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 fairburn 이상심리학8판, 1~8.indd 20 2017. 7. 26. 오전 10:06

16
Ed Fairburn

Upload: others

Post on 04-Oct-2021

2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Ed Fairburn 이상심리학8판, 1~8.indd 20 2017. 7. 26. 오전 10:06

Ed F

airb

urn

이상심리학8판, 1~8.indd 20 2017. 7. 26. 오전 10:06

Page 2: Ed Fairburn 이상심리학8판, 1~8.indd 20 2017. 7. 26. 오전 10:06

우리 대다수는 조안이나 알베르토의 정서, 사고, 행동이 심리적 비정상이라고 볼 것이

다. 이러한 정서, 사고, 행동은 정신병리(psychopathology), 부적응(maladjustment), 정서장애

(emotional disturbance) 혹은 정신질환(mental illness)이라고 하는 상태에서 비롯된 결과이다

(심리전망대 참조). 이 용어는 인간의 뇌 혹은 정신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여러 가지 문제

에 적용되어 왔다. 이상심리는 유명한 사람과 무명인, 부자와 가난한 사람을 가리지 않고

나타난다. 고금의 배우, 작가, 정치인 그리고 유명인들이 이상심리와 씨름을 해왔다. 심리

적 문제는 크나큰 고통을 가져올 수 있으나 동시에 영감과 에너지의 원천이 되기도 한다.

심리적 문제는 매우 흔하고 또 인간적인 문제이기 때문에 큰 관심의 대상이 된다. 수많

이상심리학 : 과거와 현재

조안은 매일 밤 울다가 잠이 든다. 그녀는 미래에 불행밖에 없을 것이라고 확신하고 있다.

그녀가 확신하는 것은 바로 그 사실뿐이다. “내게는 앞으로 고통, 고통, 고통밖에는 없을

것이고 딸아이도 마찬가지로 고통을 받게 될 것이다. 우리는 이제 끝장이다. 이 세상은 지긋지긋

하다. 내 인생의 매 순간이 모두 혐오스럽다.” 그녀는 불면증이 정말 심하다. 눈을 감기가 두렵

다. 눈을 감으면 자신의 절망스러운 삶이, 그리고 딸들에게 닥칠 끔찍한 미래가 더욱 뚜렷해진다.

어찌어찌 잠이 들면 시체, 부패, 죽음, 파멸의 끔찍한 이미지로 가득 찬 악몽을 꾼다.

어떤 날에는 아침에 침대에서 빠져나오는 것도 힘들다. 새로운 하루를 시작한다는 생각이 그녀를

질리게 한다. 그녀는 자신과 딸들 모두 죽어버리면 얼마나 좋을까 생각한다. ‘끝장내면 우리 모두

에게 더 낫지 않을까?’ 그녀는 우울감과 불안으로 무력해지고 절망감에 짓눌려 있다. 그리고 병에

걸릴 것 같은 두려움에 차 있고, 너무 지쳐서 움직이기도 힘들며, 무슨 일이든 시도해 보기에는

너무 소극적이다. 그런 날에 그녀는 딸들을 꼭 껴안고 트레일러 홈의 유리창 가리개를 내리고, 문

을 잠그고는 어두운 방에 앉아 온종일 지낸다. 그녀는 사회에서 무참하게 폭행당한 채 세상으로

부터 버려져서 시들어 말라버리도록 방치된 듯한 느낌이 든다. 그녀는 삶에 대해서 엄청나게 화

가 나지만 동시에 삶이 두렵다.

지난해 동안 알베르토는 직장을 그만두고 가족을 떠나서 곧 다가올 침략에 대비하라는 이상한 목

소리를 들었다. 이 때문에 그는 말할 수 없이 당황스러웠고 정서적으로 혼란스러웠다. 그는 그 목

소리들이 어찌어찌해서 자기와 연결된 먼 우주의 존재들로부터 왔다고 믿고 있다. 그는 자신이

그 메시지를 전달받도록 선택되었다는 점에서 사명감과 특별한 존재감을 느꼈지만, 동시에 긴장

되고 불안하기도 하다. 그는 다른 사람들에게 말세가 곧 다가올 것을 알려 주려고 최선을 다했다.

그는 목소리가 지시하는 대로 전조로 가득 찬 온라인 글들을 찾아내서 그 뒤에 숨겨진 메시지를

놓치지 말라는 코멘트를 붙여서 다른 사람들에게 보내고 임박한 침략을 중언부언 설명하는 긴 비

디오를 유튜브에 올리기도 하는데, 돌아오는 온라인 코멘트나 답글은 대부분 비웃거나 조롱하는

내용이다. 시키는 대로 온라인 기사나 비디오를 올리지 않으면 그 목소리들은 그를 모욕하고 협

박해서 하루하루가 악몽 같다.

알베르토는 적들이 음식을 오염시켰을 가능성에 대비해서 음식도 거의 안 먹는다. 그는 예전에

살던 곳에서 멀찍이 떨어진 조용한 아파트에 무기와 화약을 단단히 쟁여 놓고 있다. 그의 행동에

서의 갑작스럽고 이상한 변화와 중언부언 떠드는 그의 비디오를 보고 가족과 친구들은 알베르토

에게 연락해서 도대체 무슨 문제가 있는지 알아보기도 하고 그가 벌이려는 이상스러운 일을 못하

게 하려고 하였다. 그러나 그는 날이 갈수록 이상한 목소리와 상상 속 위험의 세계로 점점 더 깊이

숨어버린다.

1C H A P T E R

주제 개관

이상심리란 무엇인가

일탈

괴로움

기능장애

위험

손에 잡히지 않는 이상심리의 속성

치료란 무엇인가

과거에는 이상심리를 어떻게 이해하고

치료하였는가

고대사회의 관점과 치료법

그리스와 로마시대의 관점과 치료법

중세의 유럽:악마론의 복귀

르네상스와 수용소의 증가

19세기:개혁과 도덕치료

20세기 초:체인적 관점과 심인적

관점

현재 동향

심각한 정신장애인을 어떻게 돌보고 있는가

장애 정도가 덜 심각한 사람은 어떤 치료를

받는가

장애 예방과 정신건강 증진의 강조

다문화심리학

의료보험 적용의 영향력 증가

현재 주도적 이론과 전문직은 어떤 것인가

과학기술과 정신건강

임상연구자는 어떠한 일을 하는가

사례연구

상관관계법

실험연구법

임상연구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연구 참여자의 보호

종합:진행 중인 작업

이상심리학8판, 1~8.indd 1 2017. 7. 26. 오전 10:06

Page 3: Ed Fairburn 이상심리학8판, 1~8.indd 20 2017. 7. 26. 오전 10:06

2 : 이상심리학

은 소설, 희곡, 영화, 그리고 TV 프로그램이 인간 본성의 어두운 측면을 파헤쳐 왔고, 자가

치유법에 대한 책들이 시장에 넘친다. 정신건강 전문가들이 TV와 라디오에 인기 출연자

로 나오고 있고, 심지어 자기 쇼나 웹사이트, 블로그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도 있다.

이렇게 우리의 흥미를 사로잡는 문제들을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분야가 이상심리학

(abnormal psychology)이다. 모든 과학 분야에서와 같이 이 분야에서 일하는 사람들, 즉 임

상과학자는 연구의 대상이 되는 현상을 묘사하고 예측하고 설

명하기 위해서 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한다. 임상실무가는 그

렇게 얻은 지식을 비정상적·심리적 기능의 양상을 찾아내고

평가해서 치료하는 데 활동된다.

이상심리란 무엇인가

임상과학자나 임상실무가의 일반적 목표가 다른 분야의 과학 전문가들과 다르지 않지만,

이들의 일을 특별히 어렵게 하는 문제가 있다. 가장 골치 아픈 문제 중 하나는 이상심리를

정의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것이다. 조안과 알베르토의 사례를 다시 한 번 생각해 보자. 무

엇 때문에 그들의 반응을 ‘이상’이라고 바로 단정지을 수 있을까?

지금까지 ‘이상’의 정의는 수없이 많이 제시되었지만, 그중 모든 사람이 다 받아들이는

정의는 없었다(Bergner & Bunford, 2014). 그렇지만 이상심리에 대한 정의에는 대부분 일

탈(deviance), 괴로움(distress), 기능장애(dysfunction), 위험(danger)의 ‘네 가지 D’가 공통적

으로 포함되어 있다. 즉 이상심리는 보통 남다르고 극단적이며 유별나고 심지어는 기이하

다는 의미에서 일탈되어 있고, 본인을 불쾌하고 불편하게 한다는 점에서 고통스러우며, 건

설적인 방향으로 일상을 영위하기 어렵게 한다는 점에서 역기능적이고, 위험이 따를 수 있

다. 이 정의는 이상심리라는 현상을 탐색하는 데 유용한 출발점이 된다. 그러나 이제 곧 살

펴보겠지만, 이 정의에도 중요한 제한점이 있다.

왜 심리장애가 있는 인물

을 연기하는 배우들이 연

기상을 많이 받을까?

숨은 뜻 읽어내기

명언

“나는 중간 중간에 맑은 정신이 들었던 끔찍

했던 기간을 거쳐서 미쳐버렸다.”

에드거 앨런 포

심리전망대심리전망대

용어의 첫 등장

우리는 ‘이상’, ‘정신장애’라는 단어를

하도 자주 사용해서 이 용어들이 얼

마 전까지는 존재하지도 않았다는 것을 잊

기 쉽다. 이 단어들, 그리고 이와 비슷한 단

어(속어를 포함해서)가 심리적 기능장애의

표현으로 출판물에 등장한 것은 언제부터일

까? 옥스퍼드 영어사전에는 다음과 같이 나

와 있다.

unstable unbalanced

insanity

distressed

disturbed

abnormal

psychopathology

psychiatric

maladjustment

madness ‘crazy’

(속어)

‘nuts’

(속어)

mentally

handicapped

deviant

dysfunctional

impaired

mental

illness

psychological

▶이상심리학 기능의 비정상적 양상을 기술

하고 예측하며 설명하고 변화시키기 위하여

이상행동을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분야

이상심리학8판, 1~8.indd 2 2017. 7. 26. 오전 10:06

Page 4: Ed Fairburn 이상심리학8판, 1~8.indd 20 2017. 7. 26. 오전 10:06

제1장 이상심리학 : 과거와 현재 : 3

일탈

비정상적 심리적 기능이 일탈되었다고 할 때 무엇으로부터 일탈되어 있다는 의미일까? 조

안과 알베르토의 행동, 사고, 정서는 우리가 사는 시대와 장

소에서 정상이라고 보는 행동과는 다르다. 밤마다 울다가

잠이 든다든지, 세상을 증오하고 죽음을 소망한다든지, 다

른 사람에게는 들리지 않는 목소리가 시키는 대로 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예상할 수 있는 행동은 아니다.

요약하면 이상 행동, 사고, 그리고 정서는 사회가 적절하

다고 보는 심리적 기능과는 현저하게 다르다. 사회마다 규범

(norm), 즉 행위의 적절성을 판단하는 규칙(명시된 혹은 명

시되지 않은)이 있다. 법으로 정해진 규범을 깨뜨리는 행동

이 범죄라면 심리적 기능에 대한 규범을 깨뜨리는 행동, 사

고, 정서는 ‘이상’이라고 부른다.

이상 여부의 판단은 사회마다 다를 수 있다. 한 사회의 규

범은 그 사회 고유의 문화(culture), 즉 역사, 가치관, 제도,

습관, 기술, 과학기술, 예술으로부터 만들어진다. 경쟁과 자기주장에 가치를 두는 사회에

서는 공격적 행동이 용납될 수 있으나, 협동과 온순함을 강조하는 문화에서는 공격적 행동

이 용납되지 않을 뿐 아니라 ‘이상’으로 간주될 수도 있다. 한 사회의 가치도 시대에 따라

변화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이상심리가 무엇인지에 대한 견해도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100년 전의 서구사회에서는 여성이 대기업의 경영권이나 국가를 이끄는 권력을 추구하는

것이 부적절하고 심지어는 망상이라고 보는 시각이 보편적이었지만, 오늘날에는 동일한

행동이 높이 평가된다.

이상 여부의 판단은 문화적 규범뿐 아니라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만

약 조안이 아이티의 국민이었고 그의 처절한 불행이 2010년 1월 12일, 서반구에서 가장 빈

곤한 국가인 아이티에 대규모 지진이 발생한 후 며칠, 몇 주일, 몇 달만에 시작되었다면 어

떠했을까? 세계 역사상 가장 끔찍한 자연재해였던 그 지진으로 인해 250,000명의 아이티

국민이 사망하였고 150만 명이 집을 잃었다. 아이티의 집과 건물의 절반이 즉시 무너져 내

렸고, 전력을 비롯한 모든 동력은 사라졌다. 대부분 사람들은 집이 아닌 텐트에서 지내게

되었다(Granitz, 2014; Wilkinson, 2011).

조안은 지진이 일어나고 수 주일, 수개월 동안 자기가 필요로 하는 모든 도움을 받기 어

려우리라는 것을 받아들였고 한때 자신의 삶에 중요한 의미를 주었던 친구와 이웃들을 이

제 다시는 만날 수 없을 것이라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그리고 그녀는 딸들과 함께 심각한

질병의 위험성을 안고 임시보호소를 전전하면서 점차 정상적인 삶으로 되돌아가리라는 희

망을 모두 포기하게 되었다. 이렇게 보면 조안의 반응은 그렇게 부적절해 보이지 않는다.

여기에서 비정상적인 것이 있다면 바로 그녀가 처한 상황일 것이다. 사람이 겪는 경험 중에

는 파산, 대규모 재해와 재난, 강간, 아동학대, 전쟁, 불치병, 만성 통증 등과 같이 우리에게

강렬한 반응을 일으키는 것들이 많다(Janssen et al., 2015). 그런 경험들에 대한 ‘적절한’ 반

응이라는 것이 있을까? 그런 경험에 대한 반응을 비정상적이라고 해도 되는 것일까?

Chai

deer

Mah

yudd

in/A

FP/G

etty

Imag

es

일탈 다루기

각 문화마다 일탈행동을 찾아내서 다루는 고유

의 방법이 있다. 예컨대 2011년 인도네시아 수

마트라 섬의 아체 지역 샤리아 경찰은 모호크

식 머리, 문신, 코걸이, 꽉 끼는 청바지, 그리

고 체인 등 못마땅한 차림새를 한 청소년 폭주

족 60명을 체포해서 강제로 10일간 도덕재활캠

프를 가도록 했다. 그 캠프에서는 이들의 머리

를 밀고, 호수에서 목욕을 하게 한 후 전통복장

을 입고 코걸이를 빼고 기도를 하게 하였다.

▶규범 사회적으로 적절한 품행을 규정하는

규칙

▶문화 민족이 공통적으로 가진 역사, 가치관,

제도, 관습, 기술, 과학기술과 예술

이상심리학8판, 1~8.indd 3 2017. 7. 26. 오전 10:06

Page 5: Ed Fairburn 이상심리학8판, 1~8.indd 20 2017. 7. 26. 오전 10:06

4 : 이상심리학

괴로움

심리적 기능이 유별나다고 해서 반드시 이상심리

로 볼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많은 임

상이론가들은 행동, 생각이나 정서가 괴로움을 일

으키는 경우에 한하여 ‘이상’으로 규정한다. Ice

Breaker라는 집단은 11월에서 2월까지 매 주말 미

시간 주 전역에 있는 호수에서 수영을 한다. 이

들은 날씨가 추울수록 더 좋아한다. 17년간 Ice

Breaker의 멤버였던 한 남성은 인간이 자연에 도전

한다는 것을 즐긴다고 말한다. 37세의 어느 여성

변호사는 매주 경험하는 그 충격이 건강에 좋다고

믿는다. “그 경험이 나를 정화시킨다. 생기가 나고

힘이 솟는다.”라고 한다.

이들이 우리들 대부분과는 다르지만, 그들의 행

동을 ‘이상’이라고 할 수 있을까? 그들은 고통을 경험하기는커녕 에너지가 충전되고 도전

받는다고 느낀다. 그들이 긍정적인 기분을 경험하므로 그들의 기능을 ‘이상’으로 보기 어

렵다.

그렇다면 이상심리라고 하려면 반드시 괴로움을 경험해야만 한다고 결론 내릴 수 있을

까? 반드시 그렇지는 않다. 어떤 사람들은 정상적으로 기능하지 못하더라도 긍정적인 마

음을 유지한다. 이상한 목소리가 들린다는 알베르토의 사례를 다시 생각해 보자. 알베르토

는 다가오는 외계인의 침략과 그 때문에 자신의 생활을 어쩔 수 없이 바꾸어야 되는 것이

괴롭다. 그러나 만약 알베르토가 환청을 즐겼고 자신이 선택되었다는 것을 영광스럽게 생

각했으며 인터넷으로 경고를 보내는 것을 좋아했고 세상을 구원하기를 고대하고 있었다

면 어떨까? 그래도 그가 정상이 아니라고 봐야 할까?

기능장애

이상행동은 기능장애를 초래하는 경향이 있다. 즉 이상행동은 일상적 기능을 저해한다

(Bergner & Bunford, 2014). 이상행동은 사람들을 당황하게 하고 주의를 분산시키며 혼란

스럽게 만들어서 자신을 제대로 돌보고 다른 사람들과의 일상적인 상호작용이나 예전의

생산적인 활동을 어렵게 만든다. 예를 들어 알베르토는 직장은 그만두었고 가족과도 헤어

졌으며 기존의 생산적인 삶에서 물러나게 되었다. 우리 사회에서는 일상생활에서의 활동

을 효율적으로 영위하는 것을 중요시하므로 알베르토의 행동은 비정상이고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될 가능성이 크다. 반면 직장에서 업무를 계속 잘해 나가고 만족스러운

인간 관계를 누리는 Ice breaker들의 행동은 그냥 특이할 뿐이라고 생각할 것이다.

위험

심리적 기능장애에서 궁극적으로 문제가 되는 것은 자신이나 타인에게 위험할 수 있는 행

동이다. 일관적으로 무모하고 적대적, 혹은 혼란스러운 행동을 보이는 사람들은 자기 자신

이나 주변 사람들을 위험에 처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베르토는 식사를 제대로 하지

AP P

hoto

/Dav

id G

utte

nfel

der

맥락의 중요성

2011년 일본에서 처참한 지진과 쓰나미가 지나

간 다음날 아침에 기쿠타 레이코(오른쪽)와 남

편 타케시가 인부들이 자기 집을 밧줄에 연결시

켜 끌어내려고 하는 것을 바라보고 있다. 이 엄

청난 재난이 지나간 뒤 불안과 우울은 뚜렷한

정신병리 증상이라기보다는 보편적이고 정상

적인 반응인 듯하다.

이상심리학8판, 1~8.indd 4 2017. 7. 26. 오전 10:06

Page 6: Ed Fairburn 이상심리학8판, 1~8.indd 20 2017. 7. 26. 오전 10:06

제1장 이상심리학 : 과거와 현재 : 5

않음으로써 자신을, 그리고 무기와 탄약을 쌓아둠으로써 다른 사람들

을 위험에 처하게 하는 듯하다.

이상심리의 특성 중 하나로 위험성이 자주 언급되기는 하지만, 사실

이상심리의 위험성은 일반적인 현상이라기보다는 극히 예외적인 일이

라는 것이 연구 결과로 밝혀져 있다(Stuber et al., 2014). 불안과 우울에

시달리거나, 심지어는 기이한 생각을 하는 사람들도 대부분 자신이나

다른 사람들에게 직접적 위험이 되지는 않는다.

손에 잡히지 않는 이상심리의 속성

이상심리를 정의하려면 보통 답을 얻는

것만큼 새로운 의문이 꼬리를 물고 생긴

다. 궁극적으로는 사회가 이상을 정의

하는 일반적인 기준을 선택하고 그 기준

을 적용해 특정 사례들을 판정하게 된다.

Thomas Szasz(1920~2012)는 사회의 역

할을 강조한 나머지, 정신질환을 일종의 가공된 신화라고 보고 그 개념

자체의 타당성을 부인했다(Szasz, 2011, 1963, 1960). Szasz에 의하면 사

회가 비정상이라고 부르는 일탈은 ‘삶의 문제’일 뿐이고 그 사람 내부의 무엇이 잘못되었

다는 표시는 아니라는 것이다.

이상심리가 타당한 개념이고 이를 정의할 수 있다고 가정해도 그 정의를 일관적으로 적

용하기는 어려울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학생들의 과다한 음주와 같이 우리에게 친숙한 행

동의 경우 사회가 이것이 규범에서 일탈되었고 괴로움을 주며 역기능적이고 위험하다는

것을 인식하지 못할 수 있다. 미국 전역에서 수많은 대학생들이 알코올 의존 상태가 되어

개인 생활이나 학업에 지장이 있고, 심각한 괴로움을 겪으며 건강을 위협하고 자신과 주변

사람들을 위험에 처하게 하고 있다(Merrill et al., 2014). 그러나 그들의 문제는 눈에 띄지

않고 진단되지 않고 지나치는 경우가 많다. 술은 이미 대학문화의 한 부분이 되어 정상 범

위를 넘어선 음주행동까지도 그냥 지나쳐 버리기 쉽다.

반대로 개입이 필요한 비정상과 타인이 간섭할 권리가 없는 기행(eccentricity)을 사회가

제대로 구분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간혹 우리가 보기에 이상한 행동을 하는 사람들을

보거나 이야기를 전해 듣게 된다. 예를 들어 혼자 살면서 고양이 수십 마리를 기르고 다른

사람들과 말을 섞는 일이 거의 없는 남자 같은 경우이다. 이들의 행동은 사회적 규범에서

벗어났다고 볼 수 있고 본인에게 괴롭고 역기능적일 가능성이 크지만, 다수의 전문가들은

이들의 행동을 비정상이라기보다는 괴짜라고 볼 것이다(심리전망대 참조).

요약하면 이상심리는 사회적 규범에서 벗어나며 괴롭고 역기능적이며 때로는 위험을

수반하는 심리 기능방식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준이 애매하고 주관적일

때가 많다는 점을 확실하게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 책에서 다룰 이상심리 진단 범주들

은 겉으로 보이는 것같이 명쾌한 경우는 거의 없고, 대다수가 임상가들 간에 지속적인 논

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AP P

hoto

/Kat

sum

i Kas

ahar

a

달라진 세상

10년 전만 해도 여성이 경주용 차를 운전하는

것은 낯설다거나 심지어는 비정상으로 간주되

었다. 다니카 패트릭(오른쪽)은 미국에서 일급

경주용 차를 모는 선수이다. Japan 300 자동

차레이스에서 그녀가 받은 일등 트로피와 남성

운전자인 헬리오 카스트로네베스의 이등 트로

피의 크기 차이는 이 스포츠에서 여성들이 얼마

나 장족의 발전을 이루었는지를 상징적으로 보

여 주고 있다.

일탈, 괴로움, 기능장애,

혹은 위험의 기준에 부합

되지만 대다수 사람들이

이상행동이라고 보지 않

는 행동에는 어떤 것이 있

을까?

이상심리학8판, 1~8.indd 5 2017. 7. 26. 오전 10:06

Page 7: Ed Fairburn 이상심리학8판, 1~8.indd 20 2017. 7. 26. 오전 10:06

6 : 이상심리학

치료란 무엇인가

일단 임상가들이 정말 이상심리를 보인다고 판정하면 이는 치료의 대상이 된다. 처치

(therapy) 혹은 치료(treatment)란 이상행동을 정상적인 행동으로 바꾸도록 돕는 절차이다.

치료도 잘 정의할 필요가 있다. 임상과학자들에 의하면 치료의 정의는 이상심리의 정의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다음에 기술된 빌의 사례를 보자.

2월에는 빌의 생각과 느낌, 행동은 삶의 모든 영역에서 그의 발목을 잡았다. 그러나 7월

이 되면서 그의 증상 대부분이 사라졌다. 빌이 좋아진 것은 친구나 가족의 조언 덕분일 수

도 있고, 새 직장이나 휴가를 갔었던 것, 어쩌면 식단이나 운동 프로그램을 확 바꾼 것이

도움이 되었을 수 있다. 그중 어떤 요인 하나가, 아니면 그 모든 요인이 도움이 되었을 수

는 있지만, 이를 처치나 치료라고 보기는 어렵다. 처치나 치료란 보통 심리적 어려움의 극

복을 돕기 위한 특별한 체계적 절차에 국한된 용어이다. 임상연구가인 Jerome Frank의 말

을 빌리자면, 모든 형태의 치료는 다음 세 가지 핵심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1. 치료자가 고통을 해소해 주기 원하는 환자

2월:빌은 집 밖으로 나갈 수가 없다. 그 사실은 정말 확실하게 알고 있다. 집에 있을 때에만

모욕, 위험, 심지어는 파멸을 피할 수 있다고 느낀다. 직장에 가면 동료들이 그에 대한 경멸감

을 어떤 형태로든 표시할 것이다. 가시 돋힌 말, 놀리는 듯한 표정만 보아도 그들의 마음을 다

알 수 있다. 쇼핑을 가면 가게에 있는 사람들 모두가 그를 빤히 쳐다볼 것이다. 틀림없이 다른

사람들도 그의 암울한 기분과 생각을 알아챌 것이다. 숨길 도리가 없다. 그는 혼자 숲속으로

산책을 나갈 엄두도 내지 못한다. 가슴이 벌렁거리기 시작해서 주저앉게 될 것이고, 숨이 턱

에 차서 횡설수설하며 집으로 다시 돌아오지도 못할 것이다. 아니, 그로서는 방 안에 틀어박

혀서 이 끔찍한 삶을 하루 저녁 더 견뎌내는 편이 훨씬 나을 것이다. 인터넷이 있어서 얼마나

다행인가! 온라인 뉴스를 읽고 블로그나 온라인 포럼에 글을 올리는 일이 없었다면 그는 아마

도 세상과 완전히 단절되었을 것이다.

7월:빌의 생활은 친구들을 중심으로 돌아간다. 빌은 최근 고객 관리부의 책임자로 승진했

고, 직장에서 알게 된 밥과 잭 그리고 주말에 같이 테니스를 치는 프랭크와 팀과 어울려 지낸

다. 이 친구들과는 매주 돌아가면서 집에서 저녁을 같이 먹고 인생, 정치, 일에 대한 이야기를

나눈다. 빌의 삶에서 특별한 위치를 차지하는 사람은 재니스이다. 재니스와는 영화도 같이

보고, 레스토랑이나 쇼에도 같이 간다. 재니스는 빌이 참 멋지다고 생각하고, 빌도 그녀와 함

께 있으면 환하게 미소 짓게 된다. 이제 빌은 매일 직장에 나가서 고객들과 상대하는 일을 고

대하고 있다. 그는 다양한 활동에 참여하고 여러 사람과 관계를 맺으면서 인생을 보다 완벽하

게 즐기고 있다.

▶ 요약

이상심리란 무엇인가 이상행동을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분야가 이상심리학이다. 비정상적 심리기능은

일반적으로 일탈되어 있고 괴로움과 기능장애가 내포되며 위험할 수 있다. 그러나 행동은 그 맥락 안에

서 고려되어야 하며 ‘이상’의 개념은 그 사회의 규준과 가치에 따라서 달라진다.

▶치료 이상행동을 보다 정상적 행동으로 변

화시키는 체계적 절차

이상심리학8판, 1~8.indd 6 2017. 7. 26. 오전 10:06

Page 8: Ed Fairburn 이상심리학8판, 1~8.indd 20 2017. 7. 26. 오전 10:06

제1장 이상심리학 : 과거와 현재 : 7

2. 환자와 그가 속한 사회 집단에서 전문성을 인정받은 훈련된 치료자

3. 환자의 정서 상태, 태도 및 행동을 변화시키기 위한 치료자와 환자의 일련의 접촉

(Frank, 1973, pp. 2-3)

이와 같이 명쾌한 정의가 내려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임상 치료는 갈등과 혼란에 싸여

있다. 제2장에 소개될 현대 임상 분야의 개척자 Carl Rogers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치료

자들이 지향하는 목표나 목적은 동일하지 않다. … 또한 치료자들은 무엇을 성공적 치료의

성과로 보는지에 대해서도 서로 생각이 다르다. 마찬가지로 무엇을 치료의 실패라고 볼 수

있는지에 대한 의견도 다르다. 이 분야는 완전히 혼란에 빠져서 의견도 제각각인 듯하다.”

임상가 중 일부는 이상심리를 질병으로 보고 그 질병의 치유를 돕는 절차를 치료라고 본

다. 다른 이들은 이상심리를 삶의 문제로 보고 보다 적응적인 행동과 사고를 가르치는 사람

이 치료자라고 본다. 심지어는 치료를 받는 사람을 무엇이라고 부를 것인지에 대해서도 의

견이 다르다. 이상심리를 질병으로 보는 사람들은 ‘환자’라는 용어를 쓰는가 하면 이상심

리를 삶의 문제로 보는 임상가들은 ‘내담자’라는 용어를 쓴다. 이 두 가지 용어가 모두 보

편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이 책에서는 이들을 교환 가능한 용어로 사용할 것이다.

심리전망대심리전망대

남들과 다른 북소리에 따라 행군하는 괴짜들

● 작가 제임스 조이스는 늘 작은 여성용 속바

지를 가지고 다니다가 마음에 든다는 표시로

흔들었다.

● 벤저민 프랭클린은 건강을 위해서 창문을 열

어 놓고 발가벗은 채 그 앞에 앉아서 ‘풍욕’

을 했다.

●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은 보름달의 빛을 막으

려고 자기 집 창문을 가렸다. 그는 또 개에

게 말을 가르치려고 했다.

● 데이비드 허버트 로렌스는 옷을 벗고 뽕나무

위에 올라가는 것을 좋아했다.

이들 유명인사들은 괴짜들로 알려져 있

다. 사전적 정의에 의하면 괴짜란 보편

적인 행동방식에서 벗어나거나 이상야릇하고

별난 행동을 하는 사람을 말한다. 그러나 심리

적으로 건강하지만 색다른 습관을 가진 사람과

정신병리 증상으로 기이한 행동을 보이는 사람

을 어떻게 구분할 수 있을까? 괴짜에 대한 연

구는 많지 않지만 그중 몇몇 연구를 통해서 이

에 대한 통찰을 얻을 수 있다(Stares, 2005;

Pickover, 1999; Weeks & James, 1995).

괴짜 1,000명을 연구한 David Weeks는

5,000명 중 1명 정도가 ‘고전적인 의미의 진

짜 괴짜’일 것이라고 추정했다. Weeks의 연구

에서는 괴짜의 특징으로 다음의 15가지를 꼽았

다. 일반사회 규범의 거부, 창의성, 강한 호기

심, 이상주의, 극단적인 관심과 취미, 늘 자신이

남과 다르다는 인식, 높은 지능, 솔직함, 경쟁심

의 부재, 유별난 식사 및 생활 습관, 다른 사람

의 의견이나 남과 사귀는 것에 대한 무관심, 장

난기에 찬 유머감각, 미혼, 장남/장녀이거나 외

아들/외딸, 철자법에 서투름 등이다.

Weeks는 괴짜들이 일반적으로 정신장애가

있는 것은 아니라고 했다. 정신장애자들의 유별

난 행동은 본인의 의사와 관계없이 나타났고,

보통 그들에게 고통을 주지만 괴짜들의 기행은

자유의지로 선택된 것으로 이들에게 즐거움을

준다. “괴짜들은 스스로 남과 다르다는 것을 알

고 있으며 이를 자랑스럽게 여긴다”(Weeks & James, 1995. p. 14). 마찬가지로 괴짜들의 사

고 과정은 심각하게 와해되지도 않았고 역기능

적이지도 않다. Weeks의 연구에 의하면 괴짜

들은 일반 사람들에 비하여 도리어 정서 문제

가 더 적었다. 아마도 ‘독창적’이라는 것이 정신

건강에 유익한지도 모른다.

Lanc

e M

anio

n/Re

tna

Ltd.

/Cor

bis

음악 괴짜 대중음악 슈퍼스타 레이디 가가는 기이

한 행동, 기상천외한 패션 감각, 그리고 튀는 공연 방

식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수많은 그녀의 팬들은 그

녀가 작사한 노래 가사나 음악 못지않게 그녀의 특이

함 자체를 즐긴다.

이상심리학8판, 1~8.indd 7 2017. 7. 26. 오전 10:06

Page 9: Ed Fairburn 이상심리학8판, 1~8.indd 20 2017. 7. 26. 오전 10:06

8 : 이상심리학

서로 견해의 차이는 있지만 대다수의 임상가들은 심리치료를 필요로 하는 사람들이 아

주 많다는 점에는 의견을 같이한다. 심리치료가 과연 도움이 되는지에 대한 증거는 나중

에 만나게 될 것이다.

과거에는 이상심리를 어떻게 이해하고 치료하였는가

매년 미국 성인의 30%, 아동과 청소년의 19%가 심각한 심리적 장애로 치료가 필요하다

(Merikangas et al., 2013; Kessler et al., 2012, 2009). 다른 나라에서의 비율도 비슷하게 높

다. 과학기술의 빠른 변화, 테러리즘 위협의 증가, 혹은 종교, 가족을 비롯한 지원체계의

약화 등 현대사회의 특징이 이와 같이 많은 정서적 문제의 원인이라고 결론 내리기 쉽다

(Paslakis et al., 2015; Gelkopf et al., 2013). 그러나 이상심리는 시대를 불문하고 모든 사회

에 존재해 왔다. 그렇다면 이상행동과 그 치료법은 과거로 거슬러 올라가서 조사를 시작

해야 할 것이다.

고대사회의 관점과 치료법

역사가들은 고대사회로부터 나온 유골, 예술품, 기타 유물들을 살펴보고 고대사회에서는

이상행동을 악령의 짓이라고 보았을 가능성이 크다는 결론을 내렸다. 선사시대 사람들은

주변이나 자신의 내부에서 일어나는 일들은 모두 이 세상을 통제하는 마술적 (때로는 사

악한) 존재의 행위에서 비롯된다고 믿었다. 특히 그들은 인간의 몸과 마음이 외부에 존재

하는 선과 악 세력의 싸움터라고 보았다. 이상행동은 보통 악령의 승리로, 이상행동의 치

유는 악령을 몸에서 몰아내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이상행동에 대한 이와 같은 견해의 시작은 50만 년 전 석기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유럽과 남아메리카에서 발굴된 석기시대의 유골 중 일부에서

는 트레피인(trephine)이라는 돌로 만든 도구로 두개골을 둥글게 절개하는 천공술

(trephination)을 받은 증거가 나타났다(Heeramun-Aubeeluck & Lu, 2013). 일부

역사가는 이러한 초기 수술이 실제 존재하지 않는 현상을 보거나 듣는 환각이나

극심한 슬픔에 빠져 꼼짝하지 못하는(immobility) 우울증과 같은 심각한 이상행

동의 치료를 위해서 시행되었을 것이라고 결론 지었다. 두개골을 여는 수술의 목

적은 그 문제의 원인으로 추정되는 악령을 몰아내는 것이었다(Selling, 1940).

그 이후의 사회에서도 이상행동을 악령에 들리는 것으로 설명했다. 이집트,

중국, 이스라엘의 문헌에서도 모두 이상심리를 그런 방식으로 설명하였고, 성

경에도 어떻게 사울 왕에게 악령이 들렸는지, 어떻게 다윗이 적들로 하여금 자

신에게 신령이 임하였다는 것을 믿게 하려고 미친 척하였는지 기록되어 있다.

위와 같은 초기 사회에서는 이상심리를 흔히 귀신을 몰아내는 퇴마 의식(exorcism)

으로 치료하였다. 그 의도는 악령을 달래서 떠나게 하거나 악령이 그 사람의 몸에 머무

▶ 요약

치료란 무엇인가 치료는 심리적 어려움을 극복하는 과정을 돕기 위한 체계적 절차이다. 일반적으로

치료는 환자, 치료자, 그리고 일련의 치료적 접촉으로 구성된다.

AP P

hoto

/Pau

l Whi

te

Prof

esso

r Joh

n Ve

rano

악령 몰아내기

고대로부터 발굴한 이 두개골에 있는 구멍 두

개는, 아마도 정신장애를 치료하고자 악령을

몰아내기 위한 천공술을 받았음을 시사한다.

심리치료는 … 아니다

얼마 전 스페인의 한 호텔이 대규모 수리를 앞

두고 시민들에게 그 호텔 한 층의 객실들을 때

려 부수면서 스트레스를 풀도록 하였다. 그 파

괴행위가 일부 사람들에게는 정말 치료적 효과

가 있었을지 모르지만 이를 심리치료라고 할 수

는 없다. ‘훈련받은 치료자’도 없었을 뿐 아니라

치료자와 환자가 여러 번에 걸쳐 체계적으로 접

촉하지도 않았다.

이상심리학8판, 1~8.indd 8 2017. 7. 26. 오전 10:06

Page 10: Ed Fairburn 이상심리학8판, 1~8.indd 20 2017. 7. 26. 오전 10:06

제1장 이상심리학 : 과거와 현재 : 9

르기 불편하게 만드는 것이었다. 샤먼 혹은 신관은 기도문을

외우고, 악령에게 간청을 하거나 모욕을 주고, 마술을 시행하

거나 큰 소리를 내고, 그 사람에게 쓴 약을 마시게 하기도 하였

다. 만약 이런 방법들이 모두 통하지 않는 경우 신관은 더 극

단적인 퇴마법으로 그 사람에게 매질을 하거나 굶기는 방법을

쓰기도 하였다.

그리스와 로마시대의 관점과 치료법

대략 기원전 500년부터 서기 500년 사이에는 그리스와 로마 문명이 융성하였고, 철학자

와 의사들은 이상행동을 다르게 설명하였다. 현대 의학의 아버지로 불리는 히포크라테스

(기원전 460~377)는 질병은 자연적 원인에 의한 것이라고 가르쳤다. 그는 이상행동을 내

부 신체적 문제로 인한 질병이라고 보았다. 구체적으로 그는 이상행동이 일종의 뇌질환

으로, 다른 모든 질병과 마찬가지로 몸에 흐르는 네 가지 체액(humors, 황색담즙, 흑색담즙,

혈액, 점액)의 불균형에서 비롯된다고 믿었다(Wolters, 2013). 예를 들어 황색담즙의 과다는

격앙된 활동의 원인으로, 흑색담즙의 과다는 떨쳐버릴 수 없는 슬픔의 근원으로 보았다.

이상심리를 치료하기 위해서 히포크라테스는 근원적인 신체적 병리를 교정하려고 했

다. 예를 들어 슬픔의 근원인 흑색담즙의 과다분비는 조용한 생활, 채소의 섭취, 운동, 금

욕, 채혈로 호전될 수 있다고 믿었다. 위대한 그리스 철학자 플라톤(기원전 427~347)과 아

리스토텔레스(기원전 384~322), 그리고 그리스와 로마의 영향력 있는 의사들도 히포크라

테스와 마찬가지로 이상행동의 내적 원인을 강조하였다.

중세의 유럽:악마론의 복귀

그리스·로마시대의 의사와 학자들은 개화된 견해를 가지고 있었으나, 일반 사람들은 여

전히 악마에 대한 믿음을 버리지 못했다. 그리고 로마의 멸망과 함께 악마론적 견해와 풍

습은 다시 유행하게 되었고, 점차 과학에 대한 불신이 유럽 전역으로 확산되었다.

서기 500년부터 1350년 사이의 중세에는 유럽 전역에서 성직자의 세력이 크게 증가하

였다. 그 시대에는 교회가 과학적 조사를 거부했고 모든 교육을 통제하였다. 매우 미신적

이고 악마론적인 종교적 믿음이 삶의 모든 측면을 좌지우지했다. 일탈행동, 특히 심리적

장애는 사탄의 영향을 받았다는 증거로 간주되었다.

중세는 심각한 스트레스와 불안의 시대로, 전쟁과 도시 민

란, 역병이 만연한 시대였다. 사람들은 그러한 문제를 악마의

탓으로 돌렸고, 악마가 들릴까 봐 겁을 냈다(Sluhovsky, 2011).

이 시기에는 이상행동이 크게 증가하였다. 또한 다수의 사람

들이 터무니없는 잘못된 믿음을 공유하면서 헛것을 봤거나 들었다고 상상하는 집단광기

(mass madness)가 창궐하였다. 예를 들어 무도병(tarantism, 성 비투스 춤이라고 알려짐)에서

는 사람들이 갑자기 펄쩍 뛰거나 춤추다가 발작을 일으켰다(Prochwicz & Sobczyk, 2011;

Sigerist, 1943). 사람들은 모두 그 병이 타란툴라라는 늑대거미에 물려서 생긴 결과라고 믿

었고, 타란텔라 춤을 추면 그 병을 고칠 수 있다고 믿었다. 또 다른 형태의 집단광기인 낭광

(狼狂, lycanthropy)에서는, 자신이 늑대나 그 이외의 다른 동물에 들렸다고 생각하고 늑대

처럼 행동하고 자기 몸에 털이 자란다고 상상했다.

▶천공술 이상행동의 치료를 위해 두개골을

둥굴게 잘라낸 고대의 수술법

▶체액 그리스나 로마인들이 정신과 신체의

기능에 영향을 미친다고 본 신체의 화학물질

악령으로 이상심리를 설명하거나 치료하

는 방법으로 퇴마 의식 이외에 오늘날에

도 남아 있는 것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이러한 것들은 왜 사라지지 않을까?

트위터, 페이스북, 문자, 인터넷, 케이블

TV와 그 밖의 기술들이 어떻게 현대형

집단광기를 부추기고 있을까?

이상심리학8판, 1~8.indd 9 2017. 7. 26. 오전 10:06

Page 11: Ed Fairburn 이상심리학8판, 1~8.indd 20 2017. 7. 26. 오전 10:06

10 : 이상심리학

예상할 수 있듯이 이전의 악마론적 이상심리 치료법 중 일부가

중세에 다시 등장했다. 다시 한 번 치유의 열쇠는 악마가 들린 사

람의 몸에서 악마를 몰아내는 것이 되었다. 퇴마 의식이 다시 살아

났고 그 시대에 치료를 담당했던 성직자들은 악마나 악령에게 간

청하거나 성가를 부르고 기도를 했다(Sluhovsky, 2011, 2007). 그러

한 방법이 효과가 없으면 다른 방법들이 동원되었고 그중 일부는

고문이었다.

중세가 끝날 무렵이 되어서야 악마론과 악마론적 방법이 쇠퇴하

기 시작했다. 유럽 전역에서 작은 마을들은 도시로 성장했고 정부

관료의 세력이 커지면서 이들이 종교 이외의 활동을 인계받았다.

이들은 여러 가지 업무의 일환으로 병원을 운영하고 정신질환자들

을 돌보는 일을 관장하기 시작했다. 이상심리에 대한 의학적 견해

가 지지를 얻게 되었고, 수많은 정신장애인들이 영국의 트리니티병원 등 병원에서 치료를

받았다(Allderidge, 1979).

르네상스와 수용소의 증가

문화적·과학적 활동이 융성했던 1400~1700년의 르네상스 시대의 초기에는 이상심리

에 대한 악마론적 견해가 지속적으로 퇴조하였다. 최초의 정신질환 전문의인 독일 의사

Johann Weyer(1515~1588)는 몸과 마찬가지로 마음도 병에 걸릴 수 있다고 믿었다. 그는

이제 현대 정신병리학의 창시자로 간주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정신질환자를 돌보는 방식도 지속적으로 개선되었다. 영

국에서는 지역 교구의 재정적 지원을 받으면서 가족이 정신질환자를 집에서 돌볼 수 있게

되었다. 유럽 전역에서 성당이 정신질환자들을 인도적으로 사랑으로 돌보는 데 헌신하였

다. 아마도 그중 가장 잘 알려진 곳이 벨기에 겔에 있는 성당이다. 15세기부터 전 세계 사

람들이 정신적 치유를 위하여 겔로 몰려 왔다. 겔 주민들은 이 순례자들을 자기 집에 받아

들였고, 다수가 이곳에 남으면서 세계 최초의 정신질환자들의 집단부락이 형성되었다. 겔

은 오늘날의 지역사회 정신건강 프로그램의 전신으로 정신질환자들을 사랑과 존중으로 돌보

면 호전된다는 것을 실증해 주고 있다(Guarnieri, 2009; Aring, 1975, 1974). 그곳에는 아직

도 많은 환자들이 회복될 때까지 다른 주민들과 교류하면서 수양가정(foster home)에서 살

고 있다.

유감스럽게도 이같은 정신질환자 돌보는 방식의 개선은 16세기 중반에 들어서면서 쇠

퇴하기 시작했다. 공무원들은 심각한 정신질환자 중 개인 가정이나 지역사회 주거시설이

받아들일 수 있는 경우는 극히 일부분에 지나지 않고 정신병원의 수

효나 규모는 턱없이 부족하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점점 더 많은 병

원과 수도원이 정신질환자들을 돌보기 위한 시설인 수용소(asylum)로

전환되었다. 이 시설들은 양질의 치료를 제공하겠다는 좋은 의도로

시작되었으나(Kazano, 2012), 환자가 넘쳐나면서 이들을 불결한 환경

에 가두고 말할 수 없이 잔인하게 다루는 실질적인 감옥이 되었다.

예를 들어 베들레헴병원은 1547년에 헨리 8세가 오로지 정신질환

자들을 가두기 위한 시설로 런던 시에 공여하였다. 쇠사슬에 묶여 있

© B

ettm

ann/

Corb

is

마법에 걸렸는가, 정신을 놓았었나

1300년대부터 ‘계몽’ 르네상스 시대에 이르기

까지 마법에 대한 두려움이 유럽에 만연했다.

많은 사람들(주로 여성)이 악마와 거래를 한 것

으로 간주되었다. 그중 일부는 정신장애가 있

어서 이상한 행동을 했을 것 같다(Zilboorg &

Henry,1941). 그림 속의 여성은 마법을 사용

했다는 것을 자백할 때까지 물속에 반복적으로

쳐넣어졌다.

© B

ettm

ann/

Corb

is

창살 침대

수용소에서는 그림 속의 창살 침대같이 터무니

없는 장치와 기법이 사용되었다. 이들 장치는

19세기 개혁 중에도 계속 사용되었다.

▶수용소 정신질환자를 돌보기 위한 시설의

일종으로 16세기에 처음 많아졌고, 이들 수용

소의 대다수는 나중에 실질적인 감옥이 되었음

이상심리학8판, 1~8.indd 10 2017. 7. 26. 오전 10:06

Page 12: Ed Fairburn 이상심리학8판, 1~8.indd 20 2017. 7. 26. 오전 10:06

제1장 이상심리학 : 과거와 현재 : 11

는 정신질환자들이 비명을 질러대는 이 병원은 실제로 관광명소가 되었고, 사람들은 고함

을 지르고 횡설수설하는 환자들을 보려고 기꺼이 입장료를 지불하였다. 그 지역 주민들

이 ‘Bedlam’이라고 발음하는 그 병원의 이름은 ‘무질서한 소음’이라는 의미를 갖게 되었다

(Selling, 1940).

19세기:개혁과 도덕치료

일반적으로 역사가들은 처음 개혁이 시작된 곳으로 파리 소재의 남성 환자들을 위한 라비

세트로 정신병원을 지목한다. 프랑스혁명 중 1793년에 Philippe Pinel(1745~1826)은 그 병

원의 진료 과장으로 임명되었다. 그는 환자는 쇠사슬과 매질의 대상이 아니라 동정심과 친

절함으로 돌봐야 할 병든 사람이라고 주장하면서, 환자들이 병원 구내를 자유롭게 돌아다

닐 수 있도록 허용했고, 어두운 토굴에 있던 환자들을 햇볕이 잘 들고 환기가 잘되는 병실

로 옮겼으며 심리적 지지와 조언을 제공하였다(Yakushev & Sidorov, 2013). Pinel의 접근은

대단히 성공적이어서, 수십 년간 격리되어 갇혀 있던 많은 환자가 단기간에 크게 호전되어

퇴원하였다. 추후 Pinel은 파리 소재 여성 환자 병원인 라살페트리에르에서도 유사한 개혁

을 시행하였다.

영국의 퀘이커교도 William Tuke(1732~1819)도 북부 영국에서 비슷한 개혁을 단행했

다. 1796년에 그는 요크리트리트라는 전원단지를 세우고 30명 정도의 정신질환자가 조용

한 시골집에서 투숙객으로 지내면서 휴식과 대화, 기도와 노동을 통해 치료를 받게 하였다

(Kibria & Metcalfe, 2014).

도덕치료의 확산 도덕적 지도와 인도적이고 존중하는 기법을 사용하는 Pinel과 Tuke의 도

덕치료(moral treatment)는 유럽과 미국 전역에 확산되었다. 심리적 문제가 있는 환자들은

생산적인 삶을 영위할 잠재력이 있는 사람들로 자신의 문제를 함께 이야기할 기회와 유익

한 활동, 일, 친교, 그리고 조용한 시간 등 개인적 돌봄을 받을 권리가 있는 존재라는 인식

이 확산되었다.

미국에서 도덕치료의 조기 확산에 가장 크게 기여한 사람은 Benjamin Rush(1745~

1813)이다. 그는 펜실베이니아병원의 저명한 의사로 미국 정신의학의 아버지로 간주되고

있다. Rush는 정신질환자 치료에 전념하여 인도적 접근

의 치료법을 개발하였다(Grossman, 2013; Rush, 2010). 예

를 들어 그는 병원들이 지적으로 유능하고 민감한 간호사

들을 고용해서 책을 읽어 주고 대화를 하며 정기적으로 산

책에 데리고 나가는 등 환자들을 아주 긴밀하게 돌보도록

하였다. 또한 의사들이 간혹 작은 선물을 환자들에게 주면

치료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제안을 하기도 하였다.

Rush의 업적 영향도 있었지만, 미국에서 인도적 돌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끄는 데 기여한 사람은 보스턴의 교사

Dorothea Dix(1802~1887)였다. Dix는 1841년부터 1881년

까지 주 의회와 하원을 돌면서 수용소의 끔찍한 실상을 알

리고 개혁을 요구했다. Dix의 운동에 힘입어 정신질환자

치료의 개선을 위한 새로운 법안이 마련되고 정부의 재정

▶도덕치료 19세기에 사용된 정신장애에 대

한 치료적 접근으로 도덕적 지도와 인도적이

고 환자를 존중하는 치료를 강조

Danc

e in

a M

adho

use,

191

7 (li

tho)

, Bel

low

s, G

eorg

e W

esle

y (1

882–

1925

)/Sa

n Di

ego

Mus

eum

of A

rt, U

SA/M

useu

m P

urch

ase/

The

Brid

gem

an A

rt L

ibra

ry

정신병원의 댄스파티

도덕치료에서 가장 인기가 있던 프로그램은 ‘정

신병자 무도회’였다. 병원 직원들은 환자들이

함께 모여서 춤을 추고 즐기는 자리를 마련했

다. 조지 벨로스의 ‘정신병원의 댄스파티’라는

그림은 그러한 무도회를 묘사한 것이다.

이상심리학8판, 1~8.indd 11 2017. 7. 26. 오전 10:06

Page 13: Ed Fairburn 이상심리학8판, 1~8.indd 20 2017. 7. 26. 오전 10:06

12 : 이상심리학

지원을 더 많이 끌어낼 수 있었다(Davidson et al., 2010). 미국의 각 주에는 도덕치료를 제

공할 수 있는 공립정신병원이나 주립병원(state hospital)을 세울 책임이 부여되었고 유럽 전

역에도 비슷한 병원들이 설립되었다.

도덕치료의 쇠퇴 1850년대에 이르러서는 유럽과 미국 전역에서 도덕적 접근을 사용해서

성공을 거두었다는 병원이 여러 개 생겼다. 그러나 19세기 말이 되면서 여러 요인으로 인

하여 도덕치료 움직임이 퇴조하게 되었다(Kazano, 2012). 도덕치료의 지나치게 빠른 확산

이 퇴조의 한 원인이 되었다. 정신병원의 수효가 급증하면서 자금과 인력의 부족이 심각해

졌고 회복률도 낮아졌다. 또 다른 원인으로는 인도적이고 존엄성을 지켜 주는 치료로 모든

환자가 다 치유될 수 있다는 도덕치료의 가정을 들 수 있다. 일부 환자에게는 정말 도덕치

료만으로 충분하였으나 어떤 환자들에게는 기존의 어떤 치료보다 더 강력한 효과가 있는

치료가 필요했다. 도덕치료의 쇠퇴에 기여한 또 다른 요인은 정신질환자에 대한 새로운 편

견이 생기게 되었다는 것이다. 수많은 환자들이 지리적으로 떨어진 대형 정신병원에 입원

해서 눈앞에서 멀어지면서 일반 대중들은 그들을 이상하고 위험한 존재로 보게 되었다. 그

결과, 기부를 하거나 정부 재원을 배정할 때 아무래도 인색해지게 되었다. 더구나 19세기

후반 미국의 정신병원에 들어가는 환자 대부분은 가난한 외국인, 이민자들로 일반 대중은

이들을 돕는 데 관심이 없었다.

20세기 초에 이르면서 도덕치료는 미국과 유럽에서 모두 중단되었다. 공립정신병원에

서는 오로지 보호 관리와 효과 없는 약물치료만이 제공되었고, 해가 갈수록 점점 더 환자

들로 넘쳐났다. 다시 한 번 장기 입원이 관행이 되었다.

20세기 초:체인적 관점과 심인적 관점

19세기 말에 도덕치료운동이 퇴조하면서 다음의 두 가지 대립적인 관점이 임상가들의

관심을 두고 경쟁하였다. 즉 이상심리 기능이 신체적인 원인에서 비롯된다는 체인적 관

점(somatogenic perspective)과 이상 기능의 주요 원인이 심리적 요인이라는 심인적 관점

(psychogenic perspective)이다. 이 두 관점은 20세기에 활짝 꽃피게 된다.

체인적 관점 이상행동이 뇌질환으로 일종의 체액의 불균형에서 생기는 병이라고 한 히포

크라테스의 견해가 체인적 관점의 시작이라고 본다면 이는 24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그러나 체인적 관점은 19세기 말 이후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개선장군처럼 의기양

양 하게 돌아와 널리 받아들여지기 시작했다.

이와 같이 체인적 관점이 부활하게 된 데에는 두 가지 요인이 작용하였다. 하나는 독일

의 저명한 연구자 Emil Kraepelin(1856~1926)이었다. 1883년 Kraepelin은 영향력 있는 교

과서에서 피로와 같은 신체적 요인이 정신적 기능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고 주장했다. 제

3장에서 나오지만 Kraepelin은 최초로 이상행동의 현대적 분류체계를 개발하고 그 신체적

원인과 경과를 논의하였다(Ho� , 2015; Jäger et al., 2013).

새로운 생물학적 연구 결과들 또한 체인적 관점이 떠오르는 데 기폭제 역할을 했다. 가

장 중요한 발견 중 하나는 신체질환인 매독이 진행성 마비, 즉 마비와 과대망상 등의 신체

적·정신적 증상을 보이는 퇴행성 장애를 일으킨다는 것이다. 1897년 독일의 신경학자인

Richard von Kra� t-Ebing(1840~1902)은 매독 궤양에서 뽑은 물질을, 진행성 마비 증상을

▶주립병원 미국의 주에서 운영하는 공립정신

병질환자 시설

▶체인적 관점 심리적 기능 이상이 신체적 원

인에서 비롯된다는 견해

▶심인적 관점 심리적 기능 이상이 주로 심리

적 원인에서 비롯된다는 견해

숨은 뜻 읽어내기

초기 수용소

중세 수용소 환자들의 사회 계층과 환경은

다양했지만 대다수가 여성이었다.

영국 식민지 시대 미국의 첫 수용소는 1773

년 버지니아 주 윌리엄스버그에 설립되었다.

(faqs.org, 2014; Barton, 2004)

이상심리학8판, 1~8.indd 12 2017. 7. 26. 오전 10:06

Page 14: Ed Fairburn 이상심리학8판, 1~8.indd 20 2017. 7. 26. 오전 10:06

제1장 이상심리학 : 과거와 현재 : 13

보이는 환자들에게 주사한 결과, 한 사람도 매독 증상을 보이지 않았음을 발견하였다. 이

환자들이 매독에 면역성을 보인 것은 이미 매독에 걸렸던 일이 있었기 때문으로 해석될 수

밖에 없었다. 진행성 마비 환자들은 모두 매독에 면역성이 있었으므로 Kra� t-Ebing은 매독

이 진행성 마비의 원인이었을 거라고 추정하였다. Kraepelin의 업적과 진행성 마비에 대한

새로운 이해에 힘입어 많은 연구자들과 임상가들은 신체적 요인이 여러 정신질환-어쩌

면 모든 정신질환-의 원인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일반적인 낙관적 기대와는 달리 20세기 전반에 생물학적 접근이 거둔 성과는 대체로 실

망스러웠다. 그 기간 동안 정신병원의 환자들을 위한 수많은 의학적 치료법이 개발되었으

나 대다수는 효과가 없었다. 의사들은 발치, 편도선 절제, 온수와 냉수욕을 번갈아 하는 물

요법, 뇌절제, 대뇌 특정 신경섬유의 외과적 절제 등을 시도하였다. 심지어 일부 사람들 은

생물학적 견해와 주장을 근거로 의학적 혹은 다른 방법으로 환자들의 생식 능력을 제거하

는 우생학적 단종(eugenic sterilization)과 같은 부도덕한 해결책을 제안하는 데까지 이르렀다

(표 1-1 참조). 1950년대에 이르러 효과적인 약물들이 발견되고 나서야 비로소 체인적 관

점이 환자들에게 도움이 되기 시작했다.

심인적 관점 19세기 후반에는 심인적 관점, 즉 이상 기능의 주요 원인이 심리적인 경우가

많다는 견해가 부상하였다. 심인적 관점 또한 긴 역사가 있지만, 최면(hypnotism)연구를 통

해서 그 잠재력이 증명되기 전에는 따르는 사람들이 별로 없었다.

최면은 피암시성이 극도로 높아지는 몽환 상태를 유도하는 절차로, 심리장애 치료에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오스트리아의 의사인 Friedrich Anton Mesmer(1734~1815)가 파리

에 진료소를 설립한 1778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Mesmer의 환자들은 신체적으로 이상

이 없는데도 이상하게 몸이 아픈 히스테리장애를 앓고 있었다. Mesmer는 환자들을 음악 소

리로 가득찬 어두컴컴한 방에 앉혀 놓고 화려한 의상을 입고 나타나서는 특별한 막대기

우생학과 정신장애

연도 사건

1896 미국에서 최초로 코네티컷 주가 정신장애자들의 결혼을 금지하였다.

1896~1933 미국 내 모든 주에서 정신장애자들의 결혼을 금지하는 법이 통과되었다.

1907 인디애나 주는 미국에서 최초로 정신장애자, 범죄자, 그리고 기타 심신장애자들이

불임시술을 받도록 하는 법령을 통과시켰다.

1927 미국 대법원이 우생학적 불임시술에 대하여 합헌판결을 내렸다.

1907~1945 우생학적 불임시술법을 근거로 미국 국민 약 45,000명에게 불임시술이 시행되었

는데 그중 21,000명은 정신병원 환자였다.

1929~1932 덴마크, 노르웨이, 스웨덴, 필란드, 아이슬란드에서 우생학적 불임시술법이 통과

되었다.

1933 독일에서 우생학적 불임시술법이 통과되어 1940년까지 375,000명에게 불임시

술이 시행되었다.

1940 나치 독일이 정신장애자들을 가스를 사용하여 죽이기 시작했고 2년이 채 안 되는

기간 중 70,000명 이상이 살해되었다.

출처:Fischer, 2012; Whitaker, 2002.

표 1-1

숨은 뜻 읽어내기

영화 속 유명한 심리학 대사

“울고 나면 천천히 심각한 문제들을 꼼꼼히

따져 볼 수 있게 되지요.”

(인사이드아웃, 2015)

“당신이 얼마나 미쳐 있는지 알고나 있어요?”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2007)

“내게 말하고 있는 거요?”

(택시드라이버, 1976)

“어머니가 오늘은 좀 이상하세요.”

(사이코, 1960)

“데이브, 내가 정신줄을 놓치는 것 같네. 느

낄 수 있다구.”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 1968)

“나는 무시당하고 가만히 있지는 않을 거야!”

(위험한 정사, 1987)

이상심리학8판, 1~8.indd 13 2017. 7. 26. 오전 10:06

Page 15: Ed Fairburn 이상심리학8판, 1~8.indd 20 2017. 7. 26. 오전 10:06

14 : 이상심리학

로 환자 몸의 아픈 곳을 건드렸다. 의외로 많은 환자들이 이 메스머리

즘(mesmerism) 방법으로 치료되어 통증, 감각이나 운동 기능의 마비

증상이 사라졌다(Musikantow, 2011; Dingfelder, 2010). 과학자들은

Mesmer가 환자들에게 일종의 몽환 상태를 경험하도록 하여 증상이

사라지게 만들었다고 믿었다. 그러나 이 치료법에 대한 논란이 커져

서 결국 Mesmer는 파리에서 추방당했다.

Mesmer 사후 수년이 지난 후에야 다수의 연구자들이 용기를 내서

후에 최면요법(hypnotism, 그리스어로 ‘잠’을 의미하는 hypnos로부터

유래)이라고 불리운 그의 치료법과 그것이 히스테리장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Hippolyte-Marie Bernheim(1840~1919)

과 Ambroise-Auguste Liébault(1823~1904)라는 프랑스 낭시의 두 의

사는 실제로 정상인들에게 최면을 통해 히스테리장애를 유발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즉

정상인들에게 최면 상태에서 암시를 줌으로써 귀가 안 들리게 하거나 운동마비, 실명, 무

감각 등을 경험하게 할 수 있었고, 같은 방법으로 인위적으로 유발시킨 증상들을 없앨 수

있었다. 이들은 신체 기능의 이상을 동일한 절차(즉 최면 상태에서의 암시)를 통해 유발시

키고 치료할 수 있음을 입증한 것이다. 유력한 과학자들이 히스테리장애는 그 원인이 주로

심리적이라는 결론을 내렸고 심인적 관점의 인기가 높아졌다.

최면이 히스테리장애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연구자들 가운데 비엔나의 Josef Breuer

(1842~1925)가 있었다. 의사인 Breuer는 자기 환자들이 간혹 최면 상태에서 힘들었던 과

거 경험에 대해 솔직하게 이야기를 하고 깨어났을 때 증상이 없어지기도 한다는 것을 발견

했다. 1890년대에는 비엔나의 의사 Sigmund Freud(1856~1939)가 Breuer의 연구에 동참하

였다. 제2장에서 다루겠지만, Freud의 연구는 후에 여러 형태의 정상적·비정상적 심리 기

능이 모두 심리적인 요인에 원인이 있다고 주장하는 정신분석(psychoanalysis)이론으로 발

전하였다. 그는 특히 무의식적 심리 과정이 그러한 기능의 기저에 깔려 있다고 믿었다.

또한 Freud는 임상가들이 대화를 통해 심리적 문제가 있는 환자들이 무의식의 심리 과

최면술에 관한 최신정보

심인적 관점의 출발점이 된 최면술은 심리치

료, 연예, 그리고 법 집행 등 현대 생활의 여러

영역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여기에

서는 법정 임상가가 증인의 범죄 세부 내용 회

상을 돕기 위해서 최면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

나 최면을 통해서 진짜 기억을 되살릴 수 있지

만 가짜 기억을 만들 수도 있음이 최근 연구에

서 밝혀졌다.

AP P

hoto

/Osc

ar S

osa

더 많은 변화가…

방글라데시에 있는 현대식 정신병원의 환자들

이 병동 바닥에 놓인 점심식사를 먹고 있다. 20

세기에 들어와서도 한동안 미국 전역의 주립병

원들에서 이와 비슷한 상황을 볼 수 있었다. Q. S

akam

aki/R

edux

Pic

ture

s

▶정신분석 무의식적 심리역동이 정신병리의

원인이라고 주장하는 이론 혹은 이상심리치

료법

이상심리학8판, 1~8.indd 14 2017. 7. 26. 오전 10:06

Page 16: Ed Fairburn 이상심리학8판, 1~8.indd 20 2017. 7. 26. 오전 10:06

제1장 이상심리학 : 과거와 현재 : 15

정에 대한 통찰력을 얻도록 돕는 정신분석 기법을 개발하였다. 그는 최면 절차 없이 통찰

력만으로도 심리적 문제의 극복에 도움이 된다고 믿었다. Freud와 그의 추종자들은 주로

입원시킬 필요가 없는 불안이나 우울증 환자들을 대상으로 진료실에서 오늘날 외래 심리치

료라고 하는 대략 한 시간 정도의 치료를 시행하였다. 20세기 초반에 이르자 정신분석이론

과 정신분석치료는 서구사회 전역에서 널리 받아들여졌다(Messias, 2014).

현재 동향

현 시대에 정신질환에 관한 이해가 크게 진전되었으며, 믿을 만한 치료법이 존재한다고 말

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실제로 설문조사에 의하면, 정신질환이 전적으로 환자 자신의 탓이

라고 믿는 사람들이 43%, 이상행동이 죄를 지은 결과라고 믿는 사람이 35%나 된다(Stuber

et al., 2014; NMHA, 1999). 그러나 지난 50년 동안에 이상심리 기능을 이해하고 치료하

는 방식에 중요한 변화가 있었다. 이상심리이론이나 치료법이 더 많아졌고, 새로운 연구와

정보도 많아지면서 과거 어느 때보다도 논란도 많아졌다.

심각한 정신장애인을 어떻게 돌보고 있는가

1950년대에 새로운 향정신성 약물(psychotropic medication), 즉 주로 뇌에 영향을 주어 다

양한 정신장애의 증상을 치료하는 여러 가지 약물이 발견되었다. 그중에는 주로 극도로 혼

란되고 왜곡된 사고를 치료하는 항정신병 약물, 우울한 사람들의 기분을 호전시켜 주는 항

우울제, 긴장과 걱정을 감소시켜 주는 항불안제 등이 있었다.

오랜 기간 정신병원에 입원해 있었던 많은 환자들이 이 약물들을 투여받고 호전되었

다. 병원 운영자들은 공립병원의 끔찍한 여건에 대한 시민들의 항의로 부담을 느끼던 차

▶ 요약

과거에는 이상심리를 어떻게 이해하고 치료하였는가 심리장애의 역사는 고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선사시대 사회에서는 이상행동을 악령의 소행으로 보였다. 석기시대의 문화에 원시적 형태의 뇌 수술인

천공술이 사용되었다는 증거가 발견되었다. 또한 초기 사회의 사람들은 퇴마술을 통해 악령을 몰아내

려고 시도하였다.

그리스와 로마 제국의 의사들은 정신질환에 대하여 좀 더 개화된 설명을 내어놓았다. 히포크라테스

는 이상행동이 네 가지 체액의 불균형 때문에 나타난 것이라고 믿었다.

유감스럽게도 역사를 보면 심리기능에 대하여 개화된 사고를 하는 시대 다음에는 사고가 퇴행하는

시대가 뒤따랐다. 예를 들어 중세의 유럽 사람들은 다시 이상행동의 악마론 설명으로 되돌아갔다. 영향

력이 큰 성직자들은 정신질환이 악마의 소행이라고 주장하였다. 중세가 끝나가면서 악마론에 근거한 설

명과 치료는 쇠퇴하기 시작하였고, 르네상스 시대 초기에는 정신질환자의 치료가 개선되었다. 일부 성당

은 인도적 치료를 제공하는 데 헌신하였다. 유감스럽게도 이와 같이 개화된 접근은 길게 유지되지 못하

였고, 16세기 중반부터 정신질환자들은 수용소에 가두어지게 되었다.

19세기에 이르러서 다시 정신질환자의 치료가 개선되기 시작했다. 유럽에서 도덕치료가 시작되어 미

국으로 전파되었고, Dorothea Dix의 전국적인 운동에 힘입어 주립병원들이 세워졌다. 유감스럽게도 도

덕치료 운동도 19세기 말에는 와해되었고, 공립정신병원들은 다시 최소한의 돌봄만을 제공되는 ‘인간

창고’가 되었다.

20세기가 되면서 신체적 요인을 이상심리 기능의 주요 원인이라고 보는 체인적 관점이 다시 돌아왔

다. 동일한 시기에 이상심리 기능의 주된 원인이 심리적이라는 심인적 관점도 부상하였다. 결국 Sigmund

Freud의 심인적 접근인 정신분석이 널리 받아들여졌고 후세대 임상가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향정신성 약물 일차적으로 뇌에 작용하여

다수의 정신기능장애의 증상을 감소시키는

약물

숨은 뜻 읽어내기

Freud에 대한 모든 것

Freud의 부모는 다른 자녀보다 그를 편애

했다.

Freud의 심리치료 한 회기당 치료비는 20

달러였다.

근 40년간 Freud는 하루에 10시간씩 주

5~6일 환자를 치료했다.

Freud의 여자 형제 넷은 나치 수용소에서

사망했다.

Freud는 노벨상 후보로 열두 번이나 추천

되었지만 수상은 하지 못했다

(Nobel Media, 2014; Cherry, 2010; Hess, 2009;

Gay, 2006, 1999; Jacobs, 2003)

숨은 뜻 읽어내기

달에 관한 전설

수십 년간의 연구 결과 보름날에 범죄, 이상

하고 비정상적 행동, 그리고 정신병원 입원

의 빈도가 높아진다는 통속적 믿음은 근거가

희박한 것으로 밝혀졌다.

(Bakalar, 2013, 2011; Schafer et al., 2010;

McLay etal., 2006)

이상심리학8판, 1~8.indd 15 2017. 7. 26. 오전 1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