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사규칙은 무의식적인 정신문법(unconscious mental...

28
1 우리의 언어능력에 있는 통사규칙은 어떤 모습일까? 3 통사규칙은 무의식적인 정신문법(unconscious mental grammar)이다. (* 학교에서 배우는 규범문법규칙과는 다르다.) [Fromkin et al. 2013: 83] 통사규칙은 주어진 문장을 문법적으로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어야 한다. 통사규칙이 만들어 내는 문장은 모두가 적격(well-formed) 한 문장이며, 아울러 적격한 문장만을 생성한다.(‘all and only’ criterion) 예: ① 키가 큰 아이(O) ① the tall boy/girl(O) ② 아이 키가 큰(X) ② boy/girl the tall(X) ③ 큰 키가 아이(X) ③ tall the boy/girl(X) 우리의 머릿속(통사규칙)에는 ①과 같은 문법적인 연속체가 옳은 것으로 존재하는 반면, ②&③과 같은 비문법적인 연속체 는 배제하는 문장의 구조의 실체가 존재할 것이다.

Upload: others

Post on 02-Jun-2020

4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통사규칙은 무의식적인 정신문법(unconscious mental grammar)이다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hufs/heoyong/16.pdf · 2016-09-09 · Matthews, P. H.(2014), Oxford

1 우리의 언어능력에 있는 통사규칙은 어떤 모습일까? 3

통사규칙은 무의식적인 정신문법(unconscious mental grammar)이다.

(* 학교에서 배우는 규범문법규칙과는 다르다.) [Fromkin et al. 2013: 83]

• 통사규칙은 주어진 문장을 문법적으로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어야 한다.

• 통사규칙이 만들어 내는 문장은 모두가 적격(well-formed)한 문장이며, 아울러 적격한 문장만을 생성한다.(‘all and only’ criterion)

예: ① 키가 큰 아이(O) ① the tall boy/girl(O) ② 아이 키가 큰(X) ② boy/girl the tall(X) ③ 큰 키가 아이(X) ③ tall the boy/girl(X)

우리의 머릿속(통사규칙)에는 ①과 같은 문법적인 연속체가 옳은 것으로 존재하는 반면, ②&③과 같은 비문법적인 연속체는 배제하는 문장의 구조의 실체가 존재할 것이다.

Page 2: 통사규칙은 무의식적인 정신문법(unconscious mental grammar)이다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hufs/heoyong/16.pdf · 2016-09-09 · Matthews, P. H.(2014), Oxford

1 우리의 언어능력에 있는 통사규칙은 어떤 모습일까? 3

정문을 만들고 비문을 만들지 않기 위해서 얼마나 많은 통사규칙이 필요할까? 아래의 경우 모든 경우에 대한 개별적인 통사규칙이 필요할까?

예: ① 꽃이 예쁘게 피었다. 예쁜 꽃이 피었다. 작게 작은 초라하게 초라한 ....... .......

예: ① 작은 아이+이/가 과자+을/를 먹는다. ⇩ ⇩ ⇩ ⇩

큰 무서운

어른 호랑이

과자 토끼

산다 잡는다

NO! 우리의 머릿속에는 그렇게 저장되어 있지 않을 것이다. 문장 내에 동일한 위치에 올 수 있는 부류끼리 같이 묶여 있지 않을까? 통사범주(syntactic category)

Page 3: 통사규칙은 무의식적인 정신문법(unconscious mental grammar)이다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hufs/heoyong/16.pdf · 2016-09-09 · Matthews, P. H.(2014), Oxford

1 우리의 언어능력에 있는 통사규칙은 어떤 모습일까? 3

통사범주: 문법성을 잃지 않고 서로 대신해서 사용할 수 있

는 표현(a family of expressions that can substitute for

one another without loss of grammaticality)[Fromkin

외 2013: 87]. The syntactic category of a word gives

information about where it can appear in a

sentence.[Fasold & Conner-Linton 2014: 108] ≒ 품사

(parts of speech, word class)

통사범주(syntactic category)

Page 4: 통사규칙은 무의식적인 정신문법(unconscious mental grammar)이다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hufs/heoyong/16.pdf · 2016-09-09 · Matthews, P. H.(2014), Oxford

1 우리의 언어능력에 있는 통사규칙은 어떤 모습일까? 3

어휘부에 이와 같은 정보가 없다면 우리는 정문과 비문을 구별하기 어렵다.

통사범주에 따라 단어를 분류(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 등)하는 일이 필요하게 되었다.

통사범주(syntactic category)

어휘부(lexicon) 예: “물(水)” ① 발음: [mul] ② 뜻: 자연계에 강, 호수, 바다, 지하수 따위의 형태로 널리 분포하는 액체..... ③ 통사범주: 명사

(*어휘부(lexicon): 사람들의 머릿속에 들어있는 사전(mental dictionary))

Page 5: 통사규칙은 무의식적인 정신문법(unconscious mental grammar)이다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hufs/heoyong/16.pdf · 2016-09-09 · Matthews, P. H.(2014), Oxford

1 우리의 언어능력에 있는 통사규칙은 어떤 모습일까? 3

• 언어마다 품사가 다를 수 있는 것은 어휘들이 갖는 문법적 성질과 해당 언어의 문법적 특성이 다르기 때문.

예:

통사범주(syntactic category)

유형 통사범주 기호 예

lexical

명사 Noun N 학교, 소망, 구름, park, love, Korea

동사 Verb V 먹다, 가다, 놀다, have, work, think, be

형용사 Adjective A 착하다, 좋다, 붉다, red, blue, clean

부사 Adverb Adv 매우, 많이, 빨리, happily, really, often

functional

조사 Particle P 이/가, 을/를, 만, 도

전치사 Preposition

P in, at, on, between, to, over, by

한정사 Determiner

D 이, 저, 그, this, the, a/an

Page 6: 통사규칙은 무의식적인 정신문법(unconscious mental grammar)이다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hufs/heoyong/16.pdf · 2016-09-09 · Matthews, P. H.(2014), Oxford

1 우리의 언어능력에 있는 통사규칙은 어떤 모습일까? 3

(1) 예문: “A small child catches the red ball.”

① ② ③ ④ ⑤ ⑥ ⑦

모든 문장이 위와 같이 구성될까?

위 규칙은 수정되어야 한다. 어떻게?

(eg. Children catches balls)

Page 7: 통사규칙은 무의식적인 정신문법(unconscious mental grammar)이다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hufs/heoyong/16.pdf · 2016-09-09 · Matthews, P. H.(2014), Oxford

1 우리의 언어능력에 있는 통사규칙은 어떤 모습일까? 3

(2) 보다 자연스러운 것끼리 묶는다면

“{A small child} catches {the red ball}.”

NP NP

Page 8: 통사규칙은 무의식적인 정신문법(unconscious mental grammar)이다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hufs/heoyong/16.pdf · 2016-09-09 · Matthews, P. H.(2014), Oxford

1 우리의 언어능력에 있는 통사규칙은 어떤 모습일까? 3

모든 문장은 {NP V NP}로 구성될까?

위 규칙은 수정되어야 한다. 어떻게?

(eg. The small child ran.)

VP → V (NP)

(참고: 언어에 따라 V (NP)의 순서는 달라질 수 있다.)

Page 9: 통사규칙은 무의식적인 정신문법(unconscious mental grammar)이다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hufs/heoyong/16.pdf · 2016-09-09 · Matthews, P. H.(2014), Oxford

1 우리의 언어능력에 있는 통사규칙은 어떤 모습일까? 3

(3) 문장규칙 3

① The small child catches a ball.

[적용]

S → NP VP : The small child ‖catches the red ball.

VP → V NP : The small child ‖ catches‖the red ball.

NP → D A N : The‖small ‖child ‖catches‖the‖red‖ball.

② The small child ran.

S → NP VP : The small child ‖ ran.

VP → V (NP) : The small child ‖ ran.

NP → D A N : The ‖ small ‖ child ‖ ran.

Page 10: 통사규칙은 무의식적인 정신문법(unconscious mental grammar)이다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hufs/heoyong/16.pdf · 2016-09-09 · Matthews, P. H.(2014), Oxford

1 우리의 언어능력에 있는 통사규칙은 어떤 모습일까? 3

위와 같은 규칙들은 주어나 목적어가 수식어를 수반하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 그리고 자동사와 타동사에 따라 달라지는 목적어 존재 여부를 정확하게 그리고 매우 간결하게 표현할 수 있다.

우리의 정신문법 속에는 모든 문장이 하나하나 존재하기보다는 어휘부와 위와 같이 문장(또는 구)을 만드는 규칙의 형태로 들어 있지 않을까?

위의 규칙 외에도 다른 여러 규칙이 존재할 수 있다. 예) “The boy played in the park.” 추가 규칙: VP → V PP PP → P NP

Page 11: 통사규칙은 무의식적인 정신문법(unconscious mental grammar)이다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hufs/heoyong/16.pdf · 2016-09-09 · Matthews, P. H.(2014), Oxford

1 우리의 언어능력에 있는 통사규칙은 어떤 모습일까? 3

1. 구절구조규칙은 인간의 다음과 같은 통사적 지식을 보여준다. ① 문장에서의 단어들의 수평적 순서 ② 단어 또는 구의 통사범주 ③ 통사범주의 계층구조(예: 문장은 명사구와 동사구로 구성되고,

동사구는 동사와 명사구로 구성된다.)

구절구조규칙 (phrase structure rule; ps rule)

Page 12: 통사규칙은 무의식적인 정신문법(unconscious mental grammar)이다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hufs/heoyong/16.pdf · 2016-09-09 · Matthews, P. H.(2014), Oxford

1 우리의 언어능력에 있는 통사규칙은 어떤 모습일까? 3

2. 유한의 규칙으로 무한의 정문을 만들 수 있다.(Grammars are

finite, language is not)[Fasfold & Conner-Linton 2014: 126] ① 언어를 만드는 문법의 수는 유한하다. ② 그러나 인간은 얼마든지 새로운 문장을 만들 수 있다. ③ 그것은 위의 규칙들을 반복적으로 무한히 적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 순환 규칙(recursive rules, 순환장치 recursive devices) 예: 나는 공원에서 친구를 만났다. → 나는 넓은 공원에서 키가 큰 친

구를 만났다. → 나는 잔디가 푸르고 넓은 공원에서 키가 크고 눈이 맑은 친구를 만났다.

구절구조규칙 (phrase structure rule; ps rule)

Page 13: 통사규칙은 무의식적인 정신문법(unconscious mental grammar)이다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hufs/heoyong/16.pdf · 2016-09-09 · Matthews, P. H.(2014), Oxford

1 우리의 언어능력에 있는 통사규칙은 어떤 모습일까? 3

3. 구절구조규칙은 비문의 생성을 막고 정문만을 생성한다. ① The young boys planted some trees.(O) ② Boys young the planted trees some.(X) ⇒ NP는 (D) (A) N의 순서로 구성되어야 한다는 규칙의 위배 ③ Planted the young boys some trees.(X) ⇒ S는 NP로 시작하고, NP는 (D) (A) N의 순서로 구성되어야

한다는 규칙의 위배. 동사는 NP에 포함되지 않음.

구절구조규칙 (phrase structure rule; ps rule)

Page 14: 통사규칙은 무의식적인 정신문법(unconscious mental grammar)이다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hufs/heoyong/16.pdf · 2016-09-09 · Matthews, P. H.(2014), Oxford

1 우리의 언어능력에 있는 통사규칙은 어떤 모습일까? 3

4. 구절구조규칙은 단어군의 자연스러운 결합관계를 알려준다. ① {The small} {child catches the} {red balls}. (X) ② {The} {small child catches} {the red} {balls}. (X) ③ {The small child} {catches {the red balls}}. (O) ⇒ 문장 안에서의 단어의 자연스러운 결합을 ‘구성성분

(constituent)’라 한다. 5. 구절구조규칙은 구조적 중의성(structural ambiguity)을 해결해 준다. “The woman hit the man with an umbrella.” ① 그 여자는 우산을 가지고 있는 사람을 때렸다. ② 그 여자는 우산으로 그 사람을 때렸다. (아래 참조)

구절구조규칙 (phrase structure rule; ps rule)

Page 15: 통사규칙은 무의식적인 정신문법(unconscious mental grammar)이다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hufs/heoyong/16.pdf · 2016-09-09 · Matthews, P. H.(2014), Oxford

생각해 봅시다 5

어떤 단어의 결합이 구성성분이 되는지를 어떻게 알 수 있을까? 다음 문장에서 ‘a puppy’가 구성성분이 됨을 증명해 보자.(Fromkin 외 2013: 84ff.)

① 자립 여부: What did you find? ② 대명사로의 대치: Where did you find a puppy? I find in the park. “John found a puppy and Bill too.” ③ 이동의 단위: It was that the child found. was found by the child.

“The child found a puppy.”

Page 16: 통사규칙은 무의식적인 정신문법(unconscious mental grammar)이다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hufs/heoyong/16.pdf · 2016-09-09 · Matthews, P. H.(2014), Oxford

생각해 봅시다 5

위의 방법을 이용하여 아래 문장에서 ‘in the park’가 구성성분이 됨을 증명해 보자.

“The child found a puppy in the park.”

Page 17: 통사규칙은 무의식적인 정신문법(unconscious mental grammar)이다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hufs/heoyong/16.pdf · 2016-09-09 · Matthews, P. H.(2014), Oxford

1 우리의 언어능력에 있는 통사규칙은 어떤 모습일까? 3

문장은 내적구조를 갖는 계층구조이다.

문장은 내적구조가 없는, 구성성분들의 연결인 평면구조(flat structure)인가, 아니면 내적구조를 가진 계층구조(hierarchical structure)인가?

“The child found a puppy.” ① [The child found a puppy]: 평면구조 ② [[the] [child]] [[found] [[a] [puppy]]]: 계층구조

문장 안의 구성성분들이 모두 똑같은 정도의 긴밀성을 갖는 것이 아니라, 특정의 두 구성성분은 다른 구성성분들보다 더 긴밀하게 결합된다.

Page 18: 통사규칙은 무의식적인 정신문법(unconscious mental grammar)이다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hufs/heoyong/16.pdf · 2016-09-09 · Matthews, P. H.(2014), Oxford

1 우리의 언어능력에 있는 통사규칙은 어떤 모습일까? 3

문장은 내적구조가 없는, 구성성분들의 연결인 평면구조(flat structure)인가, 아니면 내적구조를 가진 계층구조(hierarchical structure)인가?

문장을 더 이상 쪼갤 수 없는 상태의 구성성분까지 분석하는 것을 직접(구성)성분분석(Immediate Constituent Analysis) 라 한 다 .(※ 직 접 구 성 성 분 (Immediate Constituent): 특정의 구조를 직접적으로 구성하는 성분)

[[[the] [child]] [[[found] [[a] [puppy]]]]

Page 19: 통사규칙은 무의식적인 정신문법(unconscious mental grammar)이다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hufs/heoyong/16.pdf · 2016-09-09 · Matthews, P. H.(2014), Oxford

1 우리의 언어능력에 있는 통사규칙은 어떤 모습일까? 3

S

NP

Det

VP

N V PP

The

child

playe

d

P N

P Det N

the park

in

Page 20: 통사규칙은 무의식적인 정신문법(unconscious mental grammar)이다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hufs/heoyong/16.pdf · 2016-09-09 · Matthews, P. H.(2014), Oxford

1 우리의 언어능력에 있는 통사규칙은 어떤 모습일까? 3

“The woman hit the man with an umbrella.”

① ‘그 여자는 우산을 가지고 있는 사람을 때렸다.’는 의미의 구조

[hit [the man with an umbrella]]

Page 21: 통사규칙은 무의식적인 정신문법(unconscious mental grammar)이다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hufs/heoyong/16.pdf · 2016-09-09 · Matthews, P. H.(2014), Oxford

1 우리의 언어능력에 있는 통사규칙은 어떤 모습일까? 3

S

NP

Det

VP

N V NP

The woman hit NP PP

Det N

man with the

① ‘그 여자는 우산을 가지고 있는 사람을 때렸다.’

P NP

Det N

umbrella an

Page 22: 통사규칙은 무의식적인 정신문법(unconscious mental grammar)이다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hufs/heoyong/16.pdf · 2016-09-09 · Matthews, P. H.(2014), Oxford

1 우리의 언어능력에 있는 통사규칙은 어떤 모습일까? 3

“The woman hit the man with an umbrella.”

② ‘그 여자는 우산으로 그 사람을 때렸다.’는 의미의 구조

[hit the man] [with an umbrella]]

Page 23: 통사규칙은 무의식적인 정신문법(unconscious mental grammar)이다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hufs/heoyong/16.pdf · 2016-09-09 · Matthews, P. H.(2014), Oxford

1 우리의 언어능력에 있는 통사규칙은 어떤 모습일까? 3

S

NP

Det

VP

N VP PP

The woman

hit Det N

man the

② ‘그 여자는 우산으로 그 사람을 때렸다.’

NP

umbrella an

V NP

with

P

Det N

Page 24: 통사규칙은 무의식적인 정신문법(unconscious mental grammar)이다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hufs/heoyong/16.pdf · 2016-09-09 · Matthews, P. H.(2014), Oxford

1 주요 개념 및 용어 4

문법, 정문, 비문, 통사규칙, Poverty

of the stimulus, LAD(언어습득장치),

통사범주, 어휘부, 구절구조규칙, 구성성

분, 계층구조, 직접성분분석, 순환규칙(언

어의 무한성), 구조적 중의성

Page 25: 통사규칙은 무의식적인 정신문법(unconscious mental grammar)이다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hufs/heoyong/16.pdf · 2016-09-09 · Matthews, P. H.(2014), Oxford

9주차. 통사론 1: 문장만들기

Page 26: 통사규칙은 무의식적인 정신문법(unconscious mental grammar)이다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hufs/heoyong/16.pdf · 2016-09-09 · Matthews, P. H.(2014), Oxford

형성평가 1 4

1) “통사규칙은 무의식적인 정신문법이다.”라는 말을 설명해 보자.

2) 다음 문장의 의미에 대해 말하라.

Our syntactic knowledge crucially includes rules that tell us how words form groups in a sentence, or how they are hierarchically arranged with respect to one another(Fromkin 외 2011: 80).

Page 27: 통사규칙은 무의식적인 정신문법(unconscious mental grammar)이다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hufs/heoyong/16.pdf · 2016-09-09 · Matthews, P. H.(2014), Oxford

형성평가 1 4

3) 다음 문장의 수형도를 그려보자.

① The child found a puppy in the park of the city.

② 봄이 오면 꽃이 피고 겨울이 오면 눈이 온다.

③ The boy saw the man with the telescope.

Page 28: 통사규칙은 무의식적인 정신문법(unconscious mental grammar)이다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hufs/heoyong/16.pdf · 2016-09-09 · Matthews, P. H.(2014), Oxford

1 참고문헌

김현권 외(2010), 「언어의 이해」,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이기동 외 역(1999), 「언어와 언어학: 인지적 탐색」, 한국문화사. 이철수·김준기(2000), 「언어와 언어학의 이해」, 한국문화사. 허용·김선정(2013), 「대조언어학」, 소통.

Crystal, D.(2008), A Dictionary of Linguistics and Phonetics, Blackwell publishing. Fasold, R. & J. Conner-Linton(2014)(eds.), An Introduction to Language and

Linguistics, 2nd edition, CUP. Fromkin, V., R. Rodman & N. Hyams (2013), An Introduction to Language(9th

edition)(「현대영어학개론」, 성낙일·박의재 역), Cengage Learning. Matthews, P. H.(2014), Oxford Concise Dictionary of Linguistics, OUP. Rowe, B. M. & D. Levine(2009), A Concise Introduction to Linguistics(2nd

edition)(「초보자를 위한 언어학개론」, 장영준·유재기·박명관 역), Pearson Education, Inc.

Yule, G.(2006), The Study of Language(「율이 들려주는 언어학 강의」, 노진서·고현아 역), C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