V-8, V-5 지점 순으로 나타났다. 특이한 점은 V-21

지점에서 전체 VOCs 농도로는 가장 높았으나 POCP 값을 갖는 VOCs 농도는

31.89 ppb로서 조사대상 8개 지점 중 6번째의 비율를 차지하고 있었다. 이러한 이유

는 V-21지점에서 거동하는 VOCs 물질은 POCP에 해당하는 성분보다는 TO-14 물

질에 속하는 VOCs 성분비율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각 조사지점별에 대한 POCP 물질의 측정결과는 <부록 A-5>와 같다. <그림

4-37>은 조사지점에 대한 주요 VOCs(POCP) 물질의 농도 경향을 나타낸 것으로

서, POCP 능력이 에틸렌(100)을 기준으로 105인 프로필렌 성분은 V-18 지역이 다

른 지역에 비해 V-18 지역에서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다른 지역은 낮은 농도로서

비슷한 경향을 보이고 있었고, 계절별로는 봄철(3차)에 높은 농도를 보였다.

POCP 능력이 95인 1-부텐 성분은 V-8 지점에서 연평균 12.43 ppb로서 가장

높게 조사되었고, 그 다음으로 V-18(12.36 ppb), V-5(7.26 ppb), V-1(3.55 ppb) 순

으로 나타났다. 이 성분 또한 계절별로는 역시 봄철(3차)에 가장 높았으며, 특이한

점으로는 V-18 지점에서 4차 조사 때인 여름철에 40.83 ppb로 매우 높은 농도를

보였다. POCP 능력이 100인 t-2-부텐 성분 또한 V-8 지점에서 연평균 농도가 2.12

ppb로서 가장 높았고, 계절별에 있어서도 봄철(3차)에 높은 농도로 조사되었다.

Page 69: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282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표 4-45> VOCs 물질 중의 POCP 값

Compounds POCP1) Compounds POCP

Ethylene 100 2,2,4-Trimethylpeatane N.A.2)

Acethylene 15 n-Heptane 55

Ethane 10 Methylcyclohexane 356

Propylene 105 2,3,4-Trimethylpentane N.A.

Propane 40 Toluene 55

i-Butane 30 2-Methylheptane 45

1-Butene 95 3-Methylheptane 40

n-Butane 40 n-Octane 50

trans-2-Butane 100 Ethylbenzene 60

cis-2-Butene 100 m-Xylene 100

1,3-Butadiene 105 p-Xylene 90

i-Pentane 30 Styrene N.A.

1-Pentene 70 o-Xylene 65

n-Pentene 40 n-Nonane 45

Isoprene 100 i-Propylbenzene 55

Trans-2-Pentene 95 n-Propylbenzene 50

cis-2-Pentene 95 m-Ethyltoluene 80

Cyclopentane 50 p-Ethyltoluene 75

2,3-Dimethylbutane 40 1,3,5-Trimethylbenzene 115

2-Methylpentane 50 o-Ethyltoluene 65

3-Methylpentane 45 1,2,4-Trimethylbenzene 120

1-Hexene 50 n-Decane 45

n-Hexene 40 1,2,3-Trimethylbenzene 115

Methylcyclopentane 50 m-Diethylbenzene 65

2,4-Dimethylpentane 55 p-Diethylbenzene 65

Benzene 20 n-Undecane 45

Cyclohexane 25 n-Dodecane 40

2-Methylhexane 50 Total NMOC

2,3-Dimethylpentane 50 PAM HC

3-Methylhexane 50 2,2-Dimethylbutane 25

1) POCP data were taken from Derwent and Jenkin(1991)

2) N.A. : Data not available

Page 70: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283

<표 4-46> 각 조사지점별에 대한 계절별 VOCs(POCP) 농도 (단위 : ppb)

지점

계절V-1 V-3 V-5 V-8 V-18 V-21 V-22 V-25

1 차 11.27 17.59 26.51 16.50 89.20 31.54 17.19 18.02

2 차 7.52 16.83 12.69 8.97 22.67 25.89 3.62 6.03

3 차 59.45 76.49 92.37 136.58 46.87 39.59 34.30 38.84

4 차 26.95 17.13 36.21 43.86 131.87 30.55 26.19 219.70

평 균 26.30 32.01 41.95 51.48 72.65 31.89 20.32 70.65

0

50

100

150

200

250

농도

(ppb)

V -1 V -3 V -5 V -8 V -18 V -21 V -22 V -25

측 정 지 점

가 을 겨 울 봄 여 름 평 균

<그림 4-36> 각 조사지점별에 대한 계절별 VOCs(POCP) 농도

역시 POCP 능력이 100인 c-2-부텐은 t-2-부텐 성분과 같이 V-8지점에서 가

장 높은 농도로 조사되었으며, 봄철(3차)에 가장 높았다. POCP 능력이 356인 메틸

사이클로헥산은 조사지점 전 지역에서 비슷한 농도 였으며, 측정지점 모두 0.2 ppb

이하의 저농도로 나타났다. POCP 능력이 각각 100, 90인 m,p-자일렌 성분은 V-21

지점에서 연 평균 농도가 1.78 ppb으로 가장 높았고, 다른 지점들은 연평균 농도가

0.7 ppb 이하로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POCP 능력이 115, 120인 1,3,5-트리메틸

벤젠, 1,2,4-트리메틸벤젠 성분은 계절에 관계 없이 모두 0.5 ppb 이하의 낮은 농도

로 조사되었다.

Page 71: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284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0

2

4

6

8

1 0

1 2

1 4

농도

(ppb)

V - 1 V-3 V-5 V-8 V-1 8 V-2 1 V-2 2 V-2 5

측 정 지 점

P ro py le n e

1 차 2 차 3 차 4 차 평 균

0

1 0

2 0

3 0

4 0

5 0

농도

(ppb

)

V - 1 V-3 V-5 V-8 V-1 8 V-2 1 V-2 2 V-2 5

측 정 지 점

1 -B u te n e

1 차 2 차 3 차 4 차 평 균

0 .01 .02 .03 .04 .05 .06 .07 .08 .0

농도

(ppb)

V -1 V-3 V-5 V-8 V-1 8 V-2 1 V-2 2 V-2 5

측 정 지 점

tran s-2 -B u te n e

1 차 2 차 3 차 4 차 평 균

<그림 4-37> 각 조사지점별 주요 VOCs(POCP) 농도

Page 72: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285

0 .0

1 .0

2 .0

3 .0

4 .0

5 .0

6 .0농

도(p

pb)

V -1 V-3 V-5 V-8 V-1 8 V-2 1 V-2 2 V-2 5

측 정 지 점

c is-2 -B u te n e

1 차 2 차 3 차 4 차 평 균

0 .0

0 .2

0 .4

0 .6

0 .8

농도

(ppb

)

V -1 V-3 V-5 V-8 V-1 8 V-2 1 V-2 2 V-2 5

측 정 지 점

M e th y lc y c lo h e x an e

1 차 2 차 3 차 4 차 평 균

0 .0

1 .0

2 .0

3 .0

4 .0

5 .0

농도

(ppb)

V -1 V-3 V-5 V-8 V-1 8 V-2 1 V-2 2 V-2 5

측 정 지 점

m,p-X y le n e

1 차 2 차 3 차 4 차 평 균

<그림 4-37> 계 속

Page 73: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286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0 .0

0 .1

0 .2

0 .3

0 .4

0 .5

0 .6

0 .7농

도(p

pb)

V -1 V-3 V-5 V-8 V-1 8 V-2 1 V-2 2 V-2 5

측 정 지 점

1 ,3 ,5 -TM B

1 차 2 차 3 차 4 차 평 균

0 .0

0 .2

0 .4

0 .6

0 .8

1 .0

1 .2

1 .4

농도

(ppb)

V -1 V-3 V-5 V-8 V-1 8 V-2 1 V-2 2 V-2 5

측 정 지 점

1 ,2 ,4 -TM B

1 차 2 차 3 차 4 차 평 균

<그림 4-37> 계 속

<그림 4-38>은 VOCs 물질중 독성이 강한 물질을 나타낸 것이다. 벤젠 성분은

V-21 지점에서 가장 높은 연평균 농도 4.95 ppb를 나타냈으며, 다음으로는 V-18

지점으로 3.25 ppb를 나타냈고, 다른 조사지점에서는 0.39~1.88 ppb 범위를 보였다.

벤젠은 인체에 대한 발암성이 가장 높을 뿐만 아니라, 중추 신경 쇠약 및 피부자극

을 유발하는 물질로 알려져 있고(WHO, 1987), 그 배출원은 도심의 경우 주로 자동

차 배출가스, 가솔린 증발 등의 형태이고, 공단은 석유정제 및 석유화학 공장 등의

저장탱크나 밸브, 플랜지 등에서 비산 배출의 형태이다.(Schaich, 1991). 또한 국내

의 경우 아직 벤젠에 대한 기준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으나, 외국에서는 대기환경기

준치를 설정하여 규제하고 있다. 영국의 경우 일반대기 중 벤젠 농도를 1994년 5

ppb로 설정한 이후 2001년부터 1 ppb로 강화하였고, 일본에서는 1997년에 3㎍/㎥

Page 74: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287

(약 0.9 ppb)으로 대기환경기준을 설정한 바 있다. V-21 지점과 V-18 지점에서 벤

젠 성분이 높게 관측되고 있는데, 이 지점들은 석유화학 산업단지내에 위치하고 있

기 때문에 산업에 의한 영향으로 보여진다. 또한 광양만권 대기 중에 거동하는 벤

젠 성분의 연평균 농도 수준을 영국 및 일본의 기준과 비교해 볼 때, V-3, V-18,

V-21, V-25 지점 모두 초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톨루엔 성분은 벤젠과 같

이 독성이 강하지는 않으나 사업장 등과 같은 환경에서 고농도로 노출되면 눈, 목,

기도 및 피부 자극현상과 함께 뇌파이상으로 신경장애가 올 수 있다, 또한 톨루엔

성분은 주 배출원이 벤젠과 마찬가지로 자동차 배출가스, 연소, 석유정제 및 석유화

학 공장 등에서 저장탱크나 밸브, 플랜지 등에서 비산배출의 형태이다.(Schaich,

1991). 본 조사지점에서 톨루엔 성분 농도는 V-18 지점에서 연평균 농도가 2.18

ppb로서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고, V-21, V-8 지점에서 각각 1.84, 1.82 ppb로 나타

났다. 에틸벤젠 성분은 직접적인 발암성은 없으며, 에틸벤젠과 스티렌 제조공정 및

유기용제로 사용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며, 석유정제, 휘발유의 사용으로 인한 휘발과

연소시에 발생되는 배출가스, 주유소의 휘발유에 의한 휘발 및 누출, 저유지에서의

보관 및 수송하는 동안의 휘발 및 누출, 자동차의 배기가스, 담배연기 등에서도 발

생한다. 본 조사 지점에서 에틸벤젠 성분 농도는 V-21 지점에서 가장 높게 조사되

었으나 이는 연평균 농도로 볼 때 0.44 ppb로서 상당히 낮은 수치이며, 그 밖의 다

른 지점들도 모두 낮은 농도로 거동하고 있었다. 국내에서 악취규제 물질이기도 한

스티렌과 태아독성과 임신 독성을 나타내는 o-자일렌 성분은 본 조사지점에서 모두

0.2 ppb 이하의 낮은 농도 수준으로 조사되었다.

0 .0

2 .0

4 .0

6 .0

8 .0

1 0 .0

1 2 .0

1 4 .0

농도

(ppb)

V -1 V-3 V-5 V-8 V-1 8 V-2 1 V-2 2 V-2 5

측 정 지 점

B e n z e n e

1 차 2 차 3 차 4 차 평 균

<그림 4-38> 각 조사지점별 주요 VOCs(TO-14) 농도

Page 75: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288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0 .0

1 .0

2 .0

3 .0

4 .0

5 .0

6 .0농

도(p

pb)

V -1 V-3 V-5 V-8 V-1 8 V-2 1 V-2 2 V-2 5

측 정 지 점

To lu e n e

1 차 2 차 3 차 4 차 평 균

0 .0

0 .2

0 .4

0 .6

0 .8

1 .0

1 .2

1 .4

농도

(ppb

)

V -1 V-3 V-5 V-8 V-1 8 V-2 1 V-2 2 V-2 5

측 정 지 점

E th y lbe n z e n e

1 차 2 차 3 차 4 차 평 균

0 .0

0 .2

0 .4

0 .6

0 .8

1 .0

농도

(ppb)

V -1 V-3 V-5 V-8 V-1 8 V-2 1 V-2 2 V-2 5

측 정 지 점

S ty re n e

1 차 2 차 3 차 4 차 평 균

<그림 4-38> 계 속

Page 76: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289

0 .0

0 .5

1 .0

1 .5

2 .0농

도(p

pb)

V -1 V-3 V-5 V-8 V-1 8 V-2 1 V-2 2 V-2 5

측 정 지 점

o -X y le n e

1 차 2 차 3 차 4 차 평 균

<그림 4-38> 계 속

4) 광양만권 사업장 주변지역의 VOCs 성분별 농도 현황

<표 4-47>는 광양만권 사업장 주변지역의 VOCs 성분별 농도를 나타낸 것이

다(표에서 누락된 지점들은 <부록 A-7> 참조). 물질별로 살펴보면, VOCs 물질 중

가장 높은 농도로 거동하는 프로판 성분의 평균 농도는 73.22 ppb였으며, 톨루엔

56.77 ppb, 부탄 26.11 ppb, 이소부탄 16.83 ppb, 펜탄 13.85 ppb, 이소펜탄 9.9 ppb

순으로 나타났다. 사업장별로 평균 VOCs 농도를 보면 프로판과 이소부탄, 부탄, 이

소펜탄, 펜탄 성분은 V-28 지점에서, 톨루엔 성분은 V-10 지점에서 가장 높은 농

도를 보였다.

<표 4-48>과 <그림 4-39>는 2002년 여름철에 조사한 VOCs(POCP) 농도를

나타낸 것이다.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반적으로 사업장의 각 지점에서 연평균

거동하는 총 VOCs(POCP) 농도는 90.94 ppb으로 조사되었다. 사업장의 총 VOCs

농도와 마찬가지로 총 VOCs(POCP) 농도 역시, 가장 높은 지역은 V-20 지점으로

서 231.21 ppb 였으며, V-11(192.46 ppb), V-29(182.39 ppb), V-12(82.17 ppb),

V-14(81.95 ppb), V-19(81.01 ppb) 순으로 조사되었다.

Page 77: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290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표 4-47> 광양만권 사업장 주변지역의 VOCs 측정결과(V-4 ~ V-12) (단위 : ppb )

Site

VOCs

V-4 V-7 V-10 V-11 V-12

부지경계 내부 부지경계 내부 부지경계 내부 부지경계 내부 부지경계 내부

Propylene 0.60 0.51 0.51 0.24 4.01 3.41 9.64 39.98 0.32 0.27

Propane 12.63 13.58 106.22 40.21 111.98 15.01 16.66 42.11 3.88 5.08

Isobutane 2.26 2.20 8.87 4.12 19.63 1.66 5.22 37.96 3.37 1.27

1-Butene 1.23 1.20 0.63 0.07 5.51 0.94 1.07 8.68 0.72 0.72

Butane 2.43 2.18 20.84 8.46 37.53 0.59 7.65 5.19 4.47 0.42

trans-2-Butene 0.32 ND 0.37 0.30 0.51 0.28 0.34 1.85 0.18 0.17

cis-2-Butene ND ND 0.11 ND 0.11 ND 0.04 0.72 ND ND

3-methyl-1-Butene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Isopentane 0.95 0.81 6.58 2.53 11.90 0.11 0.13 0.29 0.21 0.09

1-Pentene 0.13 0.14 0.16 0.14 0.27 0.13 0.10 0.13 0.13 0.11

Pentane 1.04 0.93 9.09 3.19 18.62 0.18 0.15 0.36 0.33 0.12

Isoprene 0.08 0.08 0.07 0.06 0.19 0.06 0.04 0.05 0.43 0.03

trans-2-Pentene 0.04 ND 0.11 0.05 0.16 0.02 0.03 0.04 0.01 ND

cis-2-Pentene 0.17 0.25 0.13 0.17 0.16 0.24 0.11 0.18 0.10 0.11

2-methyl-2-Butene 0.04 ND 0.11 0.05 0.16 0.01 0.03 0.03 0.03 0.02

2,2-Dimethylbutane 0.11 0.11 0.19 0.13 0.36 0.08 0.08 0.09 0.07 0.07

Cyclopentene 0.01 0.01 0.03 0.02 0.04 0.01 0.01 0.01 0.01 0.01

4-methyl-1-Pentene ND ND ND ND ND 0.04 ND ND ND ND

Cyclopentane 0.10 0.10 0.83 0.32 1.83 0.04 0.06 0.10 0.05 0.03

2-Methylpentane 0.21 0.18 1.47 0.53 3.15 0.06 0.37 0.83 0.07 0.05

3-Methylpentane 0.15 0.13 0.94 0.36 1.75 0.06 1.34 2.19 0.03 0.06

2-methyl-1-Pentene 0.16 0.16 ND 0.03 ND 0.06 ND 0.20 ND 0.03

n-Hexane 0.24 0.22 1.80 0.57 4.35 0.10 6.13 9.94 0.12 0.13

cis-2-Hexene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trans-2-Hexene 0.02 0.02 0.05 0.03 0.07 ND ND 0.02 0.01 0.02

Methylcyclopentane 0.08 0.07 0.86 0.31 1.98 0.04 0.77 1.38 0.04 0.04

Freon 12 0.28 0.28 0.31 0.31 0.22 0.21 0.22 0.20 0.22 0.22

Methyl chloride 0.53 0.54 0.56 0.56 0.52 0.52 0.51 0.14 0.49 0.53

Freon 114 0.04 0.04 0.04 0.04 0.03 0.03 0.03 0.03 0.33 0.03

Vinyl chloride 0.60 0.38 0.32 0.13 2.04 19.00 0.19 0.58 0.22 0.16

Methyl bromide 0.03 0.03 0.03 0.03 0.04 0.03 0.05 0.03 0.03 0.03

Ethylchloride 0.02 0.03 0.03 0.03 0.04 0.04 0.04 0.07 0.04 0.04

Freon 11 0.15 0.16 0.16 0.15 0.12 0.12 0.13 0.11 0.11 0.12

1,1-Dichloroethene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Dichloromethane 1.11 1.12 0.64 1.27 2.12 6.73 2.74 2.90 1.41 3.04

Freon 113 0.09 0.09 0.10 0.09 0.08 0.08 0.08 0.08 0.08 0.08

1,1-Dichloroethane 0.02 0.02 0.02 ND 0.01 0.02 0.02 0.02 0.02 0.02

cis-1,2-Dichloroethylene 0.05 0.04 0.12 0.10 0.23 0.05 0.06 0.06 0.05 0.05

Page 78: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291

<표 4-47> 계속(V-4 ~ V-12) (단위 : ppb)

Site

VOCs

V-4 V-7 V-10 V-11 V-12

부지경계 내부 부지경계 내부 부지경계 내부 부지경계 내부 부지경계 내부

Chloroform 0.13 0.45 0.08 0.09 0.08 0.07 0.09 0.07 0.09 0.10

1,2-Dichloroethane 0.18 0.12 0.08 0.07 0.07 0.16 0.09 0.05 0.09 0.09

Methyl chloroform 0.13 0.04 0.05 0.06 0.06 0.04 0.06 0.05 0.03 0.04

Benzene 0.40 0.34 2.19 0.29 0.43 0.61 0.66 1.15 4.70 0.78

Cyclohexane 0.12 0.16 1.06 0.34 3.13 0.03 0.07 0.07 0.07 0.04

2-Methylhexane 0.10 0.11 0.36 0.19 0.78 0.06 0.05 0.07 0.05 0.06

2,3-Dimethylpentane 0.10 0.12 0.16 0.11 0.27 0.07 0.06 0.06 0.06 0.07

3-Methylhexane 0.20 0.25 0.42 0.32 0.80 0.10 0.09 0.11 0.52 0.12

2,2,4-Trimethylpentane 0.01 ND 0.02 0.01 0.04 ND 0.05 ND ND ND

Heptane 0.15 0.16 0.75 0.33 1.52 ND 0.11 0.39 ND ND

Methylcyclohexane 0.05 0.05 0.79 0.32 1.84 0.03 0.03 0.05 0.05 0.03

2,3,4-Trimethylpentane 0.05 ND 0.04 0.04 0.08 0.05 0.06 0.06 0.05 0.05

Carbon tetrachloride 0.13 0.51 0.09 0.11 0.14 0.09 0.08 0.07 0.10 0.11

1,2-Dichloropropane 0.07 0.05 0.03 0.04 0.03 0.03 0.03 0.03 0.03 0.03

Trichloroethylene 0.06 0.05 0.43 0.16 0.06 0.06 0.08 0.05 0.06 0.08

cis-1,3-Dichloropropene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trans-1,3-Dichloropropene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1,1,2-Trichloroethane 0.03 0.03 ND ND 0.03 0.03 0.03 0.02 0.03 0.03

Toluene 20.38 14.07 19.79 18.41 99.87 104.31 95.49 94.09 43.36 88.09

2-Methylpentane 0.03 0.33 0.15 0.09 0.35 0.02 0.02 0.03 0.02 0.02

3-Methylpentane 0.06 ND 0.15 0.10 0.41 ND 0.03 0.04 0.04 0.03

Octane 0.13 0.13 0.39 0.25 0.95 0.07 0.08 0.10 0.06 0.06

1,2-Dibromoethane ND ND ND ND 0.02 ND ND ND ND ND

Tetrachloroethylene 0.04 0.04 0.04 0.04 0.04 0.04 0.05 0.04 0.04 0.04

Chlorobenzene 0.04 0.03 ND 0.04 0.04 0.04 0.04 0.04 0.03 0.04

Ethylbenzene 0.17 0.28 3.54 1.10 0.32 0.28 0.35 0.37 0.17 0.40

m,p-Xylene 0.19 0.37 5.45 1.45 0.36 0.24 0.34 2.89 0.23 0.35

Styrene 0.08 0.07 0.10 0.11 0.23 0.07 0.11 0.11 0.08 0.11

o-Xylene 0.020 0.24 2.71 0.68 0.29 0.18 0.26 0.21 0.20 0.28

Nonane 0.32 0.38 0.42 0.32 1.01 0.22 0.20 0.21 0.17 0.17

Isopropylbenzene 0.07 0.08 0.10 0.09 0.08 0.74 0.08 0.18 0.03 0.09

a-Pinene 0.10 0.13 0.12 0.10 0.59 0.11 0.13 0.12 0.08 0.08

n-Propylbenzene 0.05 0.06 0.11 0.07 0.12 0.03 0.03 0.04 0.03 0.03

1,3,5-Trimethylbenzene 0.23 0.20 0.59 0.37 0.26 0.20 0.24 0.19 0.18 0.25

1,2,4-Trimethylbenzene 0.10 0.10 0.23 0.14 0.09 0.07 0.07 0.06 0.08 0.08

m-Dichlorobenzene 0.12 0.02 0.02 0.02 0.01 0.02 0.01 0.01 0.01 0.02

p-Dichlorobenzene 0.38 0.13 0.35 0.55 0.08 0.39 0.49 0.23 0.20 0.49

o-Dichlorobenzene 0.03 0.05 0.03 0.03 0.04 0.03 0.04 0.02 0.02 0.03

b-Pinene 0.53 1.00 0.48 0.54 0.67 0.50 0.36 0.44 0.21 0.32

Page 79: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292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표 4-47> 계속(V-13 ~ V-20) (단위 : ppb)

Site

VOCs

V-13 V-14 V-15 V-19 V-20

부지경계 내부 부지경계 내부 부지경계 내부 부지경계 내부 부지경계 내부

Propylene 0.26 0.40 0.28 0.79 0.23 0.12 46.84 0.38 7.62 1.40

Propane 6.38 6.29 7.31 14.58 4.87 4.98 6.52 7.22 79.45 181.21

Isobutane 1.74 1.38 1.52 1.60 1.18 1.31 1.76 1.47 6.75 14.90

1-Butene 1.07 1.13 1.15 0.46 0.79 0.57 0.87 1.27 1.77 1.78

Butane 0.62 0.71 0.68 1.22 0.41 0.45 0.93 0.75 6.73 32.02

trans-2-Butene 0.16 0.25 0.17 0.28 0.15 0.12 0.16 ND 1.33 0.74

cis-2-Butene ND ND ND 0.04 ND ND 0.04 ND 0.34 0.23

3-methyl-1-Butene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Isopentane 0.14 0.11 0.15 0.35 0.08 0.07 0.50 0.16 1.25 10.10

1-Pentene 0.13 0.12 0.10 0.71 0.10 0.08 0.12 0.14 0.18 0.24

Pentane 0.15 0.14 0.17 0.29 0.12 0.11 2.61 0.26 1.22 15.60

Isoprene 0.03 0.05 0.06 0.10 0.03 0.03 0.18 0.08 0.06 0.08

trans-2-Pentene 0.03 0.02 0.02 0.04 ND ND 0.03 ND 0.04 0.13

cis-2-Pentene 0.12 0.12 0.11 0.03 0.09 0.08 0.11 0.15 0.19 0.18

2-methyl-2-Butene 0.02 0.02 0.02 0.03 ND 0.02 0.02 ND 0.04 0.13

2,2-Dimethylbutane 0.07 0.08 0.06 0.07 0.07 0.07 0.07 0.07 0.15 0.25

Cyclopentene 0.01 0.01 0.01 0.01 0.01 0.01 0.01 ND 0.02 0.03

4-methyl-1-Pentene 0.05 ND ND ND ND ND ND ND ND ND

Cyclopentane 0.05 0.04 0.04 0.06 0.04 0.04 0.05 0.05 0.14 1.45

2-Methylpentane 0.05 0.05 0.05 0.09 0.04 0.04 0.08 0.06 0.30 2.44

3-Methylpentane 0.04 0.05 0.06 0.10 0.03 0.03 0.07 0.09 0.20 1.49

2-methyl-1-Pentene 0.04 0.03 ND 0.03 0.03 0.02 0.03 0.05 0.07 0.05

n-Hexane 0.08 0.45 0.10 0.17 0.06 0.06 0.12 0.18 0.34 3.04

cis-2-Hexene 0.02 0.03 ND ND ND 0.02 ND ND ND ND

trans-2-Hexene 0.02 0.01 0.02 0.02 0.02 0.02 0.02 0.02 0.03 0.03

Methylcyclopentane 0.03 0.04 0.03 0.05 0.03 0.03 0.06 0.05 0.10 1.53

Freon 12 0.22 0.22 0.24 0.21 0.26 0.22 0.25 0.21 0.32 0.28

Methyl chloride 0.52 0.51 0.50 0.47 0.46 0.46 0.46 0.45 0.76 0.64

Freon 114 0.02 0.04 0.03 0.03 0.04 0.02 0.02 0.03 0.05 0.05

Vinyl chloride 0.15 0.14 0.27 0.28 0.15 0.11 0.27 0.35 0.15 0.14

Methyl bromide 0.04 0.03 0.03 0.03 0.02 0.03 0.03 0.03 0.04 0.03

Ethylchloride 0.03 0.05 0.04 0.04 0.03 0.04 0.03 0.03 0.08 3.25

Freon 11 0.14 0.12 0.11 0.11 0.13 0.13 0.10 0.11 0.13 0.14

1,1-Dichloroethene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Dichloromethane 3.44 44.24 4.97 3.72 1.60 1.37 3.58 2.76 1.92 1.93

Freon 113 0.09 0.08 0.08 0.09 0.08 0.09 0.08 0.08 0.09 0.09

1,1-Dichloroethane 0.02 0.02 0.02 0.02 0.02 0.02 0.08 0.02 0.02 0.02

cis-1,2-Dichloroethylene 0.07 0.05 0.06 0.04 0.05 0.07 0.05 0.05 0.08 0.17

Page 80: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293

<표 4-47> 계속(V-13 ~ V-20) (단위 : ppb)

Site

VOCs

V-13 V-14 V-15 V-19 V-20

부지경계 내부 부지경계 내부 부지경계 내부 부지경계 내부 부지경계 내부

Chloroform 0.08 0.06 0.14 0.15 0.06 0.07 0.08 0.13 0.17 0.17

1,2-Dichloroethane 0.07 0.04 0.12 0.08 0.07 0.07 0.10 0.23 0.09 0.09

Methyl chloroform 0.06 0.03 0.05 0.04 0.05 0.06 0.04 0.04 0.03 0.07

Benzene 0.50 0.27 0.36 4.20 0.22 0.29 0.29 0.32 4.71 14.47

Cyclohexane 0.05 0.05 0.07 0.08 0.11 0.03 2.35 0.14 0.25 2.35

2-Methylhexane 0.05 0.07 0.04 0.05 0.05 0.04 0.58 0.07 0.15 0.58

2,3-Dimethylpentane 0.05 0.12 0.06 0.05 0.06 0.04 0.22 0.07 0.12 0.22

3-Methylhexane 0.06 0.13 0.07 0.08 0.11 0.08 0.62 0.15 0.20 0.62

2,2,4-Trimethylpentane ND ND ND 0.01 ND ND 0.03 3.63 ND 0.03

Heptane ND ND 0.01 0.09 0.07 ND 1.16 0.10 0.17 1.16

Methylcyclohexane 0.04 0.09 0.03 0.03 0.03 0.03 1.48 0.04 0.09 1.48

2,3,4-Trimethylpentane 0.05 0.05 0.03 0.05 0.05 0.03 0.06 0.04 0.04 0.06

Carbon tetrachloride 0.09 0.08 0.15 0.93 0.07 0.08 0.09 0.11 0.18 0.19

1,2-Dichloropropane 0.03 0.03 0.03 0.04 0.03 0.08 0.03 0.03 0.04 0.05

Trichloroethylene 0.06 0.06 0.06 0.08 0.05 0.05 0.06 0.06 0.07 0.12

cis-1,3-Dichloropropene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trans-1,3-Dichloropropene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1,1,2-Trichloroethane 0.03 0.03 0.03 0.03 0.03 0.03 0.03 0.03 0.02 0.03

Toluene 63.45 60.21 35.05 88.05 47.98 53.98 32.91 39.54 20.20 31.36

2-Methylpentane 0.02 0.04 0.02 0.03 1.02 0.02 0.24 0.02 0.04 0.24

3-Methylpentane 0.03 0.06 0.03 0.06 0.04 0.03 0.27 0.04 0.16 0.27

Octane 0.05 0.19 0.05 0.06 0.06 0.06 0.64 0.12 0.17 0.64

1,2-Dibromoethane ND ND ND ND ND ND ND 0.02 ND ND

Tetrachloroethylene 0.04 0.04 0.04 0.04 0.03 0.04 0.04 0.04 0.04 0.05

Chlorobenzene 0.04 0.03 0.03 0.05 0.03 0.04 0.03 0.03 0.04 0.10

Ethylbenzene 0.33 0.16 0.19 0.32 0.19 0.23 0.30 0.23 0.44 0.73

m,p-Xylene 0.36 0.21 0.18 0.17 0.19 0.29 0.21 0.18 1.12 1.97

Styrene 0.10 0.07 0.09 0.10 0.07 0.08 0.27 0.08 0.09 0.12

o-Xylene 0.29 0.22 0.16 0.15 0.16 0.25 0.16 0.14 0.43 1.01

Nonane 0.20 0.38 0.19 0.21 0.17 0.17 0.75 0.20 0.38 0.75

Isopropylbenzene 0.05 0.06 0.05 0.04 0.04 0.04 0.54 0.05 0.04 0.54

a-Pinene 0.08 0.09 0.08 0.32 0.08 0.06 0.27 0.07 0.24 0.27

n-Propylbenzene 0.03 0.04 0.03 0.03 0.03 0.03 0.07 0.03 0.05 0.07

1,3,5-Trimethylbenzene 2.86 0.19 0.17 0.16 0.16 0.24 0.17 0.15 0.26 0.62

1,2,4-Trimethylbenzene 0.10 0.06 0.06 0.07 0.01 0.08 0.05 0.06 0.13 0.24

m-Dichlorobenzene 0.02 0.01 0.02 0.03 0.02 0.02 0.01 0.01 0.02 0.02

p-Dichlorobenzene 0.57 0.16 0.19 0.29 0.20 0.30 0.19 0.35 0.03 0.04

o-Dichlorobenzene 0.04 0.02 0.03 0.03 0.02 0.03 0.02 0.02 0.02 0.02

b-Pinene 0.34 0.28 0.33 0.26 0.27 0.27 0.54 0.42 0.46 0.54

Page 81: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294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표 4-47> 계속(V-24 ~ V-29) (단위 : ppb)

Site

VOCs

V-24 V-26 V-27 V-28 V-29

부지경계 내부 부지경계 내부 부지경계 내부 부지경계 내부 부지경계 내부

Propylene 0.19 0.23 1.29 0.28 0.37 0.43 26.58 29.47 4.83 12.46

Propane 6.55 6.52 113.99 18.66 7.40 5.79 873.43 274.42 74.54 129.14

Isobutane 2.86 1.70 14.34 5.66 1.97 2.17 172.88 165.85 5.90 11.28

1-Butene 0.99 1.32 3.03 0.51 1.29 1.01 7.09 12.05 1.49 2.62

Butane 7.45 0.60 17.12 8.80 1.06 0.50 289.50 311.20 4.51 8.14

trans-2-Butene ND 0.18 0.54 0.15 0.19 0.26 1.90 2.01 1.58 2.58

cis-2-Butene ND ND ND 0.05 0.03 0.08 1.52 1.25 0.46 0.47

3-methyl-1-Butene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Isopentane 0.91 0.14 5.01 0.32 0.24 0.34 106.84 145.42 1.06 0.52

1-Pentene 0.11 0.13 0.33 0.11 0.08 0.12 1.22 2.01 0.18 0.17

Pentane 11.30 0.22 7.08 0.25 0.30 0.16 193.95 146.52 0.59 0.43

Isoprene 0.11 0.11 0.23 0.08 0.11 0.22 0.55 0.76 0.07 0.06

trans-2-Pentene ND ND 0.11 0.05 0.03 0.04 1.06 1.02 0.09 0.05

cis-2-Pentene 0.10 0.12 0.21 0.12 0.07 0.09 0.83 0.95 0.26 0.40

2-methyl-2-Butene 0.02 ND 0.09 0.04 0.03 0.03 1.19 2.02 0.09 0.05

2,2-Dimethylbutane 0.17 0.07 0.30 0.08 0.08 0.07 3.04 5.02 0.18 0.13

Cyclopentene 0.01 0.01 0.02 0.01 0.01 0.01 0.24 0.33 0.03 0.02

4-methyl-1-Pentene ND ND ND ND 0.04 0.04 ND ND ND ND

Cyclopentane 0.04 0.04 0.71 0.05 0.07 0.07 18.97 21.05 0.13 0.10

2-Methylpentane 1.33 0.06 1.17 0.09 0.12 0.13 3.86 4.06 0.25 0.16

3-Methylpentane 0.67 0.05 0.74 0.07 0.11 0.09 24.06 41.03 0.18 0.13

2-methyl-1-Pentene 0.02 0.04 0.08 0.03 0.04 0.04 ND ND 0.05 0.05

n-Hexane 1.10 0.08 1.26 0.12 0.04 0.02 44.00 71.07 0.25 0.20

cis-2-Hexene ND 0.02 0.04 0.02 ND ND ND ND 0.03 0.03

trans-2-Hexene 0.02 0.01 0.03 0.02 0.02 0.02 0.12 0.15 0.02 0.02

Methylcyclopentane 0.25 0.03 0.66 0.04 0.07 0.04 22.95 22.71 0.09 0.07

Freon 12 0.24 0.22 0.25 0.29 0.21 0.22 0.22 0.23 0.34 0.36

Methyl chloride 0.47 0.52 0.49 0.48 0.48 0.46 0.47 0.51 0.69 0.78

Freon 114 0.04 0.03 0.03 0.04 0.04 0.04 0.02 0.03 0.04 0.05

Vinyl chloride 0.13 0.14 0.65 0.21 0.19 0.13 0.15 0.13 0.28 0.24

Methyl bromide 0.03 0.03 0.04 0.03 0.03 0.03 0.03 0.03 0.07 0.71

Ethylchloride 0.03 0.05 0.05 0.04 0.04 0.04 0.04 0.04 0.15 0.13

Freon 11 0.13 0.16 0.12 0.12 0.23 0.20 0.13 0.11 0.17 0.16

1,1-Dichloroethene 0.01 0.01 0.01 0.01 0.01 0.01 ND 0.01 0.01 0.01

Dichloromethane 2.36 3.51 2.30 2.23 2.77 1.79 3.00 2.92 3.52 4.77

Freon 113 0.08 0.09 0.08 0.08 0.08 0.08 0.08 0.08 0.10 0.10

1,1-Dichloroethane 0.02 0.03 0.02 0.02 0.38 0.31 0.02 0.02 0.02 0.02

cis-1,2-Dichloroethylene 0.04 0.08 0.07 0.06 0.18 0.15 0.05 0.04 0.06 0.06

Page 82: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295

<표 4-47> 계속(V-24 ~ V-29) (단위 : ppb)

Site

VOCs

V-24 V-26 V-27 V-28 V-29

부지경계 내부 부지경계 내부 부지경계 내부 부지경계 내부 부지경계 내부

Chloroform 0.08 0.12 0.11 0.07 1.00 0.89 0.18 0.63 0.08 0.10

1,2-Dichloroethane 0.09 0.08 0.12 0.26 0.18 0.17 0.09 0.12 0.15 0.10

Methyl chloroform 0.05 0.05 0.05 0.05 0.15 0.10 0.05 0.03 0.06 0.07

Benzene 0.52 0.36 0.42 0.30 0.47 0.38 0.91 0.64 0.54 3.46

Cyclohexane 0.17 0.03 0.79 0.05 0.19 0.17 21.44 3.53 0.10 0.09

2-Methylhexane 0.12 0.06 0.38 0.06 0.11 0.08 9.40 15.34 0.15 0.12

2,3-Dimethylpentane 0.09 0.07 0.22 0.06 0.09 0.08 2.39 2.74 0.12 0.11

3-Methylhexane 0.18 0.09 0.48 ND 0.14 0.13 10.04 19.54 0.35 0.18

2,2,4-Trimethylpentane ND ND ND ND ND ND 0.34 0.45 ND ND

Heptane 0.15 ND 0.73 0.28 0.19 ND 20.79 28.57 0.13 ND

Methylcyclohexane 0.09 0.03 0.61 0.04 0.09 0.08 21.81 23.52 0.07 0.06

2,3,4-Trimethylpentane 0.05 0.05 0.08 0.07 0.04 0.04 0.43 0.47 0.11 0.06

Carbon tetrachloride 0.07 0.11 0.13 0.10 0.21 0.17 0.84 0.07 0.11 0.11

1,2-Dichloropropane 0.03 0.03 0.03 0.03 0.04 0.04 0.03 0.03 0.04 0.04

Trichloroethylene 0.05 0.08 0.06 0.06 0.29 0.28 0.07 0.05 0.09 0.07

cis-1,3-Dichloropropene ND ND ND ND ND ND ND ND 0.05 ND

trans-1,3-Dichloropropene ND ND ND ND ND ND ND ND 0.04 ND

1,1,2-Trichloroethane 0.03 0.03 0.03 0.03 0.06 0.04 0.02 0.02 0.04 0.02

Toluene 261.49 50.86 31.79 42.26 57.63 50.71 45.75 17.62 30.25 45.12

2-Methylpentane 0.02 0.02 0.17 0.02 0.03 0.03 5.25 2.09 0.04 0.03

3-Methylpentane 0.04 0.03 0.21 0.05 0.05 0.04 4.29 4.57 0.07 0.06

Octane 0.09 0.07 0.46 0.05 0.10 0.08 13.85 8.93 0.12 0.14

1,2-Dibromoethane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Tetrachloroethylene 0.04 0.05 0.04 0.04 0.07 0.05 0.04 0.04 0.06 0.06

Chlorobenzene 0.04 0.06 0.04 0.04 0.20 0.20 0.05 0.09 ND ND

Ethylbenzene 0.22 0.25 0.27 0.14 0.49 0.37 0.50 0.37 0.66 0.39

m,p-Xylene 0.24 0.32 0.29 0.19 0.46 0.38 0.47 0.30 4.97 8.12

Styrene 0.12 0.13 0.21 0.11 0.29 0.20 0.13 0.11 0.10 0.10

o-Xylene 0.20 0.25 0.23 0.18 0.33 0.42 0.33 0.23 0.61 0.69

Nonane 0.16 0.17 0.42 0.17 0.13 0.17 9.12 8.52 0.44 0.46

Isopropylbenzene 0.03 0.04 0.10 0.04 0.04 0.04 0.46 0.37 0.08 0.08

a-Pinene 0.08 0.07 0.20 0.12 0.13 0.14 0.37 0.27 0.14 0.19

n-Propylbenzene 0.03 0.03 0.11 0.03 0.04 0.03 0.82 0.86 0.07 0.07

1,3,5-Trimethylbenzene 0.16 0.22 0.21 0.18 0.20 0.18 0.35 0.20 0.39 0.38

1,2,4-Trimethylbenzene 0.06 0.08 0.07 0.06 0.07 0.08 0.10 0.07 0.15 0.14

m-Dichlorobenzene 0.01 0.02 0.01 0.02 0.32 0.35 0.11 0.02 0.02 0.02

p-Dichlorobenzene 0.17 0.05 0.25 0.46 0.37 0.37 0.44 0.39 0.36 0.41

o-Dichlorobenzene 0.02 0.03 0.03 0.02 0.03 0.03 0.03 0.02 0.02 0.06

b-Pinene 0.24 0.28 0.71 0.33 0.25 0.22 1.24 0.81 0.79 0.73

Page 83: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296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표 4-48> 사업장 부지경계 및 내부지점의 VOCs(POCP) 측정결과 (단위 : ppb)

사업장명 부지경계선 사업장 내부 평 균

V - 4 45.56 39.99 42.78

V -11 142.28 242.63 192.46

V -12 64.57 99.77 82.17

V -13 79.78 73.69 76.74

V -14 48.92 114.97 81.95

V -15 59.10 64.21 61.66

V -19 104.39 57.62 81.01

V -20 137.09 325.33 231.21

V -27 74.79 65.32 70.06

V -29 135.96 228.82 182.39

평 균 89.24 131.24 110.24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농도

(ppb)

V -4 V -11 V -12 V -13 V -14 V -15 V -19 V -20 V -27 V -29

부 지 경 계 선 사 업 장 내 부

<그림 4-39> 사업장 부지경계 및 내부지점의 VOCs(POCP) 농도

광양만권 사업장 주변지역의 주요 VOCs(POCP) 성분별 농도는 <부록 A-6>과

같다. 부록에서와 같이 VOCs(POCP) 성분별 농도를 살펴보면, 프로필렌 성분은

V-28 지점에서 28.03 ppb으로 다른 조사지점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농도를 보였

으며, 다음으로는 V-11, V-19, V-29 지점 순으로 나타났다. 프로필렌 성분 농도가

가장 높은 지점은 V-19 지점의 부지경계선으로서 46.84 ppb으로 조사되었다.

POCP 능력이 95인 1-부텐 역시 지점별로 보면 V-28 지점이 9.57 ppb로 가장 높았

Page 84: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297

으며, V-11(4.88 ppb), V-10(3.23 ppb) 순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V-28 지점의 경우

POCP 능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인 40의 프로판, 부탄, 펜탄 성분과 30인 이소

부탄과 이소펜탄 성분에서 상당히 높은 농도인 573.93 ppb, 300.35 ppb, 170.24 ppb,

169.37 ppb, 126.13 ppb으로 나타났다.

POCP 능력이 100인 t-2-부텐 성분은 V-29 지점에서 2.08 ppb로서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고, 다른 지점들은 모두 2 ppb 이하로 나타났다. POCP 능력이 100

인 c-2-부텐 성분은 V-28에서 1.39 ppb로 가장 높았으며, 다른 지점에서는 1 ppb

이하의 낮은 농도로 나타났다. 또한 POCP 능력이 356인 메틸사이클로헥산은 V-28

조사지점에서 24.68 ppb로 다른 조사지점에 비해 월등히 높은 농도를 나타냈고, 다

른 지점들은 비슷한 농도로 1 ppb 이하의 저농도를 보였다. POCP 능력이 각각

100, 90인 m,p-자일렌 성분은 V-29 지점에서 농도 6.55 ppb로 가장 높았으며, 11

5~120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 트리메틸벤젠류 중 1,3,5-트리메틸벤젠

성분은 V-13 지역에서 1.53 ppb, 120인 1,2,4-트리메틸벤젠 성분은 전체 조사대상

사업장 모두 0.5 ppb 이하의 낮은 농도로 조사되었다.

5) 기존 조사자료와의 비교

<표 4-49>는 과거 연구자료를 통하여 지금까지 광양만권내 지역에서 VOCs

물질을 대상으로 조사한 자료를 정리한 것이다. 본 조사시 실측한 자료와 예전의

국립환경연구원(1997) 및 환경정책평가연구원(1998)에서 조사했던 자료와 비교해 볼

때 벤젠과 톨루엔, 스티렌 성분들은 전반적으로 약간 증가한 경향을 볼 수 있으며,

다른 VOCs 성분들은 거의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특이한 점은 환경정책평

가연구원에서 조사한 지점인 초남공단의 메틸렌클로라이드 성분이 9.21 ppb로 매우

높은 농도를 보인 점이다.

<표 4-50>은 국내의 도시 및 공단지역에서 대기 중 VOCs 물질을 조사한 자

료를 비교하여 나타낸 표이다. 본 연구지역과 산업특성이 유사한 울산공단의 자료

를 비교해 보면, 인체 발암성이 높은 벤젠, 톨루엔, m,p-자일렌 성분들은 울산공단

에 비해 광양만권 지역이 전반적으로 낮은 수준이며, TM티렌과 클로로포름 성분은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대도시 지역인 서울지역과 비교할 때, 광양만권이

톨루엔과 자일렌 계통, 에틸벤젠, 메틸렌클로라이드 성분들에서는 서울보다 상당히

Page 85: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298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낮은 농도였으며, 반대로 벤젠과 스티렌 성분에서는 다소 높은 농도를 보이고 있었

다. 그리고 2001년 여수산단지역에서 조사한 자료와 본 연구 자료를 비교해 보면

2001년에 비하여 벤젠과 m,p-자일렌, 테트라클로로에틸렌, 클로로포름 성분들은 약

간 높게, 그 밖의 다른 물질은 전반적으로 낮아지고 있었다. 또한 울산공단과 서울

지역, 광양만권 지역의 전체 VOCs 농도를 비교했을 때, 서울지역이 광양만권이나

울산지역보다 VOCs 농도가 높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자동차 배출가스 및 기타

난방 연소가 많은 도시지역의 고유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보여진다. 그러나 이들

자료들을 직접 비교함에 있어서 측정지점과 시료채취시간, 채취빈도와 방법, 시료추

출방법과 분석방법 등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직접적인 정량적 평가는 어렵다고 보

여진다.

<표 4-49> 광양만권 지역내에서 조사된 VOCs 농도 경향 비교 (단위 : ppb)

VOCs

국환연1)

여천

(n=4)

환정연2) 본 연구3)

여천

(n=4)

묘도

(n=4)

초남

(n=4)

여수

(n=24)

순천

(n=6)

광양

(n=18)

Benzene 2.95 3.29 1.72 0.41 2.51 0.92 1.02

Toluene 4.57 5.64 1.34 0.69 1.26 1.82 0.97

Ethylbenzene 0.30 0.46 0.16 0.15 0.22 0.41 0.13

m,p-Xylene 0.27 0.43 0.32 0.31 0.68 0.59 0.18

o-Xylene 0.42 0.34 0.31 0.20 0.34 0.44 0.16

Styrene 0.08 1.20 0.24 0.05 0.49 1.03 0.10

Vinylchloride - - - - 2.87 0.09 0.13

Methylene chloride 0.50 0.06 0.04 9.21 0.46 0.11 0.11

Tetrachloroethylene 0.05 0.02 0.01 0.03 0.04 0.03 0.37

Chloroform 0.04 0.20 0.01 0.04 0.60 0.04 0.07

1,1,1-Trichloroethane 0.13 0.07 0.05 0.06 0.10 0.05 0.11

Carbontetrachloride 0.12 0.08 0.06 0.06 0.06 0.07 0.19

Trichloroethylene 0.05 0.04 0.03 0.09 0.04 0.05 0.04

1) 국립환경연구원, 여천공단 환경오염대책 마련을 위한 오염실태 정밀조사사업, 1997.

2) 환경정책평가연구원, 광양만권역 종합환경영향조사 사업, 1998.

3) 본 연구 : 사업장 주변지역(부지경계선 및 내부) 자료는 포함되지 않음.

Page 86: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299

<표 4-50> 국내 타 지역과 본 연구와의 VOCs 농도 비교 (단위 : ppb)

VOCs

울산공단1)

1998

(n=17)

서 울2)

1998-1999

(n=55)

여수산단3)

2000-2001

(n=47)

본 연구4)

(n=48)

Benzene 1.80 1.00 1.06 1.48

Toluene 3.80 6.40 3.01 1.35

Ethylbenzene 0.60 0.70 0.40 0.25

m,p-Xylene 1.70 2.30 0.31 0.48

o-Xylene 0.60 0.80 0.33 0.31

Styrene 0.40 0.30 0.67 0.54

Vinylchloride 5.90 - 1.56 1.03

Methylene chloride 0.60 0.40 0.20 0.23

Tetrachloroethylene ND5) 0.10 0.11 0.15

Chloroform 0.20 010 0.16 0.24

1,1,1-Trichloroethane 0.30 0.20 0.17 0.09

Carbontetrachloride 0.20 0.10 0.19 0.11

Trichloroethylene 0.20 0.20 0.11 0.04

1) 나광삼, 울산공단 대기에서 측정한 휘발성유기화합물의 1997/1998년 결과 비교, 1999.

2) 김용표, 2001.

3) 전준민, 여수산단의 대기중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배출량산정 및 기여도 추정, 2001.

4) 본 연구 : 사업장 주변지역(부지경계선 및 내부) 자료는 포함되지 않음.

5) 불검출(Not Detected, 0.1 ppbv 이하)

<표 4-51>은 대기환경개선 실천계획 수립시 조사된 타 도시와의 VOCs 농도

를 비교한 표로서, 다른지역에 비해 광양만권 지역의 VOCs 농도가 상대적으로 대

부분 낮음을 알 수 있다. 특히 톨루엔 성분의 경우 1.35 ppb로서 부산지역의 66.85

ppb 보다 매우 낮은 농도수준을 보이고 있으나, 프로판 성분에서는 광양만권 지역

(13.04 ppb)이 두번째로 높은 지역인 서울지역(6.6 ppb)보다 2배정도 높게 조사되고

있다.

Page 87: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00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표 4-51> 국내 대기환경규제지역과의 VOCs 농도 비교 (단위 : ppb)

VOCs

서울시1)

반포동

(1999. 3.)

경기도2)

부천시

(1997-1998)

부산시3)

전체평균

(2002. 2.)

본 연구4)

Benzene 3.0 2.45 2.66 1.48

Toluene 42.6 18.26 66.85 1.35

Ethylbenzene 5.2 3.82 3.35 0.25

m,p-Xylene 13.5 7.33 3.65 0.48

o-Xylene 5.0 2.12 2.73 0.31

Styrene 0.0 0.14 - 0.54

Ethylene 3.5 - - -

Propane 6.6 1.27 - 13.04

1-Butene 8.2 0.78 - 5.01

Butane 9.4 1.80 - 2.50

Isopentane 7.2 0.33 - 5.90

1-Pentene 1.0 0.21 - 0.08

Pentane 4.4 0.90 - 2.39

Isoprene 0.8 - - 0.02

1,3,5-Trimethylbenzene - 0.72 - 0.14

1,2,4-Trimethylbenzene 7.2 0.71 - 0.21

Vinylchloride - - - 1.03

Methylene chloride - - - 0.23

Tetrachloroethylene - 0.01 - 0.15

Chloroform - 0.07 - 0.24

1,1,1-Trichloroethane - - - 0.09

Carbontetrachloride - - - 0.11

Trichloroethylene - 0.01 - 0.04

1) 서울특별시, 서울시 대기환경개선 실천계획보고서, 2000.

2) 경기도, 21C 경기 대기보전실천 계획보고서, 2000.4.

3)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대기환경개선 실천계획수립 최종보고서(안), 2002.2.

4) 본 연구 : 사업장 주변지역(부지경계선 및 내부) 자료는 포함되지 않음.

Page 88: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01

3. 악 취

현재까지 인간이 알고 있는 200만 가지의 물질 중 40만 가지가 냄새를 가진 물

질이다. 이러한 물질들은 각각 특유의 냄새를 갖고 있으며, 그 정도가 각각 다르다.

인간의 후각은 냄새 물질의 식별면에서 다른 동물과 비교하여 아주 둔한 편에 들지

만 어떤 특정한 성분에 대해서는 1 ppm 또는 1 ppb 이하의 농도까지 감지할 수 있

다. 한편 인간은 2,000~4,000 여종의 다른 냄새를 식별 할 수 있으며, 어떤 주어진

냄새의 강도를 식별하는 능력은 매우 미약하고 비교 후각 식별 역치는 약 30% 변

동이 있어야만 된다. 후각은 시각이나 청각과는 달리 사람 개인별로 습관, 연령, 성

별, 심리적 요인, 몸의 상태, 기온, 습도, 피로, 적응정도 등에 따라 다를 수가 있다.

즉 악취는 “냄새를 발생하는 물질 성분으로, 자극성 있는 기체상 물질이 사람의 후

각을 자극하여 불쾌감이나 혐오감을 주는 물질”을 말한다. 악취는 소음과 같이 감

각공해에 해당되고 청각, 후각, 미각 등 신경계통에 작용하여 많은 사람에게 피해를

주고 있다. 악취에 대한 인체의 대표적인 반응은 메스꺼움, 두통, 식욕감퇴, 호흡곤

란 및 알레르기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환경분야 민원발생의 상당 부분을 점유

하고 있는 실정이다.

3.1 악취 발생 현황

악취는 발생공정과 장소에 따라 그 발생원이 매우 다양하나, 대기환경보전법에

의한 관리방법에 따라 크게 사업장(공장) 악취와 생활악취로 나눌 수 있다. 사업장

악취는 주로 화학제품 제조업, 섬유제품 제조업, 고무 및 플라스틱 제품 제조업 등

일련의 제품 생산공정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말한다. 생활악취는 도축장, 농수산물

도매시장, 세탁업 등 허가대상 대기배출시설 외의 시설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말

한다. 국내의 2000년도 기준을 보면, 악취중점 관리업체로는 대기오염물질 배출시설

에 설치된 업체가 471개소, 생활악취시설이 148개소로 총 619개소 이며, 이들 업체

에 대해서는 지도단속 강화와 적정한 시설공정개선 및 탈취시설의 설치 등 개선을

유도하고 있다. 또한 악취배출업체와 생활악취 발생업체 44,962개소를 점검하여 위

반업체 933개소를 적발하였고, 위반업체에 대하여는 시설개선명령, 조업정지, 과태

료부과 등의 행정조치를 취하기도 하였다. 악취물질의 발생원에 대한 분류는 <표

4-52>과 같다.

Page 89: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02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표 4-52> 공장ㆍ사업장에 있어서의 주요 발생 악취성분

분류

황화수소

메틸메 르캅탄

황화메틸

이황화메틸

암모니아

트리메틸아민

아세트알데히드

스티렌

탄화수소류

케톤

알데히드류

알콜류

에스테르류

질소화합물

황화합물

저급지방산류

기 타

축산농업

양돈업 ● ● ◎ ◎ ◎ ●

양우업 ● ● ◎ ◎ ◎ ●

양계업 ● ● ◎ ◎ ● ● ◎ ◎

사료 ㆍ제료 제조공장

복합비료제조공업 ◎ ◎ ○ ○ ● ○

어골처리장 ● ● ◎ ○ ○ ● ◎ ○ ◎ ○

동물뼈처리장 ● ● ◎ ○ ○ ● ◎ ○ ◎ ○

닭분뇨처리장 ● ● ◎ ◎ ● ◎ ○

패더처리장 ● ● ◎ ◎ ◎ ◎ ◎ ● ○ ◎

식품제조공장

커피제조공장 ○ ● ○ ○ ○ ○ ●

축산식품제조공장 ◎ ○ ○ ○ ○ ○

수산식품제조공장 ● ○ ◎ ● ◎

조미료제조공장 ○ ○ ○ ○ ○ ●

반찬공장 ◎

빵ㆍ과자제조공장

제차공장 ◎ ◎ ◎ ◎ ◎

전분제조공장 ● ○ ◎ ●

화학공장

석유제조공장 ◎ ● ◎ ◎ ◎ ● ◎

코크스제조공장 ◎ ◎ ◎ ◎ ◎ 페놀, 크레졸류

펄프제조공장 ● ● ● ● ● ◎

셀로판제조공장 ●

화학비료제조공장 ●

무기화학공업제조공장 ○ ○ ○

석유화학계 기초제조공장 ● ● ● ● ●

발효공장 ◎ ○ ◎ ◎ ◎

프라스틱제조공장 ◎ ◎ ◎ ◎

합성고무제조공장 ○ ● ● ◎ ◎ ◎ ◎

레이용제조공장 ● ○

유지가공제조공장 ◎ ○ ○ ◎ ○ ○ ◎ ◎

도료제조공장 ● ● ● ●

인쇄잉크제조공장 ● ● ● ●

의약품제조공장 ◎ ◎ ◎ ◎ ◎ ◎ ○

접착제제조공장 ● ● ● ●

칠공장 무기산

폐플라스틱재생공장 ◎ ◎ ◎ 무기산

FRP제품제조공장 ● ◎

Page 90: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03

<표 4-52> (계 속)

분류

황화수소

메틸메르캅탄

황화메틸

이황화메틸

암모니아

트리메틸아민

아세트알데히드

스티렌

탄화수소류

케톤

알데히드류

알콜류

에스테르류

질소화합물

황화합물

저급지방산류

기 타

기타제조공장

섬유공장 ◎ ◎ ◎ ◎

목재ㆍ목기품 ● ● ● ●

인쇄공장 ● ● ● ● ●

도장공장 ● ● ● ● ●

담배제조공장 ◎ ◎ ● ◎ ◎ ◎ ● ◎ ◎ ● ◎

피혁제조공장 ◎ ○ ◎ ○

주물제조공장 ◎ ◎ ◎ ◎ 페놀, 크레졸류

제철공장 ◎ ◎ ◎ ◎ ○ 페놀류

서비스업ㆍ기타

폐기물처리장 ● ◎ ◎ ○ ◎ ◎ ○ ◎ ◎ ◎ ◎ ◎ ○ ○

하수처리장 ● ● ◎ ○ ◎ ◎ ◎ ◎

분뇨처리장 ● ● ● ◎ ● ◎ ◎ ◎

소각장 ◎ ○ ○ ○ ◎ ● ◎ ◎ ○ ○ ○ ◎ ◎

도축장 ● ● ◎ ○ ◎ ◎ ○ ◎ ◎ ◎

사육처리장 ● ● ◎ ○ ◎ ◎ ◎ ◎ ○ ◎ ◎

병원ㆍ진료소ㆍ검사센타 ◎ ○ ◎ ○

크리닝점ㆍ세탁공장

음식점 ○ ○ ◎

사진관ㆍ현상소 ○

주유소 ●

프로판가스충전소 ◎ ●부취제, 고비점탄화수소류

여관ㆍ호텔 ○ ○

미장원ㆍ이발소 ● ○

폐품회수업 ◎ ○ ◎ ◎ ○ ○

자동차수리공장 ● ● ●

발생원이동

자동차ㆍ트럭 ● ● ● ◎

항공기 ● ● ● ◎

건설작업현장 ○ ◎

페놀, 크레졸류(아스팔트브렌트)

하수ㆍ용수 ● ○ ○ ○ ○

쓰레기집적소 ◎ ◎ ○ ○ ◎ ◎ ◎ ◎ ◎ ◎ ◎ ◎

개인주택 ◎ ◎ ○ ○ ◎ ○ ◎

◎ㆍㆍㆍ측정에서 검출된 물질, ○ㆍㆍㆍ검출될 가능성이 있는 물질

●ㆍㆍㆍ악취의 원인이 되고 있는 물질

Page 91: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04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2 악취 규제기준

국가에 따라 악취의 규제기준은 각각 다르다. 국내의 경우는 대기환경보전법

제 8조 및 동법 시행규칙 제9조(배출허용기준)에서 악취를 대기오염물질로 지정하

여 배출허용기준을 정하고 있다. <표 4-53>에 정리한 바와 같이 1992년 12월에 개

정된 대기환경보전법에서는 직접관능법 외에 공기희석 관능법과 8가지 악취물질에

대한 기기분석법을 도입함으로써 분석방법을 더욱 강화시켰다. 또한 악취의 규제지

역을 공업지역과 기타 지역으로 구분하였으며 배출구 농도와 부지 경계선에서의 농

도를 구분하여 배출허용기준을 정하였다. 한 사업장에서 규정된 8가지의 악취물질

이 복합되어 발생할 경우에는 기기분석을 병행하여 실시하고 이 경우 어느 한가지

악취물질이라도 기준을 초과할 때에는 배출허용기준을 초과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표 4-53> 국내 악취물질 배출허용기준

측 정 방 법 배 출 허 용 기 준

직 접 관 능 법 악취도 2도이하

공 기 희 석

관 능 법

가. 배출구

(1) 공업지역내의 사업장 : 희석배율 1,000이하

(2) 기타지역내의 사업장 : 희석배율 500이하

나. 부지경계선

(1) 공업지역내의 사업장 : 희석배율 20이하

(2) 기타지역내의 사업장 : 희석배율 15이하

기 기 분 석 법

악취물질공업지역안의

사업장

기타지역안의

사업장

암모니아

메틸메르캅탄

황화수소

황화메틸

이황화메틸

트리메틸아민

아세트알데히드

스티렌

5ppm이하

0.004ppm이하

0.06ppm이하

0.05ppm이하

0.03ppm이하

0.02ppm이하

0.1ppm이하

0.8ppm이하

1ppm이하

0.002ppm이하

0.02ppm이하

0.01ppm이하

0.009ppm이하

0.005ppm이하

0.05ppm이하

0.4ppm이하

Page 92: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05

미국은 악취규제와 대책을 처음으로 시도한 나라로서 독자적으로 각 행정구역

별 환경규제기준과 배출구 규제기준을 설정하고 있다. 한편 일본은 환경청 장관이

공시한 1994년 6월 이후 적용 악취물질 측정방법으로 22종류의 악취물질을 개별 또

는 유사물질별로 구분 측정하며, 채취장소(부지경계선, 배출구) 및 정량방법 별로

세분하여 측정방법을 규정하고 있다. 악취방지법에 의한 악취물질 및 부지경계선에

서의 악취 규제기준은 <표 4-54>와 같다.

<표 4-54> 일본의 부지경계선에서의 악취 규제기준 (단위 : ppm)

물 질 명 화학식 규제기준

1) Ammonia NH3 1이상 5이하

2) Methyl mercaptan CH3SH 0.002이상 0.01이하

3) Hydrogen sulfide H2S 0.02이상 0.2이하

4) Dimethyl sulfide (CH3)2S 0.01이상 0.2이하

5) Dimethyl disulfide (CH3)2S2 0.009이상 0.1이하

6) Trimethyl amine (CH3)3N 0.005이상 0.07이하

7) Acetaldehyde CH3CHO 0.05이상 0.5이하

8) Propionaldehyde C2H5CHO 0.05이상 0.5이하

9) n-Buthylaldehyde CH3CH2CH2CHO 0.001이상 0.08이하

10) iso-Buthylaldehyde (CH3)2CH2CHO 0.02이상 0.2이하

11) n-Valeraldehyde C2H5H2CH2CHO 0.001이상 0.05이하

12) iso-Valeraldehyde (CH3)2CHCH2CHO 0.003이상 0.01이하

13) iso-Butanol (CH3)2CHCH2OH 0.9이상 20이하

14) Ethyl acetate CH3COOC2H5 3이상 20이하

15) MethyIisobuthylketone (CH3)2CHCH2COCH3 1이상 6이하

16) Toluene C6H5CH3 10이상 60이하

17) Styrene C8H8 0.4이상 2이하

18) Xylene C6H4(CH3)2 1이상 5이하

19) Propionic acid C2H5COOH 0.03이상 0.2이하

20) Butyric acid CH3(CH2)2COOH 0.001이상 0.006이하

21) n-Valeric acid CH3(CH2)3COOH 0.0009이상 0.004이하

22) iso-Valeric acid (CH)2CHCH2COOH 0.001이상 0.01이하

Page 93: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06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3 실측자료 조사분석

3.3.1 조사 내용

악취물질의 측정지점 및 조사범위는 <표 4-56>과 <그림 4-40>과 같이 광양만

권내의 일반 대기질 자동측정망 지점을 포함하여 여수산단내 대기 중 악취물질이

고농도로 출현하는 지점과 사업장 중 부지경계선을 기준으로 많이 배출되는 지점

(27곳), 그리고 주민들의 민원이 많은 지점을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추가로

주거밀집지역 중 주민이 많이 거주하는 삼일동과 산단의 대표지점인 서남지역관리

공단을 포함하였다. 조사내용 범위로는 직접관능법으로 악취도 측정은 분기별로, 기

기분석법에 의한 성분별 농도 조사는 여름철(2002년 하계)에 조사하였다.

3.3.2 실험 방법

직접관능법에 의한 취기판정법과 기기분석에 의한 성분별 농도를 각각 조사하

였다.

<표 4-55> 악취물질 조사항목

구 분 측정 및 분석기기 악취물질

황화합물Tedlar bag,

GC/FPD

황화수소, 황화메틸, 이황화메틸,

메틸메르캅탄, 트리메틸아민

방향족화합물Canister,

GC/MSD

톨루엔, 스티렌,

m,p-자일렌, o-자일렌

1) 악취 시료채취

악취 시료채취는 주로 맑은 날 주위 건물의 영향을 받지 않는 지점에서 황화합

물은 Tedlar bag(5ℓ, 일본)으로 지상 약 1.5 m 이상에서 밀폐된 진공박스를 통하

여 채취하였으며(<그림 4-41> 참조), 시료채취시 유량은 1ℓ/min 으로 5분간 실시

하였다. 또한 방향족화합물은 캐니스터(6ℓ, 미국)로 24시간 등속 흡인하여 채취하

였다. <그림 4-42>는 실제 현장에서 악취시료를 채취하는 사진이다.

Page 94: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07

<표 4-56> 악취 조사지점별 위치

항 목 측정지점 측정지명 용 도

악 취

물 질

광양시

O - 1 태인동 태인동사무소 준공업지역

O - 2 중마동 중마동사무소 주거지역

O - 3 골약동 골약중학교 〃

O - 4 광양읍 목성리 상업지역

순천시 O - 5 해룡면 신성리 (충무사) 주거지역

여수시

O - 6 화치동 LG연수원 공업지역

O - 7 삼일동 공해추방협의회 준공업지역

O - 8 월내동 LG정유 공업지역

O - 9 월내동 환경시설공사 〃

O -10 묘도동 묘도동사무소 주거지역

O -11 낙포동 남해화학 공업지역

O -12 상암동 상암초등학교 주거지역

O -13 주삼동 해산가든화학(주) 〃

O -14 주삼동 공단주유소 공업지역

O -15 삼일동 오림공구상사 주거지역

O -16 두암동 상촌마을 〃

O -17 중흥동 서남지역관리공단 공업지역

O -18 소호동 소호초등학교 주거지역

O -19 화양면 청량리(화양농협) 〃

O -20 주삼동 농업기술센터 〃

O -22 화치동 폴리미래 공업지역

O -23 화치동 금호석유화학 UC공장 〃

O -24 월하동 금호폴리켐 〃

O -25 월하동 한화석유화학 〃

O -26 월하동 YNCC 3공장 〃

O -27 화치동 한국바스프 〃

O -28 낙포동 재원산업 〃

O -29 낙포동 라파즈벽산석고 〃

O -30 낙포동 여수탱크터미널 〃

O -31 월내동 와이엔텍 〃

O -32 적량동 삼남석유화학 〃

O -33 월내동 LG정유 〃

O -34 중흥동 호남석유화학 〃

O -35 중흥동 LG석유화학 〃

O -36 중흥동 한국다우(주) 〃

O -37 평여동 YNCC 1공장 〃

O -38 월내동 대림산업 용성공장 〃

O -39 평여동 한화석유화학 본관 공업지역

O -40 평여동 한화석유화학 별관 〃

O -41 월하동 한국화인케미컬 〃

O -42 화치동 금호피앤비 〃

O -43 평여동 제일모직 공업지역

O -44 중흥동 LG화학 제테탱크터미널 〃

대조지점 O -21 순천시 황전면 대치리 대조지역

Page 95: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08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광 양 시(KWANGYANG-CITY)

묘 도(MYODO)

광 양 제 철 소 (POSCO)

남 해 도(NAMHAE-DO)

여 수 국 가 산 단(YEOSU INDUSTRIAL COMPLEX)

여 수 시(YEOSU-CITY)

O-1O-2

O-3

O-4

O-5

O-6

O-7O-8 O-9

O-10

O-11

O-12

<그림 4-40> 악취 조사지점도

<표 4-57> 악취시료 채취시 세부사항

구 분 내 용 비 고

시료채취 시간 5 min

시료채취 유량 1ℓ/min

시료채취 방법 진공에 의한 간접채취

시료채취 도구 Tedlar bag(5ℓ) 일본 동경주식회사

Page 96: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09

<그림 4-41> 악취물질 시료채취 장비

<그림 4-42> 실제 현장에서 악취시료 채취

2) 악취물질 분석

가) 황화합물

황화합물 분석에 사용된 표준가스는 표준과학연구원에서 ppm 농도로 제조된

표준가스를 희석하여 ppb 농도에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채취한 악취시료 분석은 불

꽃광도검출기(FPD)가 장착된 GC(GC-17A, Shimadzu, Japan)를 이용하여 분석하였

Page 97: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10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으며, 대기 중의 저농도로 존재하는 황화합물을 검출하기 위하여 액체질소 저온농

축법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아래의 <표 4-58>은 황화합물 분석기기 사양 및 실

험 조건이며, <그림 4-43>는 황화합물 분석기기인 GC/FPD 이다.

<표 4-58> 황화합물 분석기기 사양 및 조건

구 분 사양 및 분석조건

Sampler Tedlar-bag(5ℓ, 일본)

GC/FPD

Shimadzu 17A

․Column : Glass packed column (3m×3㎜)

․Column temp : 65℃(2min)→12(℃/min)→150℃(30min)

․Injector : 65℃

․Detector : 150℃

․Carrier gas : He

<그림 4-43> 황화합물 분석기기(GC/FPD)

나) 방향족화합물

방향족화합물인 톨루엔(toluene), 스티렌(stylene) 성분은 농축장치를 이용하여

Page 98: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11

GC/MSD로 분석하였으며, <표 4-59>는 GC/MSD의 분석조건을, <그림 4-44>는

방향족화합물 분석기기인 GC/MSD 이다.

<표 4-59> 방향족화합물 분석기기 사양 및 조건

구 분 사양 및 분석기기

GC/MS

HP-6890 / HP-5973N

․Column : HP-1 capillary column(60m×0.32㎜×5㎛)

․Column temp : 40℃(5min)→70℃(5min)→150℃(5min)→

200℃(5min)→220℃(5min)

․Ramp rate : 5℃/min to 200℃, 10℃/min to 220℃

․Column flow : 1㎖/min

․MS ion source temp : 230℃

․MS scan range : 45 ~ 350 amu

․Solvent delay : 5 min

<그림 4-44> 방향족화합물 분석장비(GC/MS)

Page 99: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12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3.3 조사결과

본 연구에서 악취조사는 분기별 악취조사를 위해 여수시, 순천시, 광양시의 주

거지역과 상업지역 그리고 공업지역인 지점에서 4차에 걸쳐 직접관능법과 1차의 기

기분석법을 실시하였다. 악취물질은 특성상 순간적 발생과 바람 등의 기상요인에

의해 많은 제약을 받기 때문에 자세한 악취 현황파악을 위해 8개의 지점에서 예비

조사를 하였고 본 실험은 44개지점에서 하였다.

1) 직접관능법

직접관능법의 조사지역을 보면, 주거지역, 공업지역에 대한 일반대기 조사와 사

업장부지경계에 대한 조사로 구분하여 여수지역 38개지점, 순천지역 2개지점, 광양

지역 4개지점 등 총 44개 지점에서 분기별로 직접관능법으로 취기감도를 조사하였

다.

4차에 걸쳐 조사된 취기감도 결과를 보면, 총 44개 조사지점 중에서 부적합하

게 조사된 지점도 분기별에 따라 감지되었으나, 전체적으로는 O-6, O-23, O-32 지

점에서 악취물질 배출허용기준치인 악취 2도 이상의 부적합한 것으로 판정되고 있

었다. 이러한 지점들은 모두 여수산단내의 공업지역이다. 또한 4차례의 직접관능조

사 결과 모두 무취인 0도로 조사된 지점으로는 광양지역 2지점, 순천지역 1지점으

로 나타났으며, 여수지역의 경우 조사 지점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단 1개 지점만이

악취도가 0도로 조사되고 있었다. 이는 순천지역 및 광양지역의 조사지점과 비교할

때 여수지역은 악취물질 배출이 많은 석유화학공단인 여수공단지역과 근거리에 위

치한 지리적인 요인으로 판단된다.

4차에 걸친 직접관능법 조사 결과 3도 이상의 부적합으로 판정된 빈도를 보면,

봄철에 3차례, 여름철에 4차례, 가을철에 1차례, 겨울철에 3차례로 조사되어 여름철

이 악취도가 가장 높고 가을이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표 4-60>은 4차에 걸쳐 조사된 전체적인 직접관능법 조사결과 이며, <그림

4-45>은 부적합하다고 판정된 3개지점의 계절별 악취도 변화를 나타낸 것이고, <

그림 4-46>은 계절별 부적합 판정빈도수를 나타낸 그림이다.

Page 100: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13

<표 4-60> 직접관능법에 의한 악취도 조사결과

측정지점 지역 구분조사

시기악취강도

최종

판정결과비고

O-1 광양시 일반대기

1차 1 적합

준공업지역

2차 0 적합

3차 0 적합

4차 0 적합

평균 0 적합

O-2 광양시 일반대기

1차 0 적합

주거지역

2차 0 적합

3차 0 적합

4차 0 적합

평균 0 적합

O-3 광양시 일반대기

1차 0 적합

주거지역

2차 0 적합

3차 0 적합

4차 0 적합

평균 0 적합

O-4 광양시 일반대기

1차 1 적합

상업지역

2차 0 적합

3차 0 적합

4차 0 적합

평균 0 적합

O-5 순천시 일반대기

1차 0 적합

주거지역

2차 0 적합

3차 0 적합

4차 0 적합

평균 0 적합

O-6 여수시 일반대기

1차 2 적합

공업지역

2차 4 부적합

3차 1 적합

4차 3 부적합

평균 3 부적합

O-7 여수시 일반대기

1차 2 적합

준공업지역

2차 2 적합

3차 0 적합

4차 0 적합

평균 1 적합

O-8 여수시 일반대기

1차 1 적합

공업지역

2차 1 적합

3차 0 적합

4차 3 부적합

평균 1 적합

O-9 여수시 일반대기

1차 1 적합

공업지역

2차 1 적합

3차 1 적합

4차 2 적합

평균 1 적합

Page 101: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14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표 4-60> (계 속)

측정지점 지역 구분조사

시기악취강도

최종

판정결과비고

O-10 여수시 일반대기

1차 0 적합

주거지역

2차 0 적합

3차 0 적합

4차 0 적합

평균 0 적합

O-11 여수시 일반대기

1차 2 적합

공업지역

2차 2 적합

3차 2 적합

4차 1 작합

평균 2 적합

O-12 여수시 일반대기

1차 1 적합

주거지역

2차 0 적합

3차 0 적합

4차 0 적합

평균 0 적합

O-13 여수시 일반대기 1차 0 적합 주거지역

O-14 여수시 일반대기 1차 0 적합 공업지역

O-15 여수시 일반대기 1차 1 적합 주거지역

O-16 여수시 일반대기 1차 0 적합 주거지역

O-17 여수시 일반대기 1차 1 적합 공업지역

O-18 여수시 일반대기 1차 0 적합 주거지역

O-19 여수시 일반대기 1차 0 적합 주거지역

O-20 여수시 일반대기 1차 0 적합 주거지역

O-21 순천시 일반대기 1차 0 적합 대조지역

O-22 여수시사업장

부지경계

1차 2 적합

공업지역

2차 2 적합

3차 0 적합

4차 1 적합

평균 1 적합

O-23 여수시사업장

부지경계

1차 2 적합

공업지역

2차 2 적합

3차 3 부적합

4차 3 부적합

평균 3 부적합

O-24 여수시사업장

부지경계

1차 2 적합

공업지역

2차 0 적합

3차 2 적합

4차 3 부적합

평균 2 적합

O-25 여수시사업장

부지경계

1차 0 적합

공업지역

2차 1 적합

3차 1 적합

4차 2 적합

평균 1 적합

O-26 여수시사업장

부지경계

1차 0 적합

공업지역

2차 3 부적합

3차 1 적합

4차 1 적합

평균 1 적합

Page 102: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15

<표 4-60> (계 속)

측정지점 지역 구분조사

시기악취강도

최종

판정결과비고

O-27 여수시사업장

부지경계

1차 1 적합

공업지역

2차 2 적합

3차 1 적합

4차 0 적합

평균 1 적합

O-28 여수시사업장

부지경계

1차 4 부적합

공업지역

2차 2 적합

3차 2 적합

4차 1 적합

평균 2 적합

O-29 여수시사업장

부지경계

1차 1 적합

공업지역

2차 0 적합

3차 3 부적합

4차 1 적합

평균 1 적합

O-30 여수시사업장

부지경계

1차 0 적합

공업지역

2차 1 적합

3차 1 적합

4차 2 적합

평균 1 적합

O-31 여수시사업장

부지경계

1차 2 적합

공업지역

2차 0 적합

3차 2 적합

4차 2 적합

평균 2 적합

O-32 여수시사업장

부지경계

1차 0 적합

공업지역

2차 2 적합

3차 4 부적합

4차 4 부적합

평균 3 부적합

O-33 여수시사업장

부지경계

1차 0 적합

공업지역

2차 1 적합

3차 0 적합

4차 0 적합

평균 0 적합

O-34 여수시사업장

부지경계

1차 0 적합

공업지역

2차 1 적합

3차 0 적합

4차 1 적합

평균 1 적합

O-35 여수시사업장

부지경계

1차 1 적합

공업지역

2차 1 적합

3차 0 적합

4차 1 적합

평균 1 적합

Page 103: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16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표 4-60> (계 속)

측정지점 지역 구분조사

시기악취강도

최종

판정결과비고

O-36 여수시사업장

부지경계

1차 0 적합

공업지역

2차 0 적합

3차 1 적합

4차 0 적합

평균 0 적합

O-37 여수시사업장

부지경계

1차 0 적합

공업지역

2차 1 적합

3차 1 적합

4차 1 적합

평균 1 적합

O-38 여수시사업장

부지경계

1차 2 적합

공업지역

2차 2 적합

3차 3 부적합

4차 0 적합

평균 2 적합

O-39 여수시사업장

부지경계

1차 1 적합

공업지역

2차 1 적합

3차 0 적합

4차 0 적합

평균 1 적합

O-40 여수시사업장

부지경계

1차 0 적합

공업지역

2차 3 부적합

3차 2 적합

4차 1 적합

평균 2 적합

O-41 여수시사업장

부지경계

1차 0 적합

공업지역

2차 1 적합

3차 1 적합

4차 1 적합

평균 1 적합

O-42 여수시사업장

부지경계

1차 0 적합

공업지역

2차 1 적합

3차 1 적합

4차 1 적합

평균 1 적합

O-43 여수시사업장

부지경계

1차 1 적합

공업지역

2차 1 적합

3차 2 적합

4차 0 적합

평균 1 적합

O-44 여수시사업장

부지경계

1차 - -

공업지역

2차 1 적합

3차 1 적합

4차 1 적합

평균 1 적합

주) 악취강도 평균값이 0.5인 경우 반올림하여 1.0으로 처리하여 최종판정을 함

Page 104: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17

계 절 별 악 취 도 변 화

0

1

2

3

4

5

1 차 2 차 3 차 4 차

악 취강 도

O -6 O -2 8 O -3 2

<그림 4-45> 부적합한 3개지점의 계절별 악취도

0

1

2

3

4

빈 도 수

1 차 (추 계 ) 2 차 (동 계 ) 3 차 (춘 계 ) 4 차 (하 계 )

조 사 시 기

계 절 별 부 적 합 판 정 빈 도

<그림 4-46> 전체 조사지점의 계절별 부적합 판정빈도수

Page 105: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18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2) 기기분석법

직접관능법은 사람의 후각에 의해 악취정도를 판단하는 것으로, 후각에 의한

냄새 식별은 기상조건, 건강상태, 피로 그리고 정신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

문에 판정인에 따라 조사결과가 상이하게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객관적

인 악취조사를 위해서는 정량적으로 판정할 수 있는 기기분석법을 병행하여야 한

다. 본 연구에서는 2002년 6월(하계)에 40개 조사지점에 대하여 황화합물과 방향족

화합물에 대해 기기분석법으로 성분별 농도를 조사하였다.

<표 4-61>는 악취물질의 성분별 분석결과로 황화합물중에서 황화수소의 경우

조사지점 중 광양시 2개 지점을 제외한 주거 및 공업지역의 모든 지점에서 검출되

었으며, 황화메틸은 주로 주거지역인 7개 지점에서만 농도가 검출되었다. 또한 이황

화메틸, 메틸메르캅탄 성분들은 주거지역 보다는 주로 공업지역에서 유사한 농도

분포로 조사되었다. 방향족화합물중에서는 톨루엔이 가장 높은 농도를 보였으며, 가

장 높은 농도로 조사된지점은 O-11 261.49 ppb 이며, 최저 농도지점은 O-21 0.05

ppb로 조사되었다. 조사대상 지점에서 측정된 악취물질의 성분별 평균농도를 보면

황화합물의 황화수소 성분은 5.07 ppb, 황화메틸 0.82 ppb, 이황화메틸 1.90 ppb, 메

틸메르캅탄 2.66 ppb 였으며, 방향족화합물인 톨루엔 성분은 38.25 ppb, m,p-자일렌

0.93 ppb, o-자일렌 0.25ppb, 스티렌 0.18ppb 등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대체적으로

공업지역이 주거지역에 비해 높은 농도로 여러 악취물질이 존재하였다.

<표 4-62>와 같이 지역별 악취농도를 살펴보면, 황화합물의 경우 광양지역은

모두 4개지점에서 평균 황화수소 농도가 2.0 ppb, 황화메틸이 0.38 ppb로 조사되었

으며, 여수지역은 34개 지점에서 황화수소 5.53 ppb, 황화메틸 0.86 ppb, 이황화메틸

2.24 ppb, 메틸메르캅탄 3.13 ppb로 조사되었다. 또한 순천지역은 해룡면(현대하이스

코(주)인근) 1개지점과 대조지점(순천시 황전면 소재)에서 조사한 결과, 해룡면에서

는 황화수소 3.80 ppb, 황화메틸 3.90 ppb로 조사되었으며, 대조지점인 황전면에서

는 황화수소 2.68 ppb, 스티렌이 0.05 ppb로 조사되어 해룡면 보다는 낮은 악취도를

보이고 있었다. 방향족화합물은 톨루엔이 전반적으로 다른 성분보다 높았으며, 톨루

엔 성분의 경우 여수지역이 45.68 ppb, 광양지역 0.58 ppb, 순천지역 0.14 ppb 순으

로 조사되었다.

직접관능법에 의한 악취도 조사결과와 같이 기기분석법에 의한 성분별 악취농

도도 여수지역이 순천 및 광양지역 보다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석유화

Page 106: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19

학 관련 산업이 밀집되어 있는 여수산단에서 악취 오염원이 다량 존재하면서 산발

적으로 분포되는 산업 특성에 의해 간헐적으로 배출되는 VOC물질(악취물질 포함)

에 의한 영향으로 보여진다.

<표 4-61> 기기분석법에 의한 악취물질 성분별 농도 결과 (단위 : ppb)

지 역측정

지점

황화합물질소

화합물방향족화합물

비 고황화

수소

황화

메틸

이황화

메틸

메틸

메르

캅탄

트리

메틸

아민

톨루엔* m,p -

자일렌*o -

자일렌* 스티렌

광양시

O-1 1.60 1.50 ND ND ND 0.51 10.09 0.14 ND 준공업지역

O-2 ND ND ND ND ND 1.69 0.11 0.20 ND 주거지역

O-3 ND ND ND ND ND 0.11 0.03 0.08 ND 주거지역

O-4 6.40 ND ND ND ND - - - ND 상업지역

순천시 O-5 3.80 3.90 ND ND ND 0.23 0.44 0.42 ND 주거지역

여수시

O-6 3.90 4.00 ND ND ND 99.87 0.36 0.29 ND 공업지역

O-7 18.00 14.00 ND ND ND 5.66 0.26 0.40 ND 준공업지역

O-8 ND ND ND ND ND 20.20 1.12 0.43 ND 공업지역

O-9 6.60 4.60 ND ND ND 2.23 0.49 0.23 ND 공업지역

O-10 4.40 3.70 ND ND ND 0.35 0.09 0.12 ND 주거지역

O-11 ND ND ND ND ND 261.49 0.24 0.20 ND 공업지역

O-12 4.60 1.10 ND ND ND 2.35 0.22 0.42 ND 주거지역

O-13 3.29 ND 1.77 2.11 - - - - 0.09 주거지역

O-14 3.67 ND 1.87 2.15 - - - - 0.12 공업지역

O-15 2.85 ND 2.77 2.09 - - - - 0.18 주거지역

O-16 3.48 ND 2.06 2.30 - - - - 0.16 주거지역

O-17 3.35 ND 1.97 2.17 - 1.23 0.44 0.31 0.98 공업지역

O-18 3.37 ND ND 2.25 - 0.52 0.08 0.09 0.18 주거지역

O-19 3.17 ND ND 2.16 - - - - 0.18 주거지역

O-20 13.17 ND ND 7.87 - - - - 0.13 주거지역

* : 일본 악취규제 22개 항목에 포함되는 성분임

Page 107: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20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표 4-61> (계 속) (단위: ppb)

지 역측정

지점

황화합물질소

화합물방향족화합물

비 고

황화

수소

황화

메틸

이황화

메틸

메틸

메르

캅탄

트리

메틸

아민

톨루엔* m,p -

자일렌*o -

자일렌* 스티렌

여수시

O-22 12.01 ND 3.54 4.70 - - - - 0.15 공업지역

O-23 7.35 ND 3.52 4.61 - 63.45 0.36 0.29 0.31 공업지역

O-24 6.30 ND 3.91 4.51 - - - - 0.22 공업지역

O-25 5.65 ND 3.54 4.48 - 47.98 0.19 0.16 0.38 공업지역

O-26 6.35 ND 4.28 4.47 - 31.79 0.29 0.23 0.31 공업지역

O-27 5.47 ND 3.64 4.41 - - - - 0.25 공업지역

O-28 5.28 ND 3.44 4.29 - 45.75 0.47 0.33 0.19 공업지역

O-29 5.05 ND ND 4.27 - - - - 0.19 공업지역

O-30 5.44 ND 3.31 4.32 - - - - 0.16 공업지역

O-31 5.46 ND 3.47 4.28 - 57.63 0.46 0.33 0.27 공업지역

O-32 5.92 ND 3.39 4.36 - 30.25 4.97 0.61 0.44 공업지역

O-33 6.37 ND 4.18 4.69 - - - - 0.38 공업지역

O-34 5.36 ND 3.56 4.28 - 32.91 0.21 0.16 0.20 공업지역

O-35 5.15 ND 3.50 4.28 - - - - 0.22 공업지역

O-36 5.25 ND 3.33 4.27 - - - - 0.29 공업지역

O-39 5.16 ND 3.71 4.28 - - - - 0.29 공업지역

O-40 5.08 ND 3.46 4.28 - 138.43 0.18 0.18 0.36 공업지역

O-43 5.19 ND 3.96 4.28 - 35.05 0.18 0.22 0.22 공업지역

O-44 6.29 ND 3.93 4.38 - - - - 0.28 공업지역

대 조

지 점O-21 2.68 ND ND ND - 0.05 0.01 0.01 0.05 대조지역

Page 108: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21

<표 4-62> 지역별 평균 악취농도 (단위 : ppb)

악취성분

구 분

황화합물 악취성분

구 분

방향족화합물

황화

수소

황화

메틸

이황화

메틸

메틸

메르캅탄톨루엔

m,p -

자일렌

o -

자일렌스티렌

여수시

(n=34)

주거지역

(n=8)4.79 0.85 0.83 2.35

여수시

(n=18)

주거지역

(n=3)1.35 0.16 0.27 ND

공업지역

(n=26)5.76 0.87 2.67 3.38

공업지역

(n=15)51.59 0.68 0.29 0.24

계 5.53 0.86 2.24 3.13 계 45.68 0.62 0.29 0.23

순천시

(n=2)

주거지역

(n=1)3.8 3.9 ND ND

순천시

(n=2)

주거지역

(n=1)0.23 0.44 0.42 ND

대조지역

(n=1)2.86 ND ND ND

대조지역

(n=1)0.05 0.01 0.01 0.05

계 3.33 2.00 ND ND 계 0.14 0.23 0.22 0.03

광양시

(n=4)

주거지역

(n=2)ND ND ND ND

광양시

(n=3)

주거지역

(n=2)0.9 0.07 0.14 ND

공업지역

(n=1)1.6 1.5 ND ND

공업지역

(n=1)0.51 10.09 0.14 ND

상업지역

(n=1)6.4 ND ND ND

상업지역

(n=0)- - - -

계 2.00 0.38 ND ND 계 0.58 2.56 0.11 ND

주) * : 스티렌의 조사지점은 40개지점 임.

Page 109: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22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0

1

2

3

4

5

6

농도

(ppb)

황 화 수 소 황 화 메 틸 이 황 화 메 틸 메 틸 메 르 캅 탄

지 역 별 평 균 악 취 농 도

여 수 시 (n=34) 순 천 시 (n=2) 광 양 시 (n=4)

<그림 4-47> 조사지역의 성분별 악취 평균농도(황화합물)

45.68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5.0

농도

(ppb)

톨 루 엔 m,p-자 일 렌 o-자 일 렌 스 티 렌

지 역 별 평 균 악 취 농 도

여 수 시 (n=18) 순 천 시 (n=2) 광 양 시 (n=3)

<그림 4-48> 조사지역의 성분별 악취 평균농도(방향족화합물)

Page 110: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23

4. 오염물질별 장래 대기오염도 예측

4.1 일반 대기오염물질 예측

○ 비반응성 물질인 SO2, PM-10, CO와 반응성 물질이지만 ISC모델로 예측이

가능한 NO2에 대해서 현황과 개선목표 달성연도인 2006년, 2009년도에 대해

모델링을 실시하였다. 2006년, 2009년도의 장래 예측은 개선대책을 시행하지

않는 상태이며, 제3장에서 예측된 장래 배출량을 사용하였다.

○ 장기환경기준의 달성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ISCLT(ISC 장기모델)를 사용하

여 연간 및 계절별 현황과 장래예측모델링을 수행하였으며, 단기환경기준의

달성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ISCST(ISC 단기모델)를 사용하여 24시간에 대하

여 현황과 장래예측 모델링을 실시하였다.

4.1.1 ISC모델의 개요

○ ISC 모형은 단기예측을 위한 ISCST와 장기예측을 위한 ISCLT로 분리된다.

○ ISC(Industrial Source Complex)모델은 다양한 종류의 오염원으로부터 배출

되는 오염물질을 모사하여 오염원 주변지역에 대한 그 영향을 예측하기 위

해 미국 EPA에서 개발 보급한 규제모델로서, 주로 비반응성물질의 모사에

이용되고 있다.

○ 미국의 경우 ISC모델을 이용하여 새로운 오염원의 허가나 주정부 달성계획

(State Implementation Plan, SIP) 수행시 가이드라인으로서 이용하고 있으

며, 대기오염 확산모델로서 광화학반응 메카니즘을 수식화하여 반응성 대기

오염 물질의 영향을 고려하는 UAM(Urban Airshed Model)과 함께 ISC

Version 3(이하 ISC3)을 널리 이용하고 있다.

○ ISC3 모델은 크게 ISCLT3 (Industrial Source Complex Long-Term)와

ISCST3 (Industrial Source Complex Short-Term) 모델로 구분되는데,

ISCLT의 경우 대형 화력발전소나 소각장 건설, 주거지역 및 공업단지 조성

등 새로운 오염원 증가에 따른 영향을 예측하는데 이용될 수 있으며 에너지

대체, 규제 및 증설에 따른 대기오염물질의 배출 증감 등 에너지원과 배출

Page 111: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24

변화에 따른 주변환경의 변화 등 장기적인 대기질 영향을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ISC 모델의 일반적인 특징은 <표4-63>에 나타내었다.

○ ISC 모델에 사용된 기본식은 점오염원과 면오염원으로 분리하여 사용되며,

아래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점오염원 계산공식

Χ(χ,y)=QKVD

2π u s σ y σ z

exp [- 0.5 ( yσ y

)2

]

여기서,

Q : 점오염원 오염물질 배출량(g/sec)

K : 계산된 농도를 요구하는 단위로 전환시키는 변수

(예로 Q단위가 g/sec이고 출력농도가 ㎍/㎥인 경우 기본값은 1×106)

V : 수직방향 확산 항

D : 감쇄지수

σY,σZ : Y, Z 방향 농도분포로부터의 표준편차(m)

u s : 연돌높이(h)에서의 평균 풍속(m/sec)

Χ (x,y ) : x, y거리에서의 지면 농도(㎍/㎥)

▶ 면오염원 계산공식

Χ (χ,y ) =Q A K

2π u s

⌠⌡x

VDδ y δ z

[ ⌠⌡y

exp (- 0.5 ( yσ y

)2

)] d x

여기서, Q : 면오염원 오염물질 배출량(g/sec․㎡)

Page 112: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25

<표 4-63> ISC 모델의 일반적인 특징

구 분 내 용

모델의

개 요

․정상상태 가우시안 퓰륨 모델

․공단형태의 오염원으로부터의 단기 영향 농도 예측

사용범위

․도시 및 농촌 지역의 공단 등과 같은 복잡한 오염원

․평탄하거나 기복이 있는 지형

․평균 예측 시간은 1시간부터 1년

입력자료

․오염원 : 위치, 배출 강도, 연돌고, 가스 배출 속도, 연돌 내경,

배출 가스온도, 오염원 표고, 건물 직경, 입경 분포, 지

표면 거칠기

․기 상 : 시간별 대기 안정도, 풍향, 풍속, 기온, 혼합고, STAR

(종합빈도 함수), 6등급 안정도, 풍속 등급별 평균 혼

합고, 안정도 등급별 평균 기온)

․예측점 : 평형, 극 좌표계, 특정 지점 예측 좌표, 지표고

출력형태

․입력 옵션(control parameter)

․시간별 기상 자료

․상위 50개 최대 농도(ISCST)

․예측점에서의 일별, 계절별 평균 농도

오염물의

종 류

․1차 오염물질, 비반응성 물질 그리고 반감기를 고려한 화학 반

응성이 있는 오염물질

오 염 원 과

예측점 범위․점, 선, 면, 입체 그리고 노천 오염원의 입력범위에 제한이 없음

연기해석

․Briggs의 연기상승식 및 stack tip downwash식 사용

․Huber & Shulman의 building wake algorithm 사용

․fumigation은 적용하지 않음

수평풍

․시간대별 steady-state

․도시, 농촌에 따른 풍속 저감율 적용

․단기 예측시 무풍 적용이 가능

수직풍속 ․0으로 처리

수평확산

․Turner의 농촌지역 확산 계수를 적용

․McElory의 도시지역 확산 계수를 적용

․Sector averaged plume식에서는 수평 확산 계수를 무시

수직확산․Turner의 농촌지역 확산 계수를 적용

․McElory의 도시지역 확산 계수를 적용

화학반응 ․반감기를 이용한 오염물질의 감쇠 효과 고려

Page 113: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26

○ 평균풍속의 경우 지표면에서 측정된 값을 바탕으로 오염물질이 배출되는 높

이에서의 바람속도(us)를 power law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산출하며, us는

1.0 m/s 보다 커야하는 제한점이 있다.

▶ 평균풍속의 산출

u s = u ref( h s

z ref)

p

여기서, u s : 평균풍속(m/s), u ref : 배출원의 높이(m),

p : wind profile exponent

○ wind profile exponent는 <표4-64>와 같이 대기안정도 계급과 도시지역

와 도시지역에 따라서 각각 다른 값을 갖는다.

<표 4-64> 안정도 등급에 따른 바람지수(Wind profile exponent)

대기안정도 교 외 지 역 도 시 지 역

A 0.07 0.15

B 0.07 0.15

C 0.10 0.20

D 0.15 0.25

E 0.35 0.30

F 0.55 0.30

자료 : U.S. EPA, 1995

○ 대기확산계수 σy,σz도 대기안정도와 오염물질 배출원으로부터의 거리(km)에

따라 달라지며, 교외지역에서는 Pasquill-Gifford curve(Turner, 1970)에 의

해 산출된다. 또한, 도시지역에서는 McElroy와 Pooler(1968)가 보고한 값과

가장 잘 부합되는 Briggs formula(Gifford, 1976)을 사용한다.

○ 모델을 운용하기 위해서는 크게 기산자료와 오염원의 위치, 배출량,

Receptor 위치, 기상자료 특성, 출력형식 등을 설정하기 위해 두가지의 기본

Page 114: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27

자료가 필요하다. 기본자료는 일반제어, 오염원, Receptor, 기상, 지형, 출

력 등 6부분으로 구분되며, 자세한 내용은 <표 4-65>과 같다.

○ 모사 영역내 Receptor 수의 경우 1200개까지 가능하며, 모사시간을 고려하여

그 수를 제한할 수 있으며, 오염원의 개수는 모사당 1,000개까지 가능하다.

<표 4-65> ISC3 모델의 기본 입력자료

구 분 내 용 비 고

기상자료기상자료 입력(풍향, 풍속, 기온,

안정도, 혼합고 등)

ISCLT : JFF 형식

ISCST : 매시간별 자료입력

일반제어 모사 option, 모사기간, 오염물질 등 SOx의 decay 고려 가능

오 염 원오염원의 위치 및 배출량

(오염원 개수 400개 이하로 제한)

점오염원 : 배출량(g/sec), 연돌높이

및 내경, 배출속도 등

면오염원 : 배출량(g/sec-m2) 및

면오염원 크기(m)

Receptor Receptor의 위치 및 높이 모사영역내 오염물질 영향 파악

기 상 모사시 기상자료 입력 기상자료 특성 지정

지 형 지형값 모사지역의 지형특성

출 력 출력형식 지정 모사결과의 출력조건 지정

Page 115: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28

1) ISC3 수치모의를 위한 기상입력자료의 구축

○ 본 연구수행으로 인한 오염물질이 주변지역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기 위하

여 장․단기적인 영향 예측에 사용되는 ISC3 모델을 이용하여 비반응성물질

을 예측할 수 있다. ISC3는 가우스 모형으로 대상공간내 기상조건이 균질하다

는 기본적인 가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대표지점의 측정자료에 기반하여

기상장을 도출하여 일반적으로 사용하게 된다.

○ ISCLT는 모델링 대상기간 동안의 기상장을 분석하여 풍향, 풍속에 대한 결

합빈도함수(Joint Frequency Fucntion)를 구성하여 입력자료로 사용한다. 또

한, LSCST는 단기 모델링 대상기간 동안 PARAMMET 등의 기상 전처리 프

로그램을 사용하여 지상 및 상측관측 자료에 기반하여 혼합고, 풍향, 풍속, 마

찰속도 등을 도출하여 사용한다.

○ ISC3 모델을 수행하기 위하여 본 과업에서는 여수 기상대에서 제공한 1992

년도에서 2001년도까지 기상자료를 이용하였다.

2) 수치모사를 위한 오염물질의 입력 자료

○ 배출원자료는 크게 점배출원과 면배출원으로 구분하여 입력되며, 장기 및 단

기 모데링 조건에 따라 시간평균화 기간이 달라진다. 배출원 입력자료는 제

3 장에나타낸 배출량조사 및 분석을 통해 구성하였다.

○ 점오염원 자료는 여수공단, 광양공단, 광양제철소 및 순천공단에서 배출되는

배출량과 굴뚝제원을 이용하였으며, 도로 및 기타 오염원은 비점오염원으로

입력하였다.

○ 제3장 배출원별 배출량 산정부분에서 산정한 자료에 대한 모델링의 입력자료

로 활용하기 위해 오염물질별에 대한 공간적인 분포로 나타내었다.

○ <그림 4-49>는 SO2 배출량의 공간적인 분포, <그림 4-50>은 PM-10 배출

량의 공간적인 분포, <그림 4-51>은 NO2 배출량의 공간적인 분포, <그림

4-52>는 VOCs 배출량의 공간적인 분포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Page 116: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29

<면오염원> <점오염원>

<그림 4-49> SO2의 배출원별 배출량의 공간적인 분포(단위:kg/yr)

<점오염원> <이동(도로) 오염원>

<그림 4-50> PM-10의 배출원별 배출량의 공간적인 분포(단위:kg/yr)

Page 117: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30

<점오염원> <이동(도로) 오염원>

<그림 4-51> NOx의 배출원별 배출량의 공간적인 분포(단위:kg/yr)

<점오염원> <면오염원>

<그림 4-52> VOCs의 배출원별 배출량의 공간적인 분포(단위:kg/yr)

Page 118: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31

○ 광양만권역의 일반 대기오염물인 SO2, CO, NOx 및 PM-10의 농도를 예측하

기 위해 사용하였으며, 대상영역은 본 과업범위와 동일한 영역(40×40grid,

1km×1km)이다. <표 4-66>는 일반 대기오염물질에 대한 모델링 계획을 나타

낸 것이다.

<표 4-66> 일반대기오염물질 모델링 계획

구 분 SO2 NO2 CO PM-10

장기예측 연간, 계절별 연간, 계절별 연간, 계절별 연간, 계절별

사용모델 ISC3(Industrial Source Complex) Dispersion Model

모델링

영 역- 본 과업범위

- 40×40 grid, 1km×1km

방 법

1. 현황모델링

- 1999년

2. 장래 오염물질 농도 예측

- 2006년, 2009년

- 실천계획(저감대책) 시행 전

- 실천계획(저감대책) 시행 후

4.1.2 장기모델

○ SO2, PM-10, NO2, CO 4가지 물질에 대해 ISCLT를 사용하여 연간 및 계절

별로 현황과 장래예측 모델링을 수행하였으며, 장기환경기준의 달성여부를 예

측 하여 보았다.

○ ISC를 사용한 장기 모델링 수행에는 연속적인 시간별 기상자료가 사용되는

단기모델과는 달리 기상결합 빈도함수가 사용된다. 본 모델링의 수행에는 여

수기상대에서 관측한 10년 간의 관측자료를 사용하여 기온, 풍향, 풍속, 안정

도 및 혼합고 등의 빈도함수로 구성항 연간, 계절별 MJFF를 현황과 장래예측

기상입력자료로 사용하였다.

○ 배출입력자료는 여수시, 순천시, 광양시의 40km×40km 영역내에 있는 오염물

질 배출량을 각 항목별로 각각 점오염원과 면오염원으로 계산하여 사용하였

Page 119: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32

다. 점오염원의 경우 전라남도에서 관할하고 있는 1~3종 사업장에 대해 SO2,

CO, NO2, CO, PM-10에 굴뚝제원을 고려하여 계산하였으며, 면오염원의 경우

1km×1km의 격자로 나누어 4, 5종 사업장 및 주거, 도로, 철도, 항만, 선박 등

의 선오염원을 함께 고려하였다.

○ 장래예측을 수행한 2006년과 2009년 계획년도에 대해서 오염원별 변화요인

을 감안하여 예측된 배출량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개선대책을 시행하기 전의

모델링을 나누어 수행하였다.

Page 120: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33

1) 장기 모델링 결과의 상관 관계 분석

○ 대상영역인 광양만권역에는 6개의 대기자동관측망이 있으며, 본 과업에 사용

한 장기모델에 대한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측정소에서 항목별로 측정된

1992년도~2001년도 연평균 관측값과 장기모델링의 계산값과의 상관관계를 살

펴보았다.

○ 항목별 선형회귀식의 기울기 및 절편값과 상관계수는 <그림 4-53>에서 보

는 바와 같다. 선형회귀식의 경우, 기울기는 ‘1’에 가까울수록, Y절편은 ‘0’에

가까울수록 두 값의 변화경향이 유사함을 나타낸다. 상관계수의 경우는 ‘1’에

가까울수록 두 값 사이의 상관관계가 높음을 나타내는데, 0.7이상이면 상관관

계가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SO2, CO, NO2, PM-10에 대해 상관계수 R은 각

각 0.82, 0.85, 0.77, 0.73이었으며 계산값은 관측값과 유사하게 나타나 ISCLT

를 통한 대상지역의 모델링 결과와 유사함을 나타내었다.

SO2

y = 0.9158x + 0.0003

R2 = 0.8233

0

0.003

0.006

0.009

0.012

0.015

0.018

0.000 0.005 0.010 0.015 0.020측정값

계산

CO

y = 0.6414x + 0.3125

R2 = 0.8561

0.0

0.3

0.6

0.9

1.2

1.5

0.0 0.5 1.0 1.5 2.0측정값

계산

NO2

y = 0.7632x + 0.0039

R2 = 0.7722

0.010

0.015

0.020

0.025

0.030

0.000 0.010 0.020 0.030측정값

계산

PM10

y = 0.834x + 2.7749

R2 = 0.7349

0

20

40

60

80

0 20 40 60 80

측정값

계산

<그림 4-53> ISC3 모델결과와 관측값과의 상관관계

Page 121: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34

2) 장기 모델링 결과

가) 연간 현황 모델링 결과

○ ISCLT를 사용하여 SO2, CO, NO2,, PM-10 4가지 물질에 대한 연간 현황 모

델링을 수행하였다. 기상입력자료로 10년간의 여수기상대의 기상자료를 이용

하여 구성된 연간 MJFF를 사용하였으며, 배출입력 자료로 대상영역 내의

점․선․면오염원에 따른 연간 배출량을 각 물질별로 산출하여 사용하였다.

○ <그림 4-54>에 연간 현황 모델링 결과를 제시하였으며, SO2, CO, NO2

PM-10의 순으로 나타내었다. 대상영역에 대해서 격자별로 계산된 연간농도를

평균하여 평균농도를 구하였으며, 전 대상영역내의 최대농도 값을 구하였다.

SO2, CO, NO2, PM-10, 평균 농도값은 각각 0.011ppm, 1.2ppm, 0.019ppm,

57.10㎍/m3이었으며, 최대농도값은 각각 0.017ppm, 2.41ppm, 0.028 ppm, 69.50

㎍/m3이었다. 장기간의 풍향과 풍속의 영향으로 광양만권역의 오염원에 의한

오염물질의 확산은 대체로 남동쪽인 광양만 내역과 남해도 방향으로 흘러가는

분포를 나타내었다.

○ 장기모델 결과는 특정한 방향으로 부는 풍속과 풍향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보다 우세한 풍향의 흐름을 따르므로 배출강도가 큰 여수공단과 광양제철소에

서의 오염물질이 인근 지역으로 확산되는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 CO는 주로 배출원이 자동차에서 배출되기 때문에 국도17호선, 국도2호선,

남해 및 호남고속도로를 중심으로 확산되는 것을 알 수 있다.

Page 122: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35

SO2(ppm) CO(ppm)

NO2(ppm) PM-10(㎍/㎥)

<그림 4-54> 연간 현황 모델시 오염물질별 농도분포(SO2, CO, NO2, PM-10)

Page 123: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36

가) 계절별 현황

○ SO2, CO, NO2, PM-10 4가지 물질에 대해 ISCLT를 이용하여 계절별 장기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기상입력자료는 10년간의 여수기상대 기상자료를 사용

하여 계절별로 구성한 MJFF를 사용하였으며, 배출입력자료로 대상영역 내의

점․선․면오염원에 따른 계절별 배출량을 각 물질별로 산출하여 사용하였다.

○ <그림 4-55>~<그림 4-58>에 계절별 현황 모델링시 각 오염물질별 농도분

포를 봄, 여름, 가을, 겨울의 순으로 모델링을 수행하여 나타내었다. 계절별 장

기 모델링 결과 역시 장기간의 풍향과 풍속의 영향으로 오염물질의 확산이 발

생원 강도가 큰 여수산단 및 광양제철소를 중심으로 농도분포가 형성되고 있

으며, 우리나라의 계절적인 영향이 연간 농도분포에 잘 반영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 계절적인 특징을 살펴보면, 전 계절에 있어서 남동방향인 광양만 쪽으로의

오염물질 확산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봄과 겨울에는 남동쪽으로 확산

이 나타나 북서풍의 영향이 나타남을 보여주고 있으며, 겨울의 풍속이 보다

강하게 나타나 오염물질의 확산이 남쪽으로 더 크게 확산되는 경향을 나타내

고 있다.

Page 124: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37

SO2 Spring (ppm) SO2 Summer (ppm)

SO2 Fall (ppm) SO2 Winter (ppm)

<그림 4-55> 계절별 현황 모델시 SO2 농도분포 (ppm)

Page 125: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38

CO Spring (ppm) CO Summer (ppm)

CO Fall (ppm) CO Winter (ppm)

<그림 4-56> 계절별 현황 모델시 CO 농도 분포

Page 126: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39

NO2 Spring (ppm) NO2 Summer (ppm)

NO2 Fall (ppm) NO2 Winter (ppm)

<그림 4-57> 계절별 현황 모델시 NO2 농도 분포

Page 127: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40

PM-10 Spring (㎍/㎥) PM-10 Summer (㎍/㎥)

PM-10 Fall (㎍/㎥) PM-10 Winter (㎍/㎥)

<그림 4-58> 계절별 현황 모델시 PM-10 농도 분포

Page 128: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41

나) 연간 장래 예측 결과

○ SO2, NO2, CO, PM-10의 4가지 대기오염물질에 대해 ISCLT를 사용하여

2006년과 2009년 계획연도에 대해서 장래예측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기상입력

자료는 지난 10년간의 여수기상대의 관측자료로 구성한 연간 MJFF를 사용하

였는데, 장래의 기상은 예측하기가 어려우며 10년 내외의 기간에서 변화가 크

지 않으므로 장래 예측에도 사용하였다. 배출 입력자료는 2006년과 2009년 계

획연도에 대해 대상지역 내의 오염원의 변화요인을 감안하여 예측하여 사용하

였다.

○ 2006년과 2009년의 연간 장래 예측 모델링 결과를 <그림 4-59>에 나타내었

다. 2006년도의 SO2, CO, NO2, PM-10의 평균농도값은 각각 0.014ppm,

1.38ppm, 0.028ppm, 62.8㎍/m3이었으며, 최대농도값은 각각 0.028ppm, 2.0ppm,

0.042ppm, 78.8㎍/m3이었다. 2009년의 경우 SO2, CO, NO2, CO, PM-10의 평균

농도값은 각각 0.017ppm, 1.43ppm, 0.030ppm, 63.5㎍/m3 이었으며, 최대농도값

은 각각 0.030ppm, 2.6ppm, 0.47ppm, 80.4㎍/m3으로 나타났다.

○ 장기 모델링의 결과로 2006년과 2009년에 대해 나타나는 연평균 오염농도의

증가는 장래에 예측되는 인구수와 자동차 등록대수, 주택공급량 등의 증가에

따른 배출량에 의한 것과 광양제철소 확장, 현대강관, 광양화력발전소, 현대

LNG 화력발전, 여수공단확장, 광양 콘테이너 부두확장 및 율촌1공단의 조성 등

산업시설에 의해 증가에 따른 배출량에 의한 것이다. 현재 시행중인 청정연료

사용시책, 교통관련 정책, 환경보전에 대한 시민인식 전환등을 고려하지 않을

경우로, 예상할수 있는 최대 배출량 증가에 따라 계산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제 6장에서 제시될 대책과 배출저감 시나리오에 의한 배출량을 고려한다면, 연

평균 오염농도는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 장래 예측 모델링 결과, 장기간의 풍향 중 북서풍이 주풍향이므로오염물질의

확산이 대체로 광양만 내해 및 여수시 방향으로 농도분포가 나타나고 있다. 또

한, 장래의 배출량 증가로 현황 모델링 결과보다 다소 높은 농도분포를 나타내

었다. 그리고, CO와 NO2를 제외한 SO2, PM-10은 대기오염 배출원 강도가 높

은 태인동, 중동, 삼일동 및 월래동에서 장기 환경기준에 미달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NO2는 목표년도인 2006년도와 2009년도에는 환경기준에는 달성하고 있으

나, 오존(O3)의 전구물질로 광양만권의 오존 농도를 저감하기 위해서는 NO2에

Page 129: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42

대한 배출량을 저감해야 한다.

SO2(ppm) CO(ppm)

NO2(ppm) PM-10(㎍/㎥)

<그림 4-59> 장래(2006) 예측 모델링시 오염물질별의 농도분포

Page 130: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43

SO2(ppm) CO(ppm)

NO2(ppm) PM-10(㎍/㎥)

<그림 4-60> 장래(2009) 예측 모델링시 오염물질별의 농도분포

Page 131: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44

3] 장기 환경기준 달성 여부

○ 모델링을 통해 계산된 1999년 현황과 2006년, 2009년 장래 예측에 대한 장기

모델링 결과를 연간 환경기준과 함께 나타내어 장기 환경기준의 달성여부를 살펴보

았다. 광양만권역의 6개 측정소와 동일한 지점에서 계산값을 오염물질별로 연간 환

경기준과 비교하였다. <표 4-67>~<표 4-70>에는 광양만권역의 6개 측정소 지점

에서 ISCLT를 통해 모사된 1999년, 2006년, 2009년의 연평균 농도값을 제시하였다.

<표 4-67> 기준연도별 SO2 계산결과

항 목 측정소 1999 2006 2009

SO2

(ppm)

광무동 0.01 0.014 0.016

삼일동 0.016 0.022 0.027

월래동 0.012 0.021 0.023

중 동 0.009 0.014 0.016

태인동 0.011 0.016 0.02

장천동 0.004 0.008 0.012

<표 4-68> 기준연도별 CO 계산결과

항 목 측정소 1999 2006 2009

CO

(ppm)

광무동 0.7 1.6 1.8

삼일동 0.7 1.3 1.7

월래동 0.6 1.2 1.4

중 동 0.7 1.5 1.7

태인동 0.8 1.3 1.6

장천동 0.8 1.7 2.3

Page 132: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45

<표 4-69> 기준연도별 NO2 계산결과

항 목 측정소 1999 2006 2009

NO2

(ppm)

광무동 0.015 0.027 0.032

삼일동 0.024 0.031 0.037

월래동 0.02 0.032 0.041

중 동 0.014 0.029 0.036

태인동 0.015 0.032 0.036

장천동 0.018 0.03 0.036

<표 4-70> 기준연도별 PM-10 계산결과

항 목 측정소 1999 2006 2009

PM-10

(㎍/m3)

광무동 60 64

삼일동 38 65 70

월래동 46 68 74

중 동 45 70 75

태인동 49 68 74

장천동 35 60 64

○ <그림 4-61>~<그림 4-64>에는 대기오염물질로 장기 환경기준 달성 여부

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그림 4-61>에 나타난 SO2의 연간 환경기준 달성 여

부를 살펴보면, 1999년과 2006년은 모든 측정소 지점에서 SO2의 연간 환경기준

인 0.02ppm을 만족하고 있으나, 2009년에는 삼일동, 월래동에서 환경기준을 약

간 미달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 <그림 4-62>는 CO에 대한 1999년 현황과 2006년, 2009년의 장래 예측 결과

를 나타내었는데, CO에 대해서는 장기 환경기준이 없으므로 비교하기 어려우

며, 시간평균 25ppm이 환경기준으로 되어 있다.

○ <그림 4-63>에는 NO2에 대한 연간 환경기준 달성 여부를 살펴보았다. 1999

년 현재 연간 환경기준인 0.05ppm을 넘는 지점이 없으며, 2006년에는 모든 측

정지점에서 환경기준을 만족하며, 2009년에 삼일동과 월래동에서 연간 환경기

Page 133: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46

준을 초과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 <그림 4-64>는 PM-10에 대한 장기 환경기준 달성 여부를 나타낸 것이며,

1999년에는 연간 환경기준인 70ug/m3을 근접하는 지점이 나타나며, 2006년과

2009년에는 중동과 태인동에서 연평균 농도가 70ug/m3가 넘는 것으로 예측되

었다.

○ 연간 현황과 장래 예측 모델링의 결과로 살펴본 장기 환경기준의 달성 여부

는 네 가지 물질 중 CO를 제외하고는 연간 환경기준을 미달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0.000

0.005

0.010

0.015

0.020

0.025

0.030

광무동 삼일동 월래동 중동 태인동 장천동

농도(ppm)

1999

2006

2009

<그림 4-61> SO2에 대한 장기 환경기준 달성여부

0.00

0.40

0.80

1.20

1.60

2.00

2.40

광무동 삼일동 월래동 중동 태인동 장천동

농도(ppm)

1999

2006

2009

<그림 4-62> CO에 대한 장기 환경기준 달성여부

Page 134: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47

0

0.01

0.02

0.03

0.04

0.05

0.06

광무동 삼일동 월래동 중동 태인동 장천동

농도(ppm)

1999

2006

2009

<그림 4-63> NO2에 대한 장기 환경기준 달성여부

0

20

40

60

80

100

광무동 삼일동 월래동 중동 태인동 장천동

농도(㎍/㎥)

1999

2006

2009

<그림 4-64> PM-10에 대한 장기 환경기준 달성여부

Page 135: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48

4.1.3 단기모델

○ SO2, PM10, NO2, CO 4가지 물질에 대해 ISCST를 사용하여 24시간 현황과

장래예측 모델링을 수행하였으며, 단기환경기준의 달성여부를 예측하였다.

○ 기상 입력자료는 여수기상대에서 관측자료 중 각각의 모델링 선정일의 연속

적인 기온, 풍향, 풍속, 안정도 및 혼합고 등이 현황과 잘래예측 기상입력자료

로 사용되었다.

○ 배출입력자료는 여수시, 순천시, 광양시의 40km×40km 영역내에 있는 오염물

질 배출량을 각 항목별로 각각 점오염원과 면오염원으로 계산하여 사용하였

다. 점오염원의 경우 전라남도에서 관할하고 있는 1~3종 사업장에 대해 SO2,

CO, NO2, CO, PM-10에 굴뚝제원을 고려하여 계산하였으며, 면오염원의 경우

1km×1km의 격자로 나누어 4, 5종 사업장 및 주거, 도로, 철도, 항만, 선박 등

의 선오염원을 함께 고려하였다.

○ 장래예측을 수행한 2006년과 2009년 계획년도에 대해서 오염원별 변화요인

을 감안하여 예측된 배출량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개선대책을 시행하기 전의

모델링을 나누어 수행하였다.

Page 136: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49

1) 단기 모델링 결과의 상관 관계 분석

○ 항목별 단기모델링의 계산값과 대상영역인 광양만권역에는 6개의 대기자동

관측소에서 항목별로 측정된 관측값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CO의 경우 8시

간 평균이 환경기준이므로 8시간 평균에 대해 모델링을 수행하였으며, SO2,

NO2, PM-10은 24시간에 대해 모델링하였다. 관측값은 각각의 모델링 선정일과

동일한 날의 관측값을 사용하였고, 관측소의 관측값과 동일한 지점에서 계산값

을 1차선형회귀분석을 통하여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 사업지구 내의 단기 환경기준 초과 항목은 주로 SO2에 대해서 발생하고 있

으며 나머지 항목인 CO, NO2, PM-10은 환경기준 초과횟수가 낮은 편이다.

○ 따라서, 에피소드 일은 주로 SO2의 환경기준 초과회수가 많은 겨울철과 봄철

을 대상으로 하였다. 겨울철은 1999년도 1월5일, 봄철은 1999년 3월 25일에 대

해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에피소드 일은 오염물질의 고농도가 예상되는 기상일

이므로, 에피소드 일에 오염물질의 농도가 환경기준 내에 나타나 있으면 전형

적인 기상일에도 오염도가 환경기준 내에 있을 것이라 사료되어 에피소드 일에

대해 단기모델링을 수행하였다.

SO2

y = 0.8094x + 0.0132

R2 = 0.5075

0

0.01

0.02

0.03

0.04

0.00 0.01 0.02 0.03 0.04

측정값

계산

CO

y = 0.6492x + 0.2685

R2 = 0.6396

0.0

0.4

0.8

1.2

1.6

2.0

0.0 0.4 0.8 1.2 1.6 2.0측정값

계산

NO2

y = 1.1289x - 0.0024

R2 = 0.6338

0

0.01

0.02

0.03

0.04

0.05

0.00 0.01 0.02 0.03 0.04 0.05측정값

계산

PM10

y = 0.8747x + 4.467

R2 = 0.5841

0

20

40

60

80

0 20 40 60 80측정값

계산

<그림 4-65> ISCST 모델결과와 관측값과의 상관관계

Page 137: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50

○ 항목별 선형회귀식의 기울기 및 절편값과 상관계수는 <그림 4-65>에서 보

는 바와 같다. 에피소드 일의 SO2, CO, NO2, PM-10에 대해 상관계수 R은 각

각 0.50, 0.64, 0.63, 0.58이었으며 계산값은 관측값과 유사하게 나타나 ISCST를

통한 대상지역의 단기 모델링 결과가 유사할 것으로 사료된다.

2) 단기 모델링 결과

가) 24시간현황 모델링 결과

○ ISCST를 사용하여 SO2, CO, NO2, PM-10의 에피소드 일에 대한 단기 현황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관측값 및 환경기준과의 비교를 위해 CO의 경우 8시간

평균 모델링을 수행하였으며, SO2, NO2,, PM-10에 대해서는 24시간 평균 모델

링을 실시하였다. 기상입력자료는 각각의 에피소드 일에 대한 시간별 관측자료

를 사용하였다.

○ <그림 4-66>에 1999년 1월 5일에 대한 24시간 및 8시간 현황 모델링시 항

목별 농도분포를 나타낸 것이며, SO2, CO, NO2, PM-10에 대한 최대 농도값은

각각 0.038ppm, 2.7ppm, 0.027ppm, 121.2㎍/m3이었다. 우리나라의 겨울철의 풍

계인 북서계절풍의 영향으로 오염물질의 확산이 남동쪽으로 형성되는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 <그림 4-67>에 1999년 3월 25일에 대한 24시간 및 8시간 현황 모델링시 항

목별 농도분포를 나타낸 것이며, SO2, CO, NO2, PM-10에 대한 최대 농도값은

각각 0.035ppm, 2.6ppm, 0.028ppm, 120.4㎍/m3,이었다.

○ ISCST를 통한 단기 모델링 결과의 경우 일기상의 풍향과 풍속이 오염물질

의 확산과 분포에 직접적인 미쳐 계절적인 영향을 장기모델결과보다 더욱 민감

하게 나타낼 수 있었다. 그리고 단기 환경기준을 초과하는 최대 농도값이 나

타나기도 하였으나, 이는 극히 일부지역의 오염물질 배출량 증가로 인한 것으

로 사료되며, 사업지구 내의 대부분 지역이 단기 환경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age 138: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51

SO2(ppm) CO(ppm)

NO2(ppm) PM-10(㎍/㎥)

<그림 4-66> 24시간 및 8시간 현황 모델시 오염물질별

농도분포(episode 1999. 1. 5)

Page 139: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52

SO2(ppm) CO(ppm)

NO2(ppm) PM-10(㎍/㎥)

<그림 4-67> 24시간 및 8시간 현황 모델시 오염물질별

농도분포(episode 1999. 3.25)

Page 140: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53

나) 24시간 장래 예측 결과

○ SO2, NO2, CO, PM-10의 4가지 대기오염물질에 대해 ISCST를 사용하여

2006년과 2009년의 에피소드 일에 대한 장래예측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기상입

력자료는 각각의 에피소드 일에 대한 시간별 자료를 사용하였다.

○ <그림 4-68>은 SO2에 대한 2006년과 2009년의 24시간 및 8시간 장래 예측

모델링 결과를 나타낸 것이며, 2006년과 2009년의 최대 농도값은 각각 1월5일

의 경우 0.043ppm, 0.046ppm, 3월 25일의 경우 0.036ppm, 0.038ppm으로 나타났

다.

○ <그림 4-69>는 CO에 대한 2006년과 2009년의 24시간 및 8시간 장래 예측

모델링 결과를 나타낸 것이며, 2006년과 2009년의 최대 농도값은 각각 1월5일

의 경우 3.2ppm, 3.5ppm, 3월 25일의 경우 3.3ppm, 3.7ppm으로 나타났다.

○ <그림 4-70>은 NO2에 대한 2006년과 2009년의 24시간 및 8시간 장래 예측

모델링 결과를 나타낸 것이며, 2006년과 2009년의 최대 농도값은 각각 1월5일

의 경우 0.027ppm, 0.029ppm, 3월 25일의 경우 0.032ppm, 0.034ppm으로 나타났

다.

○ <그림 4-71>은 PM-10에 대한 2006년과 2009년의 24시간 및 8시간 장래 예

측 모델링 결과를 나타낸 것이며, 2006년과 2009년의 최대 농도값은 각각 1월5

일의 경우 148㎍/㎥, 152㎍/㎥, 3월 25일의 경우 142㎍/㎥, 145㎍/㎥으로 나타났

다.

○ 장래 예측 모델링 결과, 장기간의 풍향 중 북서풍이 주풍향이므로오염물질의

확산이 대체로 광양만 내해 및 여수시 방향으로 농도분포가 나타나고 있다. 또

한, 장래의 배출량 증가로 현황 모델링 결과보다 다소 높은 농도분포를 나타내

었다. 그리고, CO와 NO2를 제외한 SO2, PM-10은 대기오염 배출원 강도가 높

은 태인동, 중동, 삼일동 및 월래동에서 장기 모델링 결과보다 민감하게 나타나

는 것을 알 수 있다.

○ SO2, PM-10에 대한 저감대책이 필요하며, NO2는 목표년도인 2006년도와

2009년도에는 환경기준에는 달성하고 있으나, 오존(O3)의 전구물질로 광양만권

의 오존 농도를 저감하기 위해서는 NO2에 대한 배출량을 저감해야 한다.

Page 141: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54

2006년 1월 5일 2009년 1월 5일

2006년 3월 25일 2009년 3월 25일

<그림 4-68> 24시간 및 8시간 장래 예측 모델시 SO2 농도분포

Page 142: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55

2006년 1월 5일 2009년 1월 5일

2006년 3월 25일 2009년 3월 25일

<그림 4-69> 24시간 및 8시간 장래 예측 모델시 CO 농도분포

Page 143: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56

2006년 1월 5일 2009년 1월 5일

2006년 3월 25일 2009년 3월 25일

<그림 4-70> 24시간 및 8시간 장래 예측 모델시 NO2 농도분포

Page 144: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57

2006년 1월 5일 2009년 1월 5일

2006년 3월 25일 2009년 3월 25일

<그림 4-71> 24시간 및 8시간 장래 예측 모델시 PM-10 농도분포

Page 145: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58

3] 단기 환경기준 달성 여부

○ 에피소드 일에 대한 단기모델링을 통해 계산된 현황과 2006년, 2009년 장래

예측에 대한 단기 환경기준과 함께 달성여부를 살펴보았다. 광양만권역의 6개

측정소와 동일한 지점에서 계산값을 각 항목별로 24시간 및 8시간 환경기준과

비교하였다.

○ <표 4-71>~<표 4-74>에는 광양만권역의 6개 측정소 지점에서 ISCST를

통해 모사된 1999년, 2006년, 2009년의 24시간 및 8시간 평균 농도값을 제시하

였다.

<표 4-71> 기준연도별 SO2 계산결과

항 목 측정소 1999 2006 2009

SO2

(ppm)

광무동 0.022 0.036 0.033

삼일동 0.028 0.041 0.044

월래동 0.035 0.043 0.045

중동 0.02 0.032 0.035

태인동 0.024 0.034 0.039

장천동 0.013 0.025 0.028

<표 4-72> 기준연도별 CO 계산결과

항 목 측정소 1999 2006 2009

CO

(ppm)

광무동 2.3 2.7 2.9

삼일동 2.9 3.6 3.9

월래동 2.3 2.7 3.2

중동 2.9 3.4 3.6

태인동 2.6 3.2 3.5

장천동 2.3 3 3.2

Page 146: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59

<표 4-73> 기준연도별 NO2 계산결과

항 목 측정소 1999 2006 2009

NO2

(ppm)

광무동 0.018 0.025 0.026

삼일동 0.028 0.033 0.035

월래동 0.029 0.032 0.034

중 동 0.018 0.019 0.022

태인동 0.022 0.026 0.028

장천동 0.013 0.022 0.023

<표 4-74> 기준연도별 PM-10 계산결과

항 목 측정소 1999 2006 2009

PM-10

(㎍/㎥)

광무동 88 98 105

삼일동 98 112 134

월래동 108 117 138

중동 78 105 116

태인동 105 120 140

장천동 62 90 98

○ <그림 4-72>~<그림 4-75>에는 대기오염물질로 장기 환경기준 달성 여부

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그림 4-72>에 나타난 SO2의 연간 환경기준 달성 여

부를 살펴보면, 1999년과 2006년은 모든 측정소 지점에서 SO2의 연간 환경기준

인 0.02ppm을 만족하고 있으나, 2009년에는 삼일동, 월래동에서 환경기준을 약

간 미달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 <그림 4-62>은 CO에 대한 1999년 현황과 2006년, 2009년의 장래 예측 결과

를 나타내었는데, CO에 대해서는 장기 환경기준이 없으므로 비교하기 어려우

며, 시간평균 25ppm이 환경기준으로 되어 있다.

○ <그림 4-63>에는 NO2에 대한 연간 환경기준 달성 여부를 살펴보았다. 1999

Page 147: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60

년 현재 연간 환경기준인 0.05ppm을 넘는 지점이 없으며, 2006년에는 모든 측정지

점에서 환경기준을 만족하며, 2009년에 삼일동과 월래동에서 연간 환경기준을 초과

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 <그림 4-64>는 PM-10에 대한 장기 환경기준 달성 여부를 나타낸 것이며,

1999년에는 연간 환경기준인 70ug/m3을 근접하는 지점이 나타나며, 2006년과 2009

년에는 중동과 태인동에서 연평균 농도가 70ug/m3가 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 연간 현황과 장래 예측 모델링의 결과로 살펴본 장기 환경기준의 달성 여부

는 네 가지 물질 중 CO를 제외하고는 연간 환경기준을 미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0.000

0.010

0.020

0.030

0.040

0.050

0.060

광무동 삼일동 월래동 중동 태인동 장천동

농도(ppm)

1999

2006

2009

<그림 4-72> SO2에 대한 장기 환경기준 달성여부

0

2

4

6

8

10

광무동 삼일동 월래동 중동 태인동 장천동

농도(ppm)

1999

2006

2009

<그림 4-73> CO에 대한 장기 환경기준 달성여부

Page 148: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61

0.00

0.02

0.04

0.06

0.08

0.10

광무동 삼일동 월래동 중동 태인동 장천동

농도(ppm)

1999

2006

2009

<그림 4-74> NO2에 대한 장기 환경기준 달성여부

0

30

60

90

120

150

180

광무동 삼일동 월래동 중동 태인동 장천동

농도(㎍/㎥)

1999

2006

2009

<그림 4-75> PM-10에 대한 장기 환경기준 달성여부

Page 149: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62

4.1.4 하동화력의 기여율 산정

광양만권역의 대기환경실천계획을 수립함에 있어서, 근접지역의 배출원에서 배

출되는 배출량을 정확하게 산정하여 대상지역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과제에는 대상지역의 인근 배출원에서 광양만권역으로 유입되어 오는

오염물질에 대해 평가를 실시하였다. <표 4-75>는 하동화력에서 배출되는 오염물

질별 배출량를 나타낸 것이며, ISCLT 모델을 이용하여 광양만권역에 미치는 기여

율을 산정하였다. 모델링의 방법은 연평균에 대해 <표 4-75>의 오염물질별 배출량,

연돌제원 및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모델을 수행하여 산정하였다. 기여율의 산정은

전체 착지농도에 대한 본 사업지구 격자의 착지농도의 비율로 산정하였다. <표

4-76>는 SO2, NO2 및 PM-10에 대한 기여율을 나타낸 것이며, <그림 4-76>은

SO2, NO2 및 PM10에 대한 유입되는 연평균 농도의 공간적인 분포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하동발전처에서 배출된 배출량이 사업지구 내로 유입되는 량을 <표 4-77>

에 나타내었으며, 제5장의 배출량 예상삭감량에서 화동발전처에서 배출되어 사업지

구 내로 유입되는 양에 대해서는 삭감계획을 제외하였다.

<표 4-75> 하동화력의 기준 연도별 배출량 [단위 : 톤/년]

년도 SO2 CO NOx PM-10

1999 4,794 1,196 14,156 194

2006 6,205 1,256 7,949 186

2009 6,205 1,256 7,949 186

<표 4-76> 하동화력의 기여율

기여율(%)SO2 NOx PM-10

42.4 40.7 41.8

<표 4-77> 하동화력의 기준 연도별 광양만권내 유입배출량 [단위 : 톤/년]

년도 SO2 NOx PM10

1999 2,034 5,762 81

2006 2,631 3,235 78

2009 2,631 3,235 78

Page 150: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63

<SO2, 단위 : ppm> <NO2, 단위 : ppm>

< PM-10, 단위 : ㎍/㎥>

<그림 4-76> SO2, NO2, PM-10의 유입되는 연평균 농도

Page 151: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64

4.2 반응성 대기오염물질

4.2.1 UAM 모델 개요

1) 모델의 선정

대기질 모델은 오염물질의 배출, 이동, 확산, 광화학반응에 의한 생성과 소멸과

정 등 대기오염물질의 전반적인 관계를 이해하고, 각종 규제대책의 영향과 효과 분

석 등에서 필수적인 도구이다. 본 과업에서 적용한 모델은 미국 EPA에 의해 도시

지역의 광화학 오존농도 예측 및 저감방안 수립 등에 적용되도록 권고된

UAM(Urban Airshed Model)을 사용하였다. 이 모델은 오염물질의 물리․화학적인

반응과정을 모사하여 오염물질의 시공간적인 분포를 산출할 수 있는 3차원 광화학

격자모델(3-Dimension photochemical grid model)로서 일반적으로 도시지역과 공단

지역의 대기환경을 나타내는데 적용된다.

2) 모델링 계획

○ 1999년 기준년도의 총 배출량에 따른 오존농도 현황평가

○ 2005, 2009년 계획년도의 총 배출량에 따른 오존농도 예측

3) 모델의 적용 범위 설정

○ 공간적 범위

광양만권역의 대기질 모델링을 위하여, <그림4-77>과 같이 전라남도와 경상남

도를 포함하는 대규모 영역을 기본적인 모델링 대상지역으로 설정하였다. 광양만을

중심으로 순천만, 순천시 및 경산남도의 하동, 남해, 진주를 포함하고 있으며, 수평

방향 100km×100km(100개 격자×100개 격자)으로 x, y방향이 1km의 일정한 간격을

이용하였다. 이와 함께 광양만권역의 오염물질 분포 및 영향을 상세히 묘사하기 위

하여, <그림4-78>과 같이 고해상도 Nesting 방법을 도입하였다.

○ 시간적인 범위

대상기간은 1999년 중 광양만권역 6개 대기오염 자동측정소에서 오존농도가 높

게 나타난 6월 12을 선정하였으며, 48시간 모사를 실시하였다.

Page 152: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65

<그림 4-77> 모델 적용 대상지역

<그림 4-78> 광양만권역의 계산영역

Page 153: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66

4.2.2 유동장의 수치모델

1) 기초방정식

모델에 사용한 기초방정식은 운동량 보존식, 온위 방정식, 수분 보존식, 연속

방정식 및 정수역학 방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은 z * 좌표계를 이용한 방정식

을 나타내고 있다.

가) 운동량 보존식

DUDt

= f cV-C pθ∂Π∂x

+ gz * - s

s

∂z g

∂x+ D(U) (1)

DVDt

=- f cU -C pθ∂Π∂y

+ gz * - s

s∂z g

∂y+ D (V ) (2)

나) 온위 방정식

DθDt

= D(θ) (3)

다) 비습방정식

DQ υ

Dt= D(Q) (4)

라) 연속방정식

∂U∂x

+∂V∂y

+∂W *

∂z * -1

s- z g(U

∂z g

∂x+ V

∂z g

∂ y)= 0 (5)

마) 정수역학방정식

∂Π

∂z * =-1

G 1

gC pθ

(6)

여기에서,

Π = ( PP 0

)Rd/C p

θ = TΠ

f c = 2Ω sin ψ

W *≡s

s- z gW+

z * - ss-z g

(U∂z g

∂x+ V

∂z g

∂y)

Page 154: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67

D()=∂

∂x (K H∂∂x

+ K HG 2∂

∂z * )+ G 2∂

∂z * (K H∂∂x

+ K HG 2∂

∂z * ) +

∂∂y (K H

∂∂y

+ K HG 2∂

∂z * )+ G 2∂

∂z * (K H∂∂y

+ K HG 2∂

∂z * ) +

1G 1

∂z * (K v∂

∂z * )

1

G 1

=s

s- s g

G 2 =z * - ss - z g

∂z g

∂x

G 3 =z * - ss - z g

∂z g

∂y

또한, x , y , z는 z *좌표계, u , v , w 는 x, y , z 방향의 속도성분, w*는 z *좌

표계에 대한 연직방향의 속도성분, t는 시간, θ는 온위, Qv는 비습, T 는 대기온도,

R d는 건조공기의 가스상수, C p는 정압비열, P는 압력, P0는 표준압력, f는

Coliorils 매개변수, Ω는 지구의 회전각속도, ψ는 위도, g는 중력가속도, K H는 수

평방향의 확산계수를 각각 나타낸다.

2) 모델의 입력자료

고농도 에피소드 기간동안 대상영역 각 격자내에서의 오염물질의 이류, 확산

및 오존의 생성, 침착과정을 모사하기 위하여 기상자료와 토지 이용도, 표고 등의

지형자료를 이용하여 3차원의 바람장을 계산하였다.

3) 계산결과 및 신뢰도 평가

<그림 4-79>, <그림 4-80>은 기상장과 온도장의 계산 결과를 각각나타낸 것

이며, <그림 4-81>은 시변화에 대한 관측값과 계산 결과를 비교하였다. 또한, <그

림 4-82>는 상관 분석을 실시하여 모델의 신뢰도를 평가한 것이며, 상관계수는 두

관측점 모두 0.8이상으로 매우 높은 상관성을 보였으며, 모사가 관측값을 잘 모사하

는 것으로 나타났다.

Page 155: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68

1999년 6월 11일 8시

1999년 6월 11일 10시

1999년 6월 11일 12시

1999년 6월 11일 14시

<그림 4-79> 기상장모델의 계산결과

Page 156: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69

1999년 6월 11일 16시

1999년 6월 11일 18시

1999년 6월 11일 20시

1999년 6월 11일 22시

<그림 4-79> 기상장모델의 계산결과(계속)

Page 157: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70

1999년 6월 12일 24시

1999년 6월 12일 02시

1999년 6월 12일 04시

1999년 6월 12일 06시

<그림 4-79> 기상장모델의 계산결과(계속)

Page 158: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71

1999년 6월 11일 08시 1999년 6월 11일 10시

1999년 6월 11일 12시 1999년 6월 11일 14시

<그림 4-80> 온도장의 계산결과

Page 159: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72

1999년 6월 11일 16시 1999년 6월 11일 18시

1999년 6월 11일 20시 1999년 6월 11일 22시

<그림 4-80> 온도장의 계산결과(계속)

Page 160: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73

1999년 6월 11일 24시 1999년 6월 11일 02시

1999년 6월 11일 04시 1999년 6월 11일 06시

<그림 4-80> 온도장의 계산결과(계속)

Page 161: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74

여 수

20

22

24

26

28

30

32

34

8:00 10:00 12:00 14:00 16:00 18:00 20:00 22:00 0:00 2:00 4:00 6:00 8:00

시 간

온도℃

O b s .

C a lc .

여 수 공 항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8:00 10:00 12:00 14:00 16:00 18:00 20:00 22:00 0:00 2:00 4:00 6:00 8:00

시 간 (h o u r)

온도℃

O b s .

C a lc .

<그림 4-81> 기상장모델의 계산결과와 관측값과의 비교

Page 162: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75

여 수 ( 온 도 )

y = 0 . 7 8 4 6 x + 5 . 9 4 6 3

R 2 = 0 . 7 0 9

2 3

2 4

2 5

2 6

2 7

2 8

2 9

3 0

2 3 2 4 2 5 2 6 2 7 2 8 2 9 3 0

측 정 값

계산값

여 수 공 항 ( 온 도 )

y = 0 . 9 3 0 9 x + 2 . 3 8 1 3

R 2 = 0 . 8 4 8 7

2 3

2 4

2 5

2 6

2 7

2 8

2 9

3 0

2 3 2 4 2 5 2 6 2 7 2 8 2 9 3 0

측 정 값

계산값

<그림 4-82> 기상장모델의 계산결과의 상관도 분석

Page 163: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76

4.2.3 광화학반응 모델

오존은 인위적․자연적인 발생원에서 배출되는 1차 대기오염물질이 아니라 질

소산화물과(NOx)와 휘발성유기화합물질(VOCs)와 같은 전구물질이 강한 태양광선

에 의해 광화학반응을 일으켜 생성되는 2차 대기오염물질이다. 오존농도는 전구물

질 배출속도뿐만 아니라 복잡하고 다양한 대기작용의 영향을 받아 생성되고 있다.

최근에는 도심지역 및 주변지역 그리고 화학공단지역에서 오존의 고농도도 현상은

중요한 대기오염 문제 중의 하나로 부각되고 있다. 또한, 고농도 오존이 발생하는

지역이 확대되고 있으며, 오존농도 점차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오존이 사

회적인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은 고농도 오존은 인체에 유해할 뿐만 아니라 식물의

생산성에도 큰 피해를 발생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오존과 같은 광화학 오염물질은 생성과정이 복잡하여 오존 현상을 예측하는 것

은 매우 어려우며, 특히 전구물질과 비선형적인 관계를 형성하기 때문에 대상지역

의 오존농도를 예측하고 광화학 생성 메카니즘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3차원 광화학

Grid Model을 이용한다. 미국 EPA에서는 오존농도의 예측 및 저감방안수립을 위해

다음과 같은 단계적인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① 모델 개념 정립

② 모델링/해석 규약(protocol) 개발

③ 대상지역에 적합한 수학적 모델 선정

④ 고농도 오존사례(episode) 선택

⑤ 모델링 영역 설정 및 수평 및 수직격자체계 구성

⑥ 기상자료와 대기질 자료 작성

⑦ 배출량 자료 작성

⑧ 모델과 해석기법 성능 검사

⑨ 모델링 결과와 다양한 해석기법 이용한 저감계획의 타당성 입증

본 과업은 미국 EPA에서 제안한 방법을 원칙적으로 수용하도록 하였으며, 미

국 EPA에 의해 도시지역의 광화학 오존농도 예측 및 저감방안 수립 등에 적용되도

록 권고된 UAM(Urban Airshed Model)을 사용하였다.

Page 164: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77

1) 모델의 개요

UAM(Urban Airshed Model)은 오염물질의 물리․화학적인 반응과정을 모사하

여 오염물질의 시공간적인 분포를 산출할 수 있는 3차원 광화학 격자모델

(3-Dimension photochemical grid model)로서 일반적으로 도시지역과 공단지역의

대기환경을 나타내는데 적용된다.

UAM은 다음과 같은 물질별 연속방정식(continuity equation)을 이용하여 오염

물질의 이류, 확산, 화학반응 및 제거과정 등 여러 가지 과정과 대기 중에서 발생하

는 광화학반응과 관련된 화학반응 모듈을 사용함으로써 오존과 같은 광화학 오염물

질의 모사에 사용된다.

∂c i

∂t= -

∂(uc i)

∂x-

∂(vc i)

∂y-

∂(wc i)

∂z

+∂

∂x[K H

∂c i

∂x]+

∂∂x

[K H

∂c i

∂y]+

∂∂x

[K V

∂c i

∂z]+ S i+ R i+ L i

여기서, ci는 3차원 공간의 (x, y, z) 지점에서 오염물질 i의 농도, t는 시간, u,

v, w는 x, y, z방향의 풍속, KH, KV는 수평 및 수직방향의 확산계수, Si, Ri, Li는

각각 오염물질 i의 배출율, 화학반응에 의한 순생성량, 지표면에 의한 제거율을 의

미한다. UAM의 수직좌표계는 도시규모에 적용되는 지형을 따르는

(terrain-following) 좌표계로서 주간에는 혼합층, 야간에는 야간 경계층을 기준으로

상부에 3개, 하부에 2개의 층을 구성한다.

UAM은 오존 에피소드 기간동안 대상영역 각 격자내에서의 오염물질 배출, 이

류, 확산 및 오존의 생성, 침착과정 등을 모사하기위해 배출량, 기상, 지형 및 대기

질 자료를 이용하며, 기상, 배출량, 초기․경계조건, 화학반응 속도 및 모사조건 등

13개의 입력자료는 전처리프로그램을 통해 계산되어진다.

UAM은 미국의 S.A.I(System Application International)에서 개발한 CBM-Ⅳ

(Carbon Bond Mechanism Whitten et al., 1980)이며, 대류권의 광화학반응에 중요

한 역할을 하고 있는 탄소원자를 몇 개의 공통그룹으로 분류한 모델이다. CBM-Ⅳ

는 다양한 비메탄탄화수소(NMHC)를 탄소결합 형태에 따라 4종류의 그룹으로 탄소

환산하고 개개의 반응 화학종에 의한 반응속도의 차이를 동일한 기준으로 취급한

것이다.

Page 165: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78

4종류의 그룹에는

㉠ 무기물 화학종

㉡ 환경대기 중에 특수하게 취급되고 있는 유기물 화학종

㉢ 탄소결합법에 의해 나타내는 유기물 화학종

㉣ 분자구조를 갖는 유기물 화학종

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은 오존(O3,) 질소산화물(NOx) , 라디칼(HOX)과

같은 무기물 화학종이다. 또한, ㉡의 유기물 화학종은 크게 3가지로 나타낼 수 있

다.

- 포름알데히드(FORM)

실질적으로 모든 유기물질의 산화반응에 의해서 생성된다.

카르보닐기에 비해 반응성 매우 풍부하다.

- 에틸렌(ETH)

알켄보다 반응성이 매우 느리다.

탄화수소 배출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대부분의 조건에서 포름알데히드를 높은 비율로 생성한다.

- 이소푸렌(ISOP)

자연계로부터 배출되는 대부분의 탄화수소다.

알켄에 비해 OH와 NO3로 변환되는 속도가 매우 빠르다.

㉢은 탄소 결합법으로 나타내며, 단일결합인 PAR(파라핀), 이중결합인 OLE(올

레핀), 알데히드기를 갖는 ALD2(알데히드)의 3개의 물질이다. 또한, ㉣은 7개의 탄

소 분자구조를 갖는 TOL(톨루엔)과 8개의 탄소 분자구조를 갖는 XYL(크실렌)이

있다. 모델에 사용되는 33개의 화학종과 81개의 반응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33개의

화학종을 <표 4-78>에, 81개의 반응식을 <표 4-79>에 각각 나타내었다.

Page 166: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79

<표 4-78> CBM-Ⅳ 모델의 반응물질

화학종 물 질 명

NO 일산화질소 Nitric oxide

NO2 이산화질소 Nitrogen dioxide

NO3 질산기 Nitrogen Trioxide

N2O5 오산화이질소 Dinitrogen pentoxide

HONO 아질산 Nitrous acid

HNO3 질산 Nitric acid

PNA 페로키소질산기 Peroxynitric acid(H2ONO2)

O1D 산소원자(여기상태) Oxygen atom(singlet)

O 산소원자(여기상태) Oxygen atom(triplet)

OH 수산기 Hydroxyl radical

H2O 물 Water

O3 오존 Ozone

HO2 수산기 Hydroperoxy radical

H2O2 과산화수산기 Hydrogen peroxide

CO 일산화탄소 Carbon monoxide

FORM 포름알데히기 Formaldehyde(CH2=O)

ALD2 고분자알데히기 Weight aldehyde(RCHO, R>H)

C2O3 페로키소아실기 Peroxyacyl radical

PAN 페로키소산아미드 Peroxyacyl nitrate(CH3C(O)O2NO2)

PAR 파라핀탄소결합 Paraffinic carbon bond(C-C)

ROR 제2유기산기 Secondary organic ooosy radical

OLE 올레핀탄소결합 Olefinic carbon bond(C=C)

ETH 에텐 Ethene(CH2=CH2)

TOL 톨루엔 Toluene(C6H5-CH3)

CRES 크레졸 및 그 이상의 분자페놀 Cresol and highter molecular weight phenols

TO2 톨루엔-수산기의 adduct Toluene-hydroxyl radical adduct

CRO 메틸페놀키시유리산 Methylphenoxy radicals

OPEN 고분자아로마테크산화린 Aromatic ring fragment acid

XYL 키실렌 Xylene(C6H6-(CH3)2)

MGLY 메틸그린옥살 Methyl glyoxal(CH3C(O)C(O)H)

ISOP 이소프렌 Isoprene

XO2 NO → NO2 작용소 NO - to - NO2 operation

XO2N NO → NO3 작용소 NO - to - NO3 operation

Page 167: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80

<표 4-79> CBM-Ⅳ 모델의 반응식

번호 반 응 식 반 응 속 도

무기반응

R1 NO2 + hν → NO + O radiation

dependent

R2 O → O3 1.4 × 103 e1175/T

R3 O3 + NO → NO2 1.8 × 10-12 e-1370/T

R4 O + NO2 → NO 9.3 × 10-12

R5 O + NO2 → NO3 1.6 × 10-13 e687/T

R6 O + NO → NO2 2.2 × 10-13 e602/T

R7 O3 + NO2 → NO3 1.2 × 10-13 e-2450/T

R8 O3 + hν → O radiation dependent

R9 O3 + hν → O1D radiation dependent

R10 O1D → O 1.9 × 108 e390/T

R11 O1D + H2O → 2OH 2.2 × 10-10

R12 O3 + OH → HO2 1.6 × 10-12 e-940/T

R13 O3 + HO2→ OH 1.4 × 10-14 e-580/T

R14 NO3 + hν → 0.89NO2 + 0.89O + 0.11NO radiation dependent

R15 NO3 + NO → 2NO2 1.3× 10-11 e250/T

R16 NO3 + NO2 → NO + NO2 2.5 × 10-14 e-1230/T

R17 NO3 + NO2 → NO2O5 5.3 × 10-13 e256/T

R18 NO2O5 + H2O → 2HNO3 1.3 × 10-21

R19 NO2O5 → NO3 + NO2 3.5 × 1014 e-10897/T

R20 NO + NO → 2NO2 1.8 × 10-20 e530/T

R21 NO + NO2 + H2O → 2HONO 4.4 × 10-40

R22 OH + NO → HONO 4.5 × 10-13 e806/T

R23 HONO + hν → OH + NO radiation dependent

R24 OH + HONO → NO2 6.6 × 10-12

R25 HONO + HONO → NO + NO2 1.0 × 10-20

R26 OH + NO2 → HNO3 1.0 × 10-12 e713/T

R27 OH + HNO3 → NO3 5.1 × 10-15 e1000/T

R28 HO2 + NO → OH + NO 3.7 × 10-12e240/T

R29 HO2 + NO2 → PNA 1.2 × 10-13 e749/T

R30 PNA → HO2 + NO2 4.8 × 1013 e-10121/T

R31 OH + PNA → NO2 1.3 × 10-12 e380/T

R32 HO2 + HO2 → H2O2 5.9 × 10-14 e1150/T

R33 HO2 + HO2 + H2O → H2O2 2.2 × 10-38 e5800/T

R34 H2O2 + hν → 2OH radiation dependent

R35 OH + H2O2 → HO2 3.1 × 10-12 e-187/T

R36 OH + CO → HO2 2.2 × 10-13

Page 168: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81

포름알데히드(FORM)반응

R37 FORM + OH → HO2 + CO 1.0 × 10-11

R38 FORM + hν → 2HO2 + CO radiation dependent

R39 FORM + hν → CO radiation dependent

R40 FORM + O → OH + HO2 + CO 3.1 × 10-11 e-1550/T

R41 FORM + NO3 → HNO3 + HO2 + CO 1.0 × 10-16

고분자 알데히드반응

R42 ALOD2 + O → C2O3 + OH 1.2 × 10-11 e-986/T

R43 ALOD2 + OH → C2O3 7.0 × 10-12 e250/T

R44 ALOD2 + NO3 → C2O3 + HNO3 2.5 × 10-15

R45 ALOD2 + hν → FORM + XO2 + CO + 2HO2 radiation dependent

R46 C2O3 + NO → FORM + XO2 + HO2 + NO2 5.4 × 10-12 e250/T

R47 C2O3 + NO2 → PAN 8.0 × 10-20 e5500/T

R48 PAN → C2O3 + NO2 9.4 × 1016 e-14000/T

R49 C2O3 + C2O3 → 2FORM + 2XO2 + 2HO2 2.0 × 10-12

R50 C2O3 + HO2 → 0.79FORM + 0.79XO2 + 0.79HO2 + 0.79OH 6.5 × 10-12

알칸반응

R51 OH → FORM + XO2 + HO2 1.1 × 102 e-1710/T

R52 PAR + OH → 0.87XO2 + 0.13XO2N + 0.11HO2

0.11ALD2 + 0.76ROR - 0.11PAR 8.1 × 10-13

R53 ROR → 1.10ALD2 + 0.96XO2 + 0.94XO2

+ 0.04XO2N + 0.02ROR - 2.10PAR 1.0 × 1015 e-8000/T

R54 ROR → HO2 1.6 × 103

R55 ROR + NO2 → 1.65 × 10-11

알켄반응

R56

O + OLE → 0.63ALD2 + 0.38HO2 + 0.28XO2 + 0.30CO

+ 0.20FORM + 0.02XO2N + 0.22PAR +

0.20OH

1.2 × 10-11 e-324/T

R57 OH + OLE → FORM + ALD2 + XO2 + HO2 - PAR 5.2 × 10-12 e504/T

R58O3 + OLE → 0.50ALD2 + 0.74FORM + 0.33CO

+ 0.44HO2 + 0.22XO2 + 0.10OH - PAR 1.4 × 10-14 e-2105/T

R59 NO3 + OLE → 0.91XO2 + FORM + ALD2 + 0.09XO2N

+ NO2 - PAR 7.7 × 10-15

R60 OH + ETH → FORM + 0.70XO2 + CO+1.70HO2+

0.30OH1.0 × 10-11 e-792/T

R61 OH + ETH → XO2 + 1.56FORM + HO2 + 0.22ALD2 2.0 × 10-12 e411/T

R62 O3 + ETH → FORM +0.42CO + 0.12HO2 1.3 × 10-14 e-2633/T

Page 169: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82

방향족(TOL, XYL)반응

R63 OH + TOL → 0.08XO2 + 0.36CRES + 0.44HO2

0.56TO2

2.1 × 10-12 e322/T

R64 TO2 + NO → 0.90NO2 + 0.90OPEN + 0.90HO2 8.1 × 10-12

R65 TO2 → HO2 + CRES 4.2

R66 OH + CRES → 0.40CRO + 0.60XO2 + 0.60HO2

0.30OPEN4.1 × 10-11

R67 NO3 +CRES → CRO + HNO3 2.2 × 10-11

R68 CRO + NO2 → 1.4 × 10-11

R69 OH + XYL → 0.70HO2 + 0.50XO2 + 0.20CRES

+ 0.80MGLY + 1.10PAR + 0.30TO2

1.7 × 10-11 e116/T

R70 OH + OPEN → XO2 + C2O3 + 2HO2 + 2CO

+ FORM3.0 × 10-11

R71 OPEN + hν → C2O3 + CO +HO2 radiation dependent

R72

O3 + OPEN → 0.03ALD2 + 0.62C2O3 + 0.70FORM

+ 0.03XO2 + 0.69CO + 0.08OH + 0.76HO2

+ 0.20MGLY

5.4 × 10-11 e-500/T

R73 OH + MGLY → XO2 + C2O3 1.7 × 10-11

R74 MGLY + hν → C2O3 + CO +HO2 radiation dependent

이소프렌(ISOP)반응

R75 O + ISOP → 0.60HO2 + 0.80ALD2 + 0.550OLE

+ 0.50XO2 + 0.50CO + 0.45ETH + 0.90PAR1.8 × 10-11

R76 OH + ISOP →FORM + XO2 + 0.67HO2 + 0.40MGLY

+ 0.20C2O3 + ETH + 0.20ALD2 + 0.13XO2N9.6 × 10-11

R77

O3 + ISOP → FORM + 0.40ALD2 + 0.55ETH

+ 0.20MGLY + 0.60CO + 0.10PAR + 0.44HO2

+ 0.10OH

1.2 × 10-17

R78 NO3 + ISOP → XO2N 3.2 × 10-13

R79 XO2 + NO → NO2 8.1 × 10-12

R80 XO2 + XO2 → 1.7 × 10-14 e1300/T

R81 XO2N + NO → 6.8 × 10-13

Page 170: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83

2) 입력 자료 및 초기 조건

3차원 광화학 모델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NOx와 HC와 같은 오존생성에 밀접한

관련이 있는 대기오염물질의 격자별 배출량 자료를 사용하였다. 특히, 배출량 중에

서 VOCs는 광화학 반응에 관여하는 중요한 오염물질로서 반응성이 클 뿐만 아니

라 종류 또한 매우 다양하다. 광양만권의 오존 농도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이들 물

질에 대한 정확한 배출량 산출이 요구된다.

제 3장에서 산출한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및 탄화수소의 배출량을 배출강도를

고려한 공간적인 분포에 의해 CBM-Ⅳ모델을 실행하였다. 또한, 각 오염물질에 대

한 초기농도 조건을 <표 4-80>에 나타내었다.

<표 4-80> 각 화학물질의 초기농도 [ppm]

SPECIES 0(m)~144.5(m) 144.5(m)~

NO

NO2

O3

OLE

PAR

TOL

XYL

HCHO

ALD2

ETH

CRES

MGLY

OPEN

PNA

NXOY

PAN

CO

HONO

H2O2

HNO3

MEOH

ETOH

ISOP

SO2

0.015

0.015

0.020

0.0021440

0.04690

0.000150

0.000081250

0.00140

0.00060

0.0064655

0.10000E-05

0.10000E-05

0.10000E-05

0.10000E-05

0.10000E-08

0.10000E-05

0.20

0.10000E-05

0.10000E-05

0.10000E-05

0.10000E-05

0.10000E-05

0.10000E-05

0.010

0.002

0.002

0.020

0.001072

0.02345

0.00015

0.00008125

0.0007

0.0003

0.0032327

0.10000E-05

0.10000E-05

0.10000E-05

0.10000E-05

0.10000E-05

0.10000E-05

0.10

0.10000E-05

0.10000E-05

0.10000E-05

0.10000E-05

0.10000E-05

0.10000E-05

0.010

Page 171: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84

3) 광양만권역의 계산 결과

가) 계산 결과

○ UAM 모델의 모사일을 결정하기 위해 기준년도인 1999년의 기상자료를 분

석한 결과, 6월11일과 6월12일이 포함된 고농도 오존이 발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분석된 고농도 사례일 중 오존농도가 가장 높게 나타나는 6월11일을 모사일로 결정

하였다.

○ 모사일에 대한 오존 농도 기준치 초과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자동측정망의

오존농도자료를 분석하여 <그림 4-83>에 나타내었으며, 태인동과 월래동에서 환경

기준치 0.1ppm을 초과하는 날로 모사일의 오존농도가 매우 높은 날로 나타났다.

○ 모사 기간은 과거의 기상자료를 분석해 선정된 고농도 오존이 발생한 1999

년 6월 11일을 선정하여 선정된 계산일의 전일을 포함한 3일간을 계산하여 마지막

날의 계산결과를 <그림 4-84>에 나타내었다. 또한, 계산결과를 광양만권역의 대기

자동관측망 자료와 비교․검토하였다.

0

0.02

0.04

0.06

0.08

0.1

0.12

태인동 중동 삼일동 월래동 광무동 장천동

농도

(ppm

<그림 4-83> UAM 모사일의 자동측정망 오존농도

Page 172: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85

< 13시 > < 15시 >

<그림 4-84> UAM모델의 계산결과

나) 관측값의 비교 및 상관성 분석

○ <그림 4-85>은 계산결과 중에서 광양만권역의 대기 자동관측망 6개중에 삼

일동, 중동, 장천동의 3개 지점의 자료와 계산결과를 상호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계산결과 값과 관측지점의 측정값과 오존의 농도가 변화하는 시간변화와 농도변화

가 대체적으로 일치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 <그림 4-86>은 자동측정망의 관측결과와의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1차선

형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상관계수가 0.7이상으로 매우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고

있다.

Page 173: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86

삼 일 동

0

20

40

60

80

100

120

1 4 7 10 13 16 19 22 1 4 7 10 13 16 19 22

시 간

농 도

(p p b )

O b s .C a lc

중 동

0

20

40

60

80

100

120

1 4 7 10 13 16 19 22 1 4 7 10 13 16 19 22

시 간

농 도

(p p b )

O b s .C a lc

장 천 동

0

20

40

60

80

100

120

1 4 7 10 13 16 19 22 1 4 7 10 13 16 19 22

시 간

농 도

(p p b )

O b s .C a lc

<그림 4-85> UAM 모델결과와 관측망 자료와의 비교

Page 174: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87

삼 일 동

y = 0.811x + 23.848

R2 = 0.7691

0

20

40

60

80

100

120

140

0 20 40 60 80 100 120 140

측 정 값

계산값

중 동

y = 0.9009x + 0.1484

R2 = 0.9099

0

20

40

60

80

100

120

140

0 20 40 60 80 100 120

측 정 값

계산값

장 천 동

y = 1.7422x - 17.579

R2 = 0.8489

0

20

40

60

80

100

120

140

0 20 40 60 80

측 정 값

계산값

<그림 4-86> 모사결과의 상관도 분석

Page 175: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88

4.2.4 광양만권역의 오존 발생 메카니즘

1) 오존의 발생 메카니즘

가) 발생 메카니즘

오존 전구물질과 광 산화 물질들의 측정은 대류권 오존의 생성과 소멸과정에

대한 이해에 가장 기초적이고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측정결과를 통해서

우리가 살고 있는 대기 중에 존재하는 이들 오염 물질들의 현재 상황을 알 수 있

다. 현재 국내의 오존 대기화학 분야 연구는 대기 중 오존의 대기화학과 관련된 주

요 성분들의 측정 및 해석에 대한 연구의 결여로 인해 대도시 및 대기환경규제지역

의 오존 문제 해결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그림 4-87>은 오존 생성의 전구 물질

들과 광 산화 물질들이 대기 중에서 일어나는 오존 생성 및 소멸 반응 광 화학 반

응과정으로 다음과 같은 메카니즘으로 을 나타낼 수 있다.

O3 OH HO2

HNO3 H2O2

RO2 RO

High NOX

Hydrocarbon-limited

Low NOXNOX-limited

O3

O3

O2RH

NOhv

NO

NO2+OH HNO3 HO2+HO2 H2O2+O2

<그림 4-87> NOx 존재시 CO, 탄화수소의 산화반응과 오존의 생성 소멸 기작

*R- 유기물

*RH=hydrocarbon

Page 176: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89

나) 발생인자

광양만권역이 타지역에 비해 오존농도가 높은 정확한 원인은 규명되지 않은 상

태이나 광양만권역 내 오존형성 대기오염물질이 인위적으로 발생되는 국지적 영향

이외에 기상적인 영향 및 장거리 이동에 의한 영향 등이 여러 연구에서 원인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국지적인 영향을 감안하더라도 그 원인이 여수산단 지역의

VOCs나 광양제철소의 질소산화물, 이동 및 고정 배출원의 질소산화물에 의한 영향

인지 명확하지 못하다. 따라서, 오존생성물질 저감방안을 위한 세부방안은 향후 면

밀한 검토가 필요하며, 고농도 오존현상과 오존생성의 메카니즘을 규명하기 위해

BOX 모델을 개발하여, 질소산화물(NOx)과 탄화수소(HC)의 배출량 저감효과 및 탄

화수소 성분별 배출량 저감효과에 대한 감도해석을 실시할 필요성이 있다. 오존 생

성과 관계되는 주요 영향인자들을 살펴보면 기상인자(기온‧풍속‧습도) 및 지형특성

을 들 수 있다. 기상인자는 오존농도와 기온과의 관계, 오존농도와 일사량과의 관

계, 오존농도와 풍속과의 관계, 오존농도와 상대습도와의 관계 등을 고려해야 하며,

월별 오존농도와 기상요소와의 관계는 강수일수도 고려되어야 한다. 광화학 반응에

의해 고농도 오존이 발생하기 쉬운 기상조건을 정리하면 <표 4-81>과 같다.

<표 4-81> 광화학 반응에 의해 고농도 오존이 발생하기 쉬운 기상조건

1. 기온이 25℃이상이고, 상대습도가 75% 이하일 때

2. 기압경도가 완만하여 풍속 4m/s이하의 약풍이 지속될 때

3. 시간당 일사량이 5MJ/㎡ 이상으로 일사가 강할 때

※ 대기가 안정하고 전선성 혹은 침강성의 역전이 존재할 때

광양만권역의 특성은 바다의 영향으로 해륙풍 순환이 나타나므로 이에 의하여

대기오염의 영향을 받을 수도 있다. 여수지역의 경우 동서남북 사방이 높이

300-400m 가량의 산으로 둘러싸인 해상분지 구조를 이루고 있어 대기오염 물질의

이류와 확산이 제한 될 수 있다. 이 같은 오염물질의 정체가 발생하는 경우 모든

대기오염 물질의 농도가 매우 높게 나타날 수도 있다.

Page 177: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90

다) 대기 중의 NOx 및 VOCs 농도 파악

선진국의 경험에서 볼 때 일단 오존이 오염현상으로 가시화되기 시작하면 저감

시키는 것은 매우 어렵다. 오존 경보제와 예보제는 오염에 대한 환경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수단으로 필요하나 근본적인 해결책은 아니다. 따라서 무엇보다 오존오

염을 줄이기 위해서는 사전에 오존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체적인 저감방안, 즉

VOCs와 NOx의 배출저감을 이룰 수 있는 대책들이 강구되어야 한다. 그러나 최근

대두되고 있는 문제의 심각성에 비해 오존에 대한 인식과 실질적인 대책마련은 부

족한 실정이다. 대기 중에 존재하는 VOCs의 성분에 따라 오존생성을 유발하는 광

화학 반응지수는 상이하므로 그 성분별 농도를 분석하여 기여율이 큰 원인 물질부

터 억제책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광화학 반응지수가 큰 VOCs류는 프로피렌, 1-부

텐, 알데히드류이며, 연료별로는 압축천연가스(CNG)가 휘발유에 비해 반응지수가

1/5이하로 알려져 있다.

대기 중의 오존농도는 <그림 4-88>에서 보듯이 원인물질인 NOx와 VOCs 상

호간의 농도 대소에 따라 상이하므로 저감방안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이

들의 농도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기 중의 질소산화물은 전국적으로 측정망

이 설치되어 이들 물질들에 대한 농도 비교가 가능하지만 VOCs는 그렇지 못한 실

정이다. 청정한 대기에서 오존은 NO2의 광분해 반응에 의해 형성되며, 오존농도는

계절적인 변화와 일변화에 따라 약 20-50ppb 정도이며, VOCs 존재하에서는 오존

형성이 가속화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역사적으로 오존저감을 위해 미국에서는

VOCs 감축에 중점을 두고 있었다. 그러나 실제 VOCs 감축에도 불구하고 오존환경

기준을 초과하는 지역이 증가하고 있으며, 광양만 지역에 있어서도 비슷한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즉, 오염된 대기에서는 광화학반응에 참여하는 VOCs와 NOx의 농

도비에 따라 오존생성속도와 오존농도가 달라진다. VOCs와 NOx 중 한가지 성분만

의 감소로 농도비가 불균형을 이룰 경우, 대기중 화학반응의 기작(mechanism)에 변

화가 생겨 예상외로 오존농도가 커질 수 있다.

<그림 4-88>에서 보면 대기 중의 NOx와 VOCs의 농도가 높을수록 오존의 농

도는 증가한다. VOC 농도가 낮고 NOx 농도가 높은 환경에서는 VOCs의 농도가

감소하면 오존의 농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며, 이런 환경을 VOCs-limited 환경,

반대로 VOCs 농도가 높고 NOx 농도가 낮은 환경에서는 NOx의 농도가 감소 할수

록 오존의 농도가 감소하하는 것을 NOx-limited 환경이라고 한다

Page 178: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91

<그림 4-88> NOx 대비 VOCs 농도비율에 따른 오존농도 곡선

즉, NOx 대비 VOCs의 농도비율이 4이하인 경우는 VOCs의 농도를, 그 비율이

15이상인 경우는 NOx의 농도를 감소시키는 것이 오존 농도의 저감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라) 광양만권역의 NOx와 VOCs 현황 및 정책

오존 발생은 지역적 특성, 인구, 산업규모, 에너지 형태 등에 따라 매우 복잡하

게 전개되며, 또한 오존의 생성은 VOCs와 NOx의 상대적인 농도에 의해 결정되므

로 오존생성이 VOCs 또는 NOx 어느쪽 농도에 더 민감한지를 판별하는 것이 저감

대책을 수립하는데 가장 중요하다. 특히, 여수산단을 포함한 광양만권은 환경부로부

터 대기보전특별대책지역(1996년 9월)과 대기환경규제지역(1999년 12월)으로 지정․고시하여 석유정제 및 석유화학제품제조시설 등에 대하여 휘발성유기화합물질

(VOCs) 배출억제 및 방지시설을 설치토록 하는 한편, 기존 배출시설에 대하여는

엄격한 배출허용기준을, 신규배출시설에 대하여는 특별배출허용기준을 각각 적용토

록 하였다. 또한, 원칙적으로 신규 입주업체의 입지를 제한하되 최적의 방지시설을

Page 179: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92

설치하는 경우에 한하여 신규입주를 허용하는 등의 대기보전 특별종합대책을 수립

하여 입주업체들로 하여금 적정한 방지시설 설치 등의 오염저감대책을 강구토록 하

여 현저하게 감소(약 30%내 수준) 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NOx는 환경부의 저감대책 없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현실이며,

본 사업에서 산정한 VOCs/NOx 배출량 비율도 NOx가 탁월하게 높게 나타내고 있

다. 따라서, <그림 4-88>에서 언급한 NOx 대비 VOCs 농도비율에 따른 오존농도

곡선은 VOCs-limited의 경향이 있으나, 이는 대기보전특별대책지역으로 지정되어

VOCs 물질에 대해 꾸준한 저감대책을 실시한 노력에 의해 약 30%내 수준까지 저

감한 결과로 사료된다. 특히, VOCs을 저감하기 위해 투자한 경제적, 기술적 자본은

이 지역의 VOCs 물질을 저감하는데 한계에 도달하고 있는 실정이며, NOx를 저감

하기 위해 투자되는 경제적, 기술적 자본이 VOCs보다 비교 우위라는 것을 암시하

고 있다. 따라서, 본 사업의 실용성 있는 오존 저감대책을 세우기 위해서는 VOCs

의 저감대책 보다 NOx의 저감대책을 수립하는 것이 매우 효율적이라 사료된다.

즉, 현실적 측면에서 볼 때 VOCs 배출저감을 위하여 막대한 비용투자와 시설

이 설치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시설투자에 의한 추가적인 배출량 저감을 크게 기대

하기 어렵다. 따라서 현실적 관점에서 본다면 NOx 배출시설에 대한 배출량 저감

VOCs/NOx의 상대적 비를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대단히 의미가 크다고 볼 수 있

으며, 국내여건으로 볼 때 NOx 배출 저감은 시기적으로 적절한 방안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NOx 배출저감 노력에 의하여 VOCs 또는 NOx의 저감이 의미있는 O3의 저

감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광양만권의 오존 저감대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NOx

및 VOCs에 대한 관측자료가 필요하며, 특히 고농도 오존 출현시의 VOCs와 NOx에

대한 충분한 자료가 있어야 VOCs/NOx 비에 따른 VOCs-limited와 NOx-limited를

결정할 수 있다.

2) 배출량에 대한 오존농도 민감도 분석

가) 배출량

○ 광양만권의 오존 생성에는 대기의 적절한 기상과 함께 VOCs/NOx 비가 중

요한 인자로 작용되며, O3의 저감대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VOCs와 NOx의 절대적

인 배출량을 줄이는 것보다 VOCs/NOx의 비를 조절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이다.

Page 180: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93

○ <표 4-82>는 O3의 민감도 분석을 위해 모델링을 수행하는 광양만권의

VOCs/NOx의 배출량비를 조사하여 나타낸 것이며, <표 4-83>은 우리나라 주요도

시의 VOCs/NOx의 관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 광양권은 1999년 말에 환경부에서 대기특별보전지역으로 지정하여 SOx와

VOCs에 대해 많은 저감대책을 실시하고 있으나, NOx에 대한 저감대책은 지금까지

전혀 실행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다른 지역보다 NOx에 대한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을 알 수 있다.<표 5-25 참조>

○ <표 4-82>과 <표 4-83>에서 광양만권의 VOCs/NOx의 비는 우리나라 주요

도시에서 발생되는 경우와 매우 다르며, 또한 오존을 형성하는 메카니즘도 다르다

는 것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광양만권의 오존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VOCs

에 대한 배출량 보다 NOx의 배출량을 줄이는데 더 효과적인 방법으로 사료된다.

<표 4-82> 광양만권의 VOCs/NOx 비 (단위 : Ton/yr)

1999 2006 2009

VOCs NOx VOCs/NOx VOCs NOx VOCs/NOx VOCs NOx VOCs/NOx

점오염 1,979 61,024 0.03 2,037 72,878 0.03 2,035 74,069 0.03

면오염 34 1,131 0.03 43 1,623 0.03 49 1,870 0.03

도 로 1,723 5,588 0.31 3,143 10,229 0.31 3,708 12,048 0.31

비도로 685 4,286 0.16 548 6,208 0.09 523 6,971 0.08

VOCs 2,777 - - 4,603 - - 5,190 - -

소각 20 140 0.14 34 237 0.14 34 237 0.14

비산먼지 - - - - - - - - -

총계 7,236 72,169 0.10 10,408 91,175 0.11 11,539 95,195 0.12

<표 4-83> 우리나라 주요도시의 VOCs/NOx 비

구분 수도권 부산권

서울시 인천시 경기도 부산시 울산시 경상남도 대구시 광양만권

VOC/NOx 1.3 0.9 0.8 0.75 0.3 0.97 1.16 0.12

Page 181: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94

[1) NOx에 대한 민감도

○ 광양만권역의 고농도 오존를 발생시키는 매개변수를 알아보기 위하여 오존

의 전구물질인 질소산화물(NOx)과 VOCs의 인위적인 배출량에 따른 오존농도의 시

변화를 나타내었다. 광양만권역은 다른 지역에 비해 질소산화물(NOx)의 배출량이

VOCs 배출량 보다 매우 많은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NOx의 배출량 증감

에 따라 오존농도의 민감도를 알아 보는 것은 광양만권역의 오존 기작을 해결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그림 4-89>는 1999년도의 질소산화물(NOx)과 VOCs를 기준으

로 하여 질소산화물을 25%, 50%씩 증감시키면서 오존농도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

며, 증감에 따라 오존이 삭감되는 것을 알 수 있다.

0.00

0.02

0.04

0.06

0.08

0.10

0.12

0.14

0.16

1 4 7 10 13 16 19 22 1 4 7 10 13 16 19 22

시간(Time)

농도(ppm)

50%삭감 25%삭감BASE 25%증가50%증가

<그림 4-89> NOx 배출량 변화에 따른 오존농도의 민감도

[2) VOCs에 대한 민감도

○ <그림 4-90>은 VOCs을 25%, 50%씩 증감시키면서 오존농도의 시간적인 변

화를 나타낸 것이다. VOCs 배출량이 증가하면 오존농도도 비례하면서 상승하고,

배출량을 삭감하면 온조의 농도도 낮아지고 있으나, 농도의 변화차이가 작다는 것

을 알 수 있다.

Page 182: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95

0.00

0.02

0.04

0.06

0.08

0.10

0.12

0.14

0.16

1 4 7 10 13 16 19 22 1 4 7 10 13 16 19 22시간(Time)

농도(ppb)

50%감소 25%감소 BASE

25%증가 50%증가

<그림 4-90> VOCs 배출량 변화에 따른 오존농도의 민감도

[3) NOx/VOCs에 대한 민감도

○ <그림 4-91>은 NOx의 배출량과 VOCs을 동시에 20%, 40%씩 증감시키면서

오존농도의 시간적인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이 계산결과에 의해 광양만권역의 오

존농도를 저감하기 위해서는 VOCs의 배출량을 줄이는 것보다 NOx의 배출량을 줄

이는 것이 더 타당하다고 사료된다.

0.00

0.02

0.04

0.06

0.08

0.10

0.12

0.14

0.16

1 4 7 10 13 16 19 22 1 4 7 10 13 16 19 22

시간(Time)

농도(ppb)

50%감소 25%감소BASE 25%증가50%증가

<그림 4-91> NOx/VOCs 배출량 변화에 따른 오존농도의 민감도

3) 기상과의 관계

가) 습도

Page 183: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96

○ 환경기준치를 초과하였을 경우의 습도를 살펴보면, 40%이상에서 80%사이에

분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오존의 농도가 최고 치에 달할 때에는 40%에서

50%에 집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습도와 일사량은 반비례 관계가 성립되기 때문

에, 습도가 낮고 일사량이 높을 경우 오존의 농도가 높아짐이 추측할 수 있다.

80

100

120

140

160

180

0 20 40 60 80 100

습도(%)

오존(ppb)

<그림 4-92> 환경기준치(100 ppb) 이상일 경우 습도 (단위 : %)

나) 풍속

○ 환경기준치 이상일 경우의 풍속을 살펴보면, 낮은 풍속일 때 오존의 농도가

높게 나오는 것을 알 수 있다. 바람이 강할 경우, 공기의 희석과 더불어 먼 거리까

지 확산이 되어 오존의 농도를 낮출 수 있으나, 바람이 약한 경우 오염물질이 정체

되기 쉬어 고농도가 되기 쉽다. 일반적으로 대기오염물질의 문제성의 큰 기준은 농

도이기 때문에, 고농도로 배출될 경우라도 희석이 순조롭게 이루어 질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더 피해가 적다고 본다.

Page 184: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97

80

100

120

140

160

180

0 1 2 3 4 5 6

풍속(m/s)

농도(ppb)

<그림 4-93> 환경기준치(100 ppb) 이상일 경우 풍속 (단위 : m/s)

다) 기온

○ 환경기준치 이상일 경우의 기온의 경향을 살펴보면, 20℃에서 35℃사이에만

분포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고농도의 오존이 생성될 때에는 30℃에서 35

℃에 집중되어 있다. 2차 오염물질의 생성에 필수적인 빛(기온)은 고온일 경우에 영

향이 큰 것을 알 수 있다

80

100

120

140

160

180

0 5 10 15 20 25 30 35 40

기온(℃)

농도(ppb)

<그림 4-94> 환경기준치(100 ppb) 이상일 경우 기온 (단위 : ℃ )

Page 185: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98

라) 시간

○ 100ppb 이상일 경우의 시간대를 살펴보면, 오후1시부터 3시 사이에 집중되어

있음을 알수 있다.

80

100

120

140

160

180

1 3 5 7 9 11 13 15 17 19 21 23

시간(Time)

농도(ppb)

<그림 4-95> 환경기준치(100 ppb) 이상일 경우 시간

Page 186: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399

4.2.5 장래 배출량 예측에 대한 오존 농도

1) 계산 조건

광양만권역의 배출량 예측에 의한 오존농도 계산은 기준년도를 1999년으로 하

고, 2006년, 2009년도의 오존농도를 예측하여 현재의 오존농도와 비교, 검토하였다.

제3장에서 예측한 기준년도인 2006년과 2009년도의 배출원별 배출량자료에 의하면,

2006년도에는 광양제철소의 공장증설, 하동화력발전처의 5, 6호기 건설사업 및 현대

강관(주)의 율촌 제 1공단내 냉연공장 입주에 의해 배출되는 배출량을 고려하였으

며, 2009년도에는 광양화력발전소, 현대에너지의 율촌 LNG 복합화력 발전소, 여수

산단 확장 개발, 광양항 컨테이너 터미널 개발사업 등을 고려하였다. 그 밖에도 여

수시, 광양시 및 순천시에서 배출되는 면배출량과 호남, 남해고속도로, 국도 17호선,

19호선 및 2호선을 통행하는 도로배출원, 비도로 배출원 및 기타 사업지구 내의 배

출원별 증가되는 모든 배출량을 고려하여 입력자료로 사용하였다.

2) 예측 농도

○ 제3장에서 예측한 기준년도에 대한 배출량을 이용하여 계산를 실행한 결과,

<그림 4-96>에 나타내었다. 이것은 오존에 대한 저감대책이 수립되지 않을 때의

대기오염물질 장래 배출량을 이용하여 기준년도인 2006년도 및 2009년도의 오존농

도를 예측한 것이다.

○ 장래 기준년도 예측결과는 모든 측정망에서 환경기준 농도 0.1ppm을 초과하

는 것으로 예측되었으며, 시간과 장소에 따라 광양만권 오존농도의 공간적인 특징

을 잘 나타내고 있다.

○ 국지적인 바람의 영향과 배출량원 배출강도에 따라 13시에는 광양만의 서쪽

지역이 15시에는 여수산단과 여수산단의 서쪽지역이 오존농도가 높게 예측되었으

며, 이것은 2006년도 및 2009년도에 율촌산단과 광양제철, 여수산단의 확장 공사 등

으로 배출량이 증가된 것으로 예측된다.

○ <그림 4-97>과 <표 4-84>은 장래기준년도인 2006년과 2009년도의 자동측

정망지점에서의 증가되는 오존농도를 나타낸 것이다.

Page 187: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400

< 13시(2006년 > < 15시(2006년) >

< 13시(2009년)> < 15시(2009년) >

<그림 4-96> 기준년도의 장래 예측 오존농도

Page 188: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401

0.00

0.02

0.04

0.06

0.08

0.10

0.12

0.14

0.16

태인동 중동 삼일동 월래동 광무동 장천동

농도(ppm)

1999

2006

2009

<그림 4-97> 장래 기준년도의 오존 증가량(시간평균)

<표 4-84> 저감대책 전 기준연도의 측정지점에 대한 오존농도 예측결과

1999 2006 2009

태인동 0.115 0.128 0.137

중 동 0.107 0.126 0.134

삼일동 0.110 0.121 0.133

월래동 0.105 0.120 0.129

광무동 0.090 0.113 0.123

장천동 0.089 0.110 0.119

Page 189: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402

4.2.6 목표 삭감량 산정기준

1) 산정기준

가) 일반대기오염물질

○ 제3장에서 산정한 1999년도 기준으로 하여 장래기준년도인 2006년과 2009년

도의 예상되는 배출원별 배출량 ISC3 모델을 사용하여 일반대기오염의 배출원별

배출량을 삭감하였다.

○ 기준년도에 대기환경기준을 초과하는 항목인 황산화물, PM-10에 대해 삭감

량을 산정하였으며, 오존의 전구물질인 NOx와 VOCs에 대해서는 오존물질을 저감

하는 부분에서 다루었다.

○ 황산화물과 PM-10의 기준년도에 대한 배출량을 ISC3모델의 입력자료로 활

용하여 대기환경기준에 만족할때까지 두물질에 대한 배출원별 배출량을 삭감하면서

기준년도에 대한 배출원별 배출량에 대한 삭감량을 결정하였다.

나) 오존

○ 제3장에서 산정한 1999년도 기준으로 하여 장래기준년도인 2006년과 2009년

도의 예상되는 배출원별 배출량 UAM 모델을 사용하여 오존저감을 위한 배출원별

배출량을 삭감하였다.

○ 4.2.6절에 기술한 광양만권의 오존농도 생성메카니즘에 가장 큰 인자로 여겨

지는 VOCs/NOx의 비율에 의해 오존의 전구물질인 NOx와 VOCs의 배출량에 대해

삭감량을 결정하였다.

○ NOx와 VOCs의 배출량을 UAM모델의 입력자료로 활용하여 대기환경기준

에 만족할때까지 두물질에 대한 배출원별 배출량을 삭감하면서 기준년도에 대한 배

출원별 배출량에 대한 삭감량을 결정하였다.

Page 190: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403

2) 년도별, 오염물질별 목표삭감량

○ 기준년도인 2006년과 2009년도에 대한 오염물질별 배출량의 삭감량을 <표

4-85>에 나타내었다.

○ 2006년도의 SO2의 삭감량은 23,720ton/yr, NOx는 22,737ton/yr, PM-10은

3,740ton/yr, 그리고 VOCs는 3,175ton/yr로 각각 산정하였다.

○ 2009년도의 SO2의 삭감량은 26,210ton/yr, NOx는 25,990ton/yr, PM-10은

4,571ton/yr, 그리고 VOCs는 3,744ton/yr로 각각 산정하였다.

○ 예상 삭감량에 대한 배출원별 배출량의 결정은 제5장의 저감대책에 의해 실

행되며, 결정된 량에 의해 저감대책 후의 모델링을 실시한다.

<표 4-85> 2006년과 2009년도의 오염물질별 배출량 삭감량 (단위 : ton/yr)

구 분 SO2 CO NOx TSP PM-10 VOCs

1996배출량 48,567 19,372 58,012 11,656 7,874 7,231

삭감량

2006

배출량 80,645 37,488 91,175 12,598 12,394 10,400

삭감량 23,720 22,737 3,740 3,175

2009배출량 83,250 43,125 95,195 13,517 13,510 11,532

삭감량 26,210 25,990 4,571 3,744

Page 191: kfem.or.krkfem.or.kr/wp-content/uploads/2004/06/data_envinfo_epds... · 2014-12-23 ·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제 4장

제 4장 대기오염도 현황 및 예측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