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cial commerce 2014-11

43

Upload: dong-han-kim

Post on 03-Jul-2015

335 views

Category:

Business


6 download

DESCRIPTION

소셜커머스 이해

TRANSCRIPT

Page 1: Social Commerce 2014-11
Page 2: Social Commerce 2014-11

Agenda

1

2

4

5

3

Page 3: Social Commerce 2014-11

들어가며…

Q. 여러분은 소셜 커머스를 통해 물건/서비스를 구매해 본 경험이 있으십니까?

Q. 구매 경험이 있다면 무엇을 구매하셨고 구매한 이유는?

Page 4: Social Commerce 2014-11

• 그루폰-소셜 커머스의 큰 성공 사례

들어가며…

Page 5: Social Commerce 2014-11

• 그루폰-소셜 커머스의 큰 성공 사례

들어가며…

Page 6: Social Commerce 2014-11

Q. 여러분이 생각하는 그루폰 사업 모델의 한계점은?

들어가며…

Page 7: Social Commerce 2014-11

• 정의– 위키피디아

• Social commerce is a subset of electronic commerce that involves using social media, online media that supports social interaction and

user contributions, to assist in the online buying and selling of products and services

• The term social commerce was introduced by Yahoo! in November

2005

– 국내에서는 소셜 쇼핑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 ‘SNS를 활용한 온라인 공동구매’로 정의

→ 관계 기반 온라인 교역/전자상거래, 즉 소비자의 경험을 소셜 네트워크와실시간으로 공유하는 포괄적이고 광범위한 개념(전자상거래+소셜 미디어의결합)

Social Commerce란?

Page 8: Social Commerce 2014-11

• 소셜커머스와 커머스 2.0의 패러다임 비교– 기존의 ‘인터넷 공동구매’와 다른점은 소셜미디어와 결합함으로써 실시

간성과 확산성을 띠며, 상거래가 이루어지는 공간이 e-커머스 사이트에국한되지 않고 소셜미디어를 연결고리로 하여 소셜웹으로 확장된 점

Social Commerce란?

출처: 김철환(2010). 정보통신정책연구원(2011), “소셜커머스시장현황및정책이슈”

Page 9: Social Commerce 2014-11

• 소셜 커머스가 주목 받는 이유– 커머스 플랫폼의 확장

• Online to Offline, Offline to Online, World Market

– 마켓슈머 & 프로슈머– 트래픽 증대– 신뢰 구축 비용 감소

• 직거래 마케팅 비용

– 고객 충성도, 높은 구매 전환율, 매출 증대• Syncapse 조사: 페이스북 팬인 경우와 아닌 경우 년간 지출액 2배, 충성도(브랜드 추

천, 브랜드 지속 사용, 동질감 등) 2배

– 진정한 바이럴 마케팅의 활성화 및 신규 유입통로의 확대– 중/소형 업체의 새로운 마케팅의 활성화– 소자본 창업이 가능(소셜 쇼핑의 경우)

Social Commerce란?

Page 10: Social Commerce 2014-11

• 소셜 커머스 개념

Social Commerce란?

Page 11: Social Commerce 2014-11

• 소셜 커머스의 원리와 수익구조– 원리

– 수익 구조(기존)• 소셜커머스 업체: 판매 금액의 10~20%정도의 수수료를 수익모델로 삼음

• 상품/서비스 판매 업체: 수익이 낮아도 많은 양을 판매, 구매한 사람들의 사정에 의해서 사용할 수 있는 기간이 만료되었을 때 발생하는 소위 낙전을 수익으로 함

• 현재는?

Social Commerce 현황

Page 12: Social Commerce 2014-11

• 소셜 커머스 특징– 상호작용: 소셜커머스 비즈니스는 ‘소셜커머스, 서비스업체, 소비자’간의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짐– 소비자 중심– 참여 및 커뮤니케이션

Social Commerce란?

출처: 공정거래위원회

Page 13: Social Commerce 2014-11

• 소셜 쇼핑의 특징– 최소 구매 물량 판매를 위해 소비자들이 자발적으로 소셜네트워크서비스

(SNS)를 이용해 정보를 확산시킴– 구매자는 할인 혜택, 판매자는 대량 판매와 홍보 효과를 동시에 누릴 수

있음

Social Commerce 현황

Page 14: Social Commerce 2014-11

• 소셜 커머스 History(미국/한국)– 소셜 커머스라는 용어는 ‘야후’에 의해 2005년에 처음 소개– 2008년 설립된 ‘그루폰(Groupon)’이 설립된 이후 전 세계적인 공동

구매형 소셜 커머스 붐이 일어남– 2010년 2월 국내 첫 소셜 커머스 업체 ‘위폰(wipon)’이 서비스 개시

Social Commerce 현황

Page 15: Social Commerce 2014-11

• 국내 Social Commerce 진화 단계– 소셜 커머스 1.0(국내 소셜 커머스 태동기, 2010.2~2010.10)

• 현상– 2010년 2월 ‘위폰’을 시작으로 ‘딜즈온’, ‘티켓몬스터’ 등 소셜 커머스 1세대들이

주축이 되어 국내 소셜 커머스 시장의 기반 다짐– 타겟: 구매력 높은 2,30대 여성 직장인– 컨셉:‘하루에 하나, 50% 할인된 가격’

• 결과– 몇몇 업체를 제외하곤 업체별 평균 구매자수가 200명을 넘기 어려운 실정– 웹사이트 홍보보다 소셜 커머스 홍보가 더 시급했던 상황

• 전환점– 언론의 조명: KBS2 TV 시사정보 프로그램이 소셜 커머스 시장 조명(티켓몬스터, 스마트맘스

등 소셜 커머스 업체들 공중파에 소개)– 스마트 폰/SNS의 확산– 인식의 변화: 소셜 커머스에 관련된 수많은 기사와 웹페이지들이 생성되며 사회가 소셜 커

머스를 주목하기 시작

Social Commerce 현황

Page 16: Social Commerce 2014-11

• 국내 Social Commerce 진화 단계– 소셜 커머스 2.0(메타사이트의 등장, 2010.10~현재)

• 현상– 기업 입장: 사회적으로 소셜 커머스 붐이 일어남에 따라 시장의 파이는 커졌지만 업체간

경쟁도 치열, 수많은 소셜 커머스 업체들이 순식간에 시장에 쏟아지며 이제 자체 웹사이트홍보라는 벽에 부딪히게 됨

– 소비자: 소비자가 판매 정보확인의 어려움

• 결과– 소셜 커머스 시장의 팽창과 소비자의 이성적 소비관념은 메타사이트에게 힘을 실어줌– 소셜 커머스 업체들은 메타사이트를 홍보를 위한 주요 파트너로 인식– 소셜 커머스 시장은 메타사이트를 중심으로 재편– 대표 메타사이트: 다원데이, 올쿠폰, 메타폰, 하루하나, 쿠폰 모아 등

• 한계점– 선점 사이트에 집중되었던 방문자들이 메타사이트를 통해 여러 소셜 커머스 업체로 분산되

며 연일 매진을 보여주었던 선점업체들이 주춤

Social Commerce 현황

Page 17: Social Commerce 2014-11

• 국내 Social Commerce 진화 단계– 소셜 커머스 3.0(대자본의 공습, 2010.11~현재)

• 현상

– 소셜커머스 본연의 의미가 무색

– ‘위메이크프라이스’: 오픈 일주일 전 소셜 미디어를 활용한 홍보와 함께 서울시내 버스

1,000대에 옥외광고를 하고 각종 인터넷 대형 포탈에 배너 광고를 하는 등 수십억을 사용

– 웅진씽크빅 패밀리CEO: 사내 벤처형태로 소셜 커머스 업체를 만들어 스마트맘스의 뒤를 이

어 육아시장에 진출

– 다음 커뮤니케이션: 공동구매를 통해 발행된 쿠폮을 매장에서 사용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 인터파크: ‘하프타임’이라는 이름으로 소셜 커머스 시장에 진출

– SK컴즈, 그루폰의 한국 진출

• 과제

– 기존 수수료 위주의 비즈니스 모델의 한계 극복 필요

– 국내 시장 서비스 벤더의 수는 한계

Social Commerce 현황

Page 18: Social Commerce 2014-11

• 커머스와 SNS의 결합 유형

Social Commerce 현황

결합 유형 유형 설명 사례

SNS 커넥트형(소셜 링크형)

커머스 사이트에 SN으로 이동할 수 있는 버튼형식의 링크를 삽입하는 방식

Share this 기능 이용, eBay 소셜링크 등

소셜 웹형(SNS 피드형)

커머스를 SN과 적극적으로 결합, 커머스 사이트내부에 SN 기능 구현(커머스 사이트 내 구매/평가/리뷰 등의 활동이 소비자 SN에 자동으로반영/공유)

Levis Friends Store(FB 플러그인 적용 자동 배포)

공동 구매형*(소셜 쇼핑)

제품별로 최소 구매량이 달성되면 할 인혜택 제공, SN 통해 친구들을 공동 구매에참여

그루폰(Groupon), 위폰 등

오프라인결합형

위치기반 SN(포스퀘어, 고왈라 등) 활용하여 소비자의 오프라인에서의 경험을모바일로 확산

디젤의 프로모션

SNS 내 직접입점

탭 또는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SNS내쇼핑몰 추가

F-Commerce(P&G,베스트바이, 스타벅스 등)

Page 19: Social Commerce 2014-11

• 소셜커머스 유형– 판매 방식의 ‘특성’에 따라 소비자의 ‘활용방법’에 따라 구분– 국내 대표적인 소셜커머스 형태

• ‘그룹바이(Group-Buy)형’과 ‘공동구매형’

Social Commerce 현황

출처: 정보통신정책연구원(2011.6.), 블로터닷넷원(2010. 5.)

Page 20: Social Commerce 2014-11

• 전 세계 소셜 커머스 시장 규모 추이

Social Commerce 현황

Page 21: Social Commerce 2014-11

• 국내 소셜 커머스 시장 현황– 2010년 2월 시장 형성(위폰) 이후, 2011년 1월 현재 약 300개 업체가

등록 → 약 하루에 1개의 소셜 커머스 업체가 생겨난 꼴

Social Commerce 현황

Page 22: Social Commerce 2014-11

• 국내 소셜 커머스 시장 현황– 현재, 소셜커머스 시장의 가파른 성장 중

• ‘티켓몬스터’가 부동의 UV 및 PV 1위 업체로 선전 중• ‘위메이크프라이스’(2위), ‘쿠팡’(3위)의 공격적인 마케팅에도 불구, PV격차는

좀처럼 좁혀지지 않는 편• 대부분 업체의 트래픽은 성장추세로, 2011년에도 업계의 성장이 기대 됨

Social Commerce 현황

Page 23: Social Commerce 2014-11

• 국내 소셜 커머스 시장 규모(1)– 2010년 시장 누적매출 500억 원, 2011년 3000억 원 기대

• 2011년 3000억 원~5000억 원 기대(현재 시장의 6~10배 성장 기대)• 향후 5년 內 5,000억~1조원대까지 급성장할 것으로 추정

Social Commerce 현황

Page 24: Social Commerce 2014-11

• 국내 소셜 커머스 시장 규모(2)

Social Commerce 현황

Page 25: Social Commerce 2014-11

• 소셜커머스 주요 3사 시장 규모 및 성장률

Social Commerce 현황

출처: 전자신문(2014.01.15.)

Page 26: Social Commerce 2014-11

• 소셜커머스 이용행태(1)– 소셜커머스와 전자상거래 이용빈도(n=200)

Social Commerce 현황

출처: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2014.3.

Page 27: Social Commerce 2014-11

• 소셜커머스 이용행태(2)– 소셜커머스 월평균 지출액(左)과 1회평균 구매비용(右) (n=200)

Social Commerce 현황

출처: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2014.3.

Page 28: Social Commerce 2014-11

• 소셜커머스 이용행태(3)– 소셜커머스 서비스 속성 별 만족도(n=200)

Social Commerce 현황

출처: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2014.3.

Page 29: Social Commerce 2014-11

• 소셜커머스 이용행태(4)– 소셜커머스 서비스 이용단말 및 상품 정보 입수 경로(n=200)

Social Commerce 현황

출처: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2014.3.

Page 30: Social Commerce 2014-11

• 기업입장에서의 기회와 위협

Social Commerce의 이슈

Page 31: Social Commerce 2014-11

• 기존 소셜 커머스 시장의 한계(1)– 시장의 급성장 및 소비자 행태의 변질에 따른 부작용

Social Commerce의 이슈

Page 32: Social Commerce 2014-11

• 기존 소셜 커머스 시장의 한계(2)– 본질 자체가 무색해지는 소셜 커머스 시장

Social Commerce의 이슈

Page 33: Social Commerce 2014-11

• 기존 소셜 커머스 시장의 한계(3)– 소셜커머스 불만족 및 피해사례(1)

Social Commerce의 이슈

출처: DMC미디어, 소셜커머스인지도및이용실태조사(2011)

Page 34: Social Commerce 2014-11

• 기존 소셜 커머스 시장의 한계(4)– 소셜커머스 불만족 및 피해사례(2)

Social Commerce의 이슈

출처: 한국인터넷진흥원, 인터넷이용실태조사요약보고서(2012)

Page 35: Social Commerce 2014-11

• 소셜 커머스의 최신 Trend– 소셜 쇼핑

• 지역 및 카테고리로 세분화, 입소문에 대한 보상 프로그램 운영

– Deal Aggregator• 플레시 세일 정보만 수집하여 보여 주는 사이트 등장• 지역 세분화-개인 맞춤 서비스 제공• 사례: 다! 원데이, dealradar.com, yipit 등

– 커뮤니티/오픈 마켓• 커뮤니티: 이용자들이 관심 거래 정보를 등록하여 의견 교환• 오픈 마켓: 판매자들에게 거래 플랫폼을 개방

– Private Shopping Club• 멤버십으로 운영, 명품 등 고가/사치품 위주 판매

소셜 커머스의 미래 트랜드

Page 36: Social Commerce 2014-11

• 소셜 커머스의 최신 Trend– F-Commerce

• 페이스북에 상품을 판매하는 페이지 구축(영화권 예매, 공동 구매 이벤트, 팬 할인 이

벤트, P2P 마케팅 프로그램 운영 등)

– 위치기반 SNS 프로모션• 포스퀘어 등 기존 위치기반 SNS를 활용, 프로모션용 스마트폰 앱을 제작 또는 제휴

• 체크인 예택: 체크인 빈도, Mayor 될 때, 뱃지 획득에 따라 마일리지 등 제공

– 페이스북 오픈 그래프• 사이트에서의 고객 추천과 리뷰를 페이스북으로 전파, 브랜드 피드 등 개인 맞춤 서비스

가능

– Tweeter Deal Feed• Flash Sale 등 특별한 거래 정보만을 제공하는 트위터 계정 운영

소셜 커머스의 미래 트랜드

Page 37: Social Commerce 2014-11

• Social Commerce의 진화(1)

소셜 커머스의 미래 트랜드

구분 Commerce2.0Social

CommerceFuture

Commerce

핵심 개념콘텐츠, 플랫폼의 공유와

개방콘텐츠, 플랫폼과 SNS의

결합플랫폼의 해체와시장으로서의 지구

변화 동인 Mashup, OpenAPI +SNS+모바일, 실시간, 증강현실, 소셜ID, 위치기반(지오태깅)

합리성의 기준 CI(집단 지성)SI(Social

Intelligence)PI(Personalized Intelligence)

커머스 플랫폼 Inner Web Social Web Earth

화폐 금전 +트윗, 라이크 +영향력

Page 38: Social Commerce 2014-11

• 소셜 커머스 업체의 진화(2)– 소셜 커머스 업체들의 수평적/수직적 확장 기대

소셜 커머스의 미래 트랜드

Page 39: Social Commerce 2014-11

• Social Commerce의 B2B 서비스– 페이스 북, 트위터 내에 소셜 쇼핑몰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 사이트, 블로그 등에서 플래시 세일 이벤트를 진행 할 수 있는 위젯 제작– 소셜 쇼핑몰 구축: 플래시세일 이벤트 생성, SNS 연동, 결제 지원 등– 사이트 내 소셜커머스 환경 구축: SNS 연동, 실시간 친구 초대/대화 기능

등 제공

소셜 커머스의 미래 트랜드

Page 40: Social Commerce 2014-11

• 소셜 소싱– 정보 생산에 고객들의 SNS 활동을 이용– 상품 소싱 단계부터 SNS를 통한 고객 참여 이끌어 냄– 사례: PopPicks(kaboodle)

• 소셜 쇼핑 직접 구현– 소셜 쇼핑몰에 의한 판매 대행에서 직접 판매로 중심 축 이동

• 상표(Brand)로서의 SNS 계정– 판매자와의 빠른 소통, 상표만으로 판매자의 신뢰도 확인 가능

• 위치기반 플래시 세일– 휴대폰 내장 GPS를 통해 인근 지역의 플래시 세일 정보 등을 제공

• T-Commerce와 SNS의 만남

소셜 커머스의 미래 트랜드

Page 41: Social Commerce 2014-11

• Social Commerce 성공 조건– 목적은 분명하게

• 즉각적인 판촉, 트래픽, 고객 충성도, 인지도 등

– 신뢰 구축과 유지

– 영향력 있는 소수자의 참여

• 메이븐(Maven), 커넥터, 세일즈 맨

– 상품에 희소성을 부여

• 신제품, 할인, 한정 판매, 멤버십 등

– 모바일 접근성

– 소비자 참여에 대한 보상

• 명성, 금전, 인정, 보람 등

결론

Page 42: Social Commerce 2014-11

• 현황– 2010년 중반 등장해 대한민국에 '반값' 열풍을 일으킨 소셜커머스

가 올해로 4주년을 맞아 안정궤도에 오른 모습(?)– 서비스 초반부터 여러 번의 모조 상품판매 이슈와 불합리한 환불 약

관 등이 문제시 되며 시장의 우려를 낳았지만, 이제는 유통업계에서빼놓을 수 없는 한 자리를 차지

– 소셜커머스 업체들의 모바일 매출비중은 거의 70%에 육박(11번가등 오픈마켓이 30%, 이마트몰 등 대형마트 온라인몰의 수치가 20% 내외)

– 아직까지는 국내 유통시장에서 1.2%의 비중으로 미미한 상황

Page 43: Social Commerce 2014-11